忠清地区盘索里歌词的文化和意义

Hye-jin Choi
{"title":"忠清地区盘索里歌词的文化和意义","authors":"Hye-jin Choi","doi":"10.20864/skl.2023.10.80.2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의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향유된 판소리 사설을 살펴 판소리의 정서적, 지역적 기반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고제, 중고제 사설로 확인된 작품을 중심으로 중고제와 지역 정서의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진한의 〈춘향가〉와 방진관의 〈심청가〉 사설을 대상으로 초기 판소리에서 다루어졌던 사회문화적 맥락과 전승, 사설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충청지역의 정서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양반문화의 정서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시 작품인 〈춘향가〉는 가장 오래된 〈춘향가〉로서의 위상을 가진 동시에 〈춘향가〉 사설의 첫 번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한시로 지어졌으며 양반들의 문화 전통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방진관의 〈심청가〉 역시 효의 윤리에 충실한 심청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서 이 역시 유교적 윤리관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BR 둘째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춘향가〉에서는 춘향 설화를 바탕으로 양반계급 이도령이 처한 상황과 당대의 삶이 매우 현실적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기생 춘향을 향한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그림으로써 계급사회를 비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심청가〉에서는 당대 삶의 피폐함과 가난의 문제가 매우 자세하게 다루어져서 현실적 삶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고 하겠다.BR 셋째, 진취적 정서가 있다. 유진한은 충청도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날렸으며, 은석시사 등 당대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고 시단을 열었던 향반이다. 그는 〈춘향가〉 뿐 아니라 고전소설 〈사씨남정기〉를 바탕으로 쓴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도 한시로 만들어 노래로 부르도록 하였다. 당시 이러한 이야기노래는 타령조로 부르던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19세기 명창 방만춘은 황해도 음률가와 〈심청가〉를 만들어 새로운 스타일의 〈심청가〉를 확립했다. 그리고 이를 가문소리로 이어지게 하였다. 이를 보아 충청지역은 새로운 문화예술의 터전이 되고 판소리 정립의 기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문화에 대한 진취적 사고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BR 넷째, 풍류 정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진한의 〈춘향가〉는 당대 문인들의 시사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새로운 풍류 속에서 탄생한 것이라 보아야 한다. 서산의 방만춘 가문은 세습예인으로 판소리는 물론 풍류나 춤 등을 전승하였는데, 이러한 전통은 현재 서산 심씨 가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곧 충청지역은 양반들과 연합하여 소리꾼들의 창의성이 개성적으로 발휘되어 갔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중고제는 판소리 고제를 이어 소리꾼들의 개성과 실력을 인정하며 발전되어 갔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가곡풍의 창법이나 평평하고 담백한 창법 등은 이러한 정통성을 기반으로 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BR 다섯째, 고제에서 중고제로 이어진 판소리는 충청지역에서 널리 사랑받으며 전국적 확산을 일으켰다. 판소리는 이야기 노래로 그 안에 지역적 정서가 다분히 포함되어 있다. 언어와 풍속, 가치관의 문제 등이 모두 포함되며 변화해 간다. 따라서 유진한의 〈춘향가〉는 충청도 18세기의 정서가, 방진관의 〈심청가〉에는 충청도 19세기의 정서가 반영된 것이라 보아도 좋을 듯하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28 8","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ulture and Meaning in Pansori Lyrics in Chungcheong region\",\"authors\":\"Hye-jin Choi\",\"doi\":\"10.20864/skl.2023.10.80.2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의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향유된 판소리 사설을 살펴 판소리의 정서적, 지역적 기반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고제, 중고제 사설로 확인된 작품을 중심으로 중고제와 지역 정서의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진한의 〈춘향가〉와 방진관의 〈심청가〉 사설을 대상으로 초기 판소리에서 다루어졌던 사회문화적 맥락과 전승, 사설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충청지역의 정서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양반문화의 정서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시 작품인 〈춘향가〉는 가장 오래된 〈춘향가〉로서의 위상을 가진 동시에 〈춘향가〉 사설의 첫 번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한시로 지어졌으며 양반들의 문화 전통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방진관의 〈심청가〉 역시 효의 윤리에 충실한 심청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서 이 역시 유교적 윤리관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BR 둘째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춘향가〉에서는 춘향 설화를 바탕으로 양반계급 이도령이 처한 상황과 당대의 삶이 매우 현실적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기생 춘향을 향한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그림으로써 계급사회를 비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심청가〉에서는 당대 삶의 피폐함과 가난의 문제가 매우 자세하게 다루어져서 현실적 삶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고 하겠다.BR 셋째, 진취적 정서가 있다. 유진한은 충청도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날렸으며, 은석시사 등 당대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고 시단을 열었던 향반이다. 그는 〈춘향가〉 뿐 아니라 고전소설 〈사씨남정기〉를 바탕으로 쓴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도 한시로 만들어 노래로 부르도록 하였다. 당시 이러한 이야기노래는 타령조로 부르던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19세기 명창 방만춘은 황해도 음률가와 〈심청가〉를 만들어 새로운 스타일의 〈심청가〉를 확립했다. 그리고 이를 가문소리로 이어지게 하였다. 이를 보아 충청지역은 새로운 문화예술의 터전이 되고 판소리 정립의 기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문화에 대한 진취적 사고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BR 넷째, 풍류 정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진한의 〈춘향가〉는 당대 문인들의 시사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새로운 풍류 속에서 탄생한 것이라 보아야 한다. 서산의 방만춘 가문은 세습예인으로 판소리는 물론 풍류나 춤 등을 전승하였는데, 이러한 전통은 현재 서산 심씨 가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곧 충청지역은 양반들과 연합하여 소리꾼들의 창의성이 개성적으로 발휘되어 갔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중고제는 판소리 고제를 이어 소리꾼들의 개성과 실력을 인정하며 발전되어 갔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가곡풍의 창법이나 평평하고 담백한 창법 등은 이러한 정통성을 기반으로 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BR 다섯째, 고제에서 중고제로 이어진 판소리는 충청지역에서 널리 사랑받으며 전국적 확산을 일으켰다. 판소리는 이야기 노래로 그 안에 지역적 정서가 다분히 포함되어 있다. 언어와 풍속, 가치관의 문제 등이 모두 포함되며 변화해 간다. 따라서 유진한의 〈춘향가〉는 충청도 18세기의 정서가, 방진관의 〈심청가〉에는 충청도 19세기의 정서가 반영된 것이라 보아도 좋을 듯하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28 8\",\"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2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2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讨论想通过以忠清地区为中心享有的盘索里社论来观察盘索里的情绪和地区基础表现出怎样的面貌。特别是以古制、中旧制社论确认的作品为中心,讨论了中旧制和地区情绪的关联性。为此,以柳真汉的《春香歌》和方进官的《沈清歌》社论为对象,了解了初期盘索里涉及的社会文化脉络和传承以及社论中出现的意义。下面整理一下忠清地区的情绪特征。BR第一,可以举出表现出强烈的两班文化情绪这一点。汉诗作品《春香歌》具有最古老的《春香歌》的地位,同时也是《春香歌》社论的第一部作品。汉诗,包含两班的文化传统。另一方面,方进官的《沈清歌》也描绘了忠实于孝伦理的沈清的面貌,这也体现了儒教伦理学观。BR第二,体现出现实性和具体的情绪。《春香歌》以春香传说为基础,非常现实地描绘了两班阶级李少玲所处的状况和当代的生活,通过描绘对妓女春香超越身份的爱情,起到了批判阶级社会的作用。《沈清歌》非常详细地描写了当代生活的疲惫和贫困问题,戏剧性地描写了现实生活。BR第三,具有进取的情绪。柳真汉在忠清道以文章家闻名,是与银石诗史等当代众多文人进行交流并举办诗坛的乡班。他不仅把《春香歌》,还把以古典小说《谢氏南正记》为基础写的《刘翰林领事夫人高士堂歌》写成汉诗,让其唱歌。当时这样的故事歌曲形成了唱打令调的新样式。19世纪名唱方万春创作了黄海道音律歌和《沈清歌》,确立了新风格的《沈清歌》。并使其成为家族的声音。由此可见,忠清地区成为了新的文化艺术的基础,奠定了盘索里的基础。我认为这是因为对文化有进取性的思考。BR第四,具有风流精神。刘振汉的《春香歌》应该看作是在当代文人的时事活动形成的新的风流韵事中诞生的。西山的方万春家族作为世袭艺人,不仅传承了盘索里,还传承了风流和舞蹈等,这样的传统现在在西山沈氏家族中也延续了下来。忠清地区具有与两班联合起来,民谣歌唱家的创意性个性发挥的文化。中古祭可以说是继盘索里古祭之后,认可说唱者的个性和实力而发展起来的艺术。歌曲风格的唱法或平坦、清淡的唱法等可以说是以这种正统性为基础的。BR第五,从古制到中古制的盘索里在忠清地区受到广泛的喜爱,并在全国范围内扩散。盘索里是故事歌曲,其中包含了很多地区情绪。语言,风俗,价值观等问题都包括在内,正在发生变化。因此,柳真汉的《春香歌》反映了忠清道18世纪的情绪,方进官的《沈清歌》反映了忠清道19世纪的情绪。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Culture and Meaning in Pansori Lyrics in Chungcheong region
본 논의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향유된 판소리 사설을 살펴 판소리의 정서적, 지역적 기반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고제, 중고제 사설로 확인된 작품을 중심으로 중고제와 지역 정서의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진한의 〈춘향가〉와 방진관의 〈심청가〉 사설을 대상으로 초기 판소리에서 다루어졌던 사회문화적 맥락과 전승, 사설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충청지역의 정서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양반문화의 정서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시 작품인 〈춘향가〉는 가장 오래된 〈춘향가〉로서의 위상을 가진 동시에 〈춘향가〉 사설의 첫 번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한시로 지어졌으며 양반들의 문화 전통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방진관의 〈심청가〉 역시 효의 윤리에 충실한 심청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서 이 역시 유교적 윤리관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BR 둘째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춘향가〉에서는 춘향 설화를 바탕으로 양반계급 이도령이 처한 상황과 당대의 삶이 매우 현실적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기생 춘향을 향한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그림으로써 계급사회를 비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심청가〉에서는 당대 삶의 피폐함과 가난의 문제가 매우 자세하게 다루어져서 현실적 삶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고 하겠다.BR 셋째, 진취적 정서가 있다. 유진한은 충청도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날렸으며, 은석시사 등 당대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고 시단을 열었던 향반이다. 그는 〈춘향가〉 뿐 아니라 고전소설 〈사씨남정기〉를 바탕으로 쓴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도 한시로 만들어 노래로 부르도록 하였다. 당시 이러한 이야기노래는 타령조로 부르던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19세기 명창 방만춘은 황해도 음률가와 〈심청가〉를 만들어 새로운 스타일의 〈심청가〉를 확립했다. 그리고 이를 가문소리로 이어지게 하였다. 이를 보아 충청지역은 새로운 문화예술의 터전이 되고 판소리 정립의 기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문화에 대한 진취적 사고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BR 넷째, 풍류 정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진한의 〈춘향가〉는 당대 문인들의 시사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새로운 풍류 속에서 탄생한 것이라 보아야 한다. 서산의 방만춘 가문은 세습예인으로 판소리는 물론 풍류나 춤 등을 전승하였는데, 이러한 전통은 현재 서산 심씨 가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곧 충청지역은 양반들과 연합하여 소리꾼들의 창의성이 개성적으로 발휘되어 갔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중고제는 판소리 고제를 이어 소리꾼들의 개성과 실력을 인정하며 발전되어 갔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가곡풍의 창법이나 평평하고 담백한 창법 등은 이러한 정통성을 기반으로 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BR 다섯째, 고제에서 중고제로 이어진 판소리는 충청지역에서 널리 사랑받으며 전국적 확산을 일으켰다. 판소리는 이야기 노래로 그 안에 지역적 정서가 다분히 포함되어 있다. 언어와 풍속, 가치관의 문제 등이 모두 포함되며 변화해 간다. 따라서 유진한의 〈춘향가〉는 충청도 18세기의 정서가, 방진관의 〈심청가〉에는 충청도 19세기의 정서가 반영된 것이라 보아도 좋을 듯하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