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登高”为蓝本的朝鲜文人随韵作品研究

ZHANG LING LI
{"title":"以“登高”为蓝本的朝鲜文人随韵作品研究","authors":"ZHANG LING LI","doi":"10.20864/skl.2023.10.80.159","DOIUrl":null,"url":null,"abstract":"〈등고〉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대표작으로 조선시대의 시인들로부터 관심을 많이 받았으며 〈등고〉에 차운한 차운시가 많이 창작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중ㆍ후기의 총 15 명의 시인들이 창작한 17수의 〈등고〉 차운시에 대해 정리ㆍ분석하였다. 비록 그 수는 많지 않지만 주제나 내용적 측면에서 모두 각자의 특징이 있으며 시 전반에 흐르는 정조도 서로 다르다.BR 〈登高〉에 대한 次韻詩는 시국이 혼란한 상태에 처해 있는 조선 중ㆍ후기 문인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두보와 정신 교감을 한 결과물이다. 본고는 작시방법 및 수용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두보의 〈登高〉와 조선시대 시인들의 〈登高〉 차운시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문인들은 杜詩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登高〉의 以景入情ㆍ對仗ㆍ擬聲詞ㆍ韻律 등 창작수법에 대해 모방과 재창작을 진행해왔다. 비록 두보의 시학 경지를 이르지 못했으나 杜詩의 차운시로서 문학작품 자체를 넘어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조선시대 시인들의 〈登高〉 차운시에 조선문인들의 충군애국의 유가사상과 우환의식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그들의 차운시는 두보의 憂國愛民의 사상 감정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반영한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search on Rhyme-Following Compositions by the Joseon Literati Modeled on “Climbing High”\",\"authors\":\"ZHANG LING LI\",\"doi\":\"10.20864/skl.2023.10.80.159\",\"DOIUrl\":null,\"url\":null,\"abstract\":\"〈등고〉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대표작으로 조선시대의 시인들로부터 관심을 많이 받았으며 〈등고〉에 차운한 차운시가 많이 창작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중ㆍ후기의 총 15 명의 시인들이 창작한 17수의 〈등고〉 차운시에 대해 정리ㆍ분석하였다. 비록 그 수는 많지 않지만 주제나 내용적 측면에서 모두 각자의 특징이 있으며 시 전반에 흐르는 정조도 서로 다르다.BR 〈登高〉에 대한 次韻詩는 시국이 혼란한 상태에 처해 있는 조선 중ㆍ후기 문인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두보와 정신 교감을 한 결과물이다. 본고는 작시방법 및 수용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두보의 〈登高〉와 조선시대 시인들의 〈登高〉 차운시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문인들은 杜詩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登高〉의 以景入情ㆍ對仗ㆍ擬聲詞ㆍ韻律 등 창작수법에 대해 모방과 재창작을 진행해왔다. 비록 두보의 시학 경지를 이르지 못했으나 杜詩의 차운시로서 문학작품 자체를 넘어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조선시대 시인들의 〈登高〉 차운시에 조선문인들의 충군애국의 유가사상과 우환의식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그들의 차운시는 두보의 憂國愛民의 사상 감정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반영한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15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15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登古》是唐代诗人杜甫的代表作,深受朝鲜时代诗人的关注,在《登古》中创作了很多车运诗。本稿对朝鲜时代中后期共15位诗人创作的17首<登高>车运诗进行了整理分析。虽然数量不多,但在主题和内容上都有各自的特点,前诗的情操也各不相同。对BR <登高桥>的辨灵诗是处于时局混乱状态的朝鲜中、后期文人超越时间与杜甫进行精神交流的结果。本稿以作诗方法及收容方式为重点,比较分析了杜甫的《登高堂》和朝鲜时代诗人的《登高堂》车运诗之间的共同点和不同点。由此可见,朝鲜文人对杜诗有全面的学习。<登了高浓度>主要以,入情、对仗擬包括词·韻对义夫等创作手法进行了模仿和再创小。虽然没有达到杜甫的诗学境界,但作为杜诗的次云诗,超越了文学作品本身,蕴含着很多意义。在朝鲜时代诗人的《登高堂》车运诗中,出现了很多朝鲜文人忠军爱国的儒家思想和忧患意识,反映了他们的车运诗深受杜甫李国爱民思想感情的影响。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Research on Rhyme-Following Compositions by the Joseon Literati Modeled on “Climbing High”
〈등고〉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대표작으로 조선시대의 시인들로부터 관심을 많이 받았으며 〈등고〉에 차운한 차운시가 많이 창작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중ㆍ후기의 총 15 명의 시인들이 창작한 17수의 〈등고〉 차운시에 대해 정리ㆍ분석하였다. 비록 그 수는 많지 않지만 주제나 내용적 측면에서 모두 각자의 특징이 있으며 시 전반에 흐르는 정조도 서로 다르다.BR 〈登高〉에 대한 次韻詩는 시국이 혼란한 상태에 처해 있는 조선 중ㆍ후기 문인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두보와 정신 교감을 한 결과물이다. 본고는 작시방법 및 수용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두보의 〈登高〉와 조선시대 시인들의 〈登高〉 차운시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문인들은 杜詩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登高〉의 以景入情ㆍ對仗ㆍ擬聲詞ㆍ韻律 등 창작수법에 대해 모방과 재창작을 진행해왔다. 비록 두보의 시학 경지를 이르지 못했으나 杜詩의 차운시로서 문학작품 자체를 넘어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조선시대 시인들의 〈登高〉 차운시에 조선문인들의 충군애국의 유가사상과 우환의식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그들의 차운시는 두보의 憂國愛民의 사상 감정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반영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