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女性文学史描写问题的批判性思考

Bo-youn Lim
{"title":"古典女性文学史描写问题的批判性思考","authors":"Bo-youn Lim","doi":"10.20864/skl.2023.10.80.13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학술대회의 기획 주제인 문학사의 쟁점과 관련하여, 고전문학사 내에서 ‘여성문학사’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고전여성문학사의 서술 양상을 검토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앞으로의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 것이다.BR 기존 저술 중 『한국문학통사』와 『한국고전여성시사』와 그동안 논의되어왔던 여성문학사 연구 성과들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문학통사』는 우리문학사를 가장 집대성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아직 이 이후의 문학사는 나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고전여성시사』는 아직까지는 유일한 여성문학사를 쓴 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고전여성문학회의 창립(2000)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여성’이라는 관점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BR 문학사에 대한 서술을 검토한 결과, 왕조 중심의 통시적으로 나누는 시대 구분의 문제, 여성을 하위 주체로 치부하는 주체의 문제, 자료 소개 및 나열에 치우치는 서술 방식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앞으로 여성문학사를 쓴다면, 단편적으로 나열하는 기술 방식의 서술에서 벗어나 입체적으로 여성의 문학을 다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BR 문학사 서술은 궁극적으로는 여성과 남성을 분리한 문학사가 아닌, 일반문학사를 쓰는 것으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 전제 작업으로 먼저 독립된 여성문학사를 써야한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여성들의 목소리를 서술하는 일, 그리고 쓰이지 못한 문학사를 쓰는 것부터 이루어져야 한다.BR 문학사 서술에 대한 논의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사관의 부재를 언급한다. 여성문학사를 서술하는 것 또한 사관이 필요한 일이다. 사관이 뚜렷한 여성문학사를 쓰기 위해서도, 여성을 구체적으로 촘촘하게 파헤쳐야 한다. 여성문학사는 장르사나 시대사가 아닌, 여성문학 전체를 다루어야할텐데 이는 연구자들의 공동 작업으로 가능하리라 생각한다.BR 또, 여성문학사는 매체와 계층, 문학과 문화를 가로지르는 입체적 글쓰기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여성문학사는 문학사인 동시에 문화사가 그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과 ‘문학’ 외에 ‘문학 활동’의 측면을 주요하게 들여다보아야 여성들의 문학을 면밀하게 밝힐 수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31 4","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ritical Reflections on Issues i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Classical Women’s Literature\",\"authors\":\"Bo-youn Lim\",\"doi\":\"10.20864/skl.2023.10.80.13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학술대회의 기획 주제인 문학사의 쟁점과 관련하여, 고전문학사 내에서 ‘여성문학사’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고전여성문학사의 서술 양상을 검토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앞으로의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 것이다.BR 기존 저술 중 『한국문학통사』와 『한국고전여성시사』와 그동안 논의되어왔던 여성문학사 연구 성과들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문학통사』는 우리문학사를 가장 집대성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아직 이 이후의 문학사는 나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고전여성시사』는 아직까지는 유일한 여성문학사를 쓴 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고전여성문학회의 창립(2000)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여성’이라는 관점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BR 문학사에 대한 서술을 검토한 결과, 왕조 중심의 통시적으로 나누는 시대 구분의 문제, 여성을 하위 주체로 치부하는 주체의 문제, 자료 소개 및 나열에 치우치는 서술 방식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앞으로 여성문학사를 쓴다면, 단편적으로 나열하는 기술 방식의 서술에서 벗어나 입체적으로 여성의 문학을 다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BR 문학사 서술은 궁극적으로는 여성과 남성을 분리한 문학사가 아닌, 일반문학사를 쓰는 것으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 전제 작업으로 먼저 독립된 여성문학사를 써야한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여성들의 목소리를 서술하는 일, 그리고 쓰이지 못한 문학사를 쓰는 것부터 이루어져야 한다.BR 문학사 서술에 대한 논의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사관의 부재를 언급한다. 여성문학사를 서술하는 것 또한 사관이 필요한 일이다. 사관이 뚜렷한 여성문학사를 쓰기 위해서도, 여성을 구체적으로 촘촘하게 파헤쳐야 한다. 여성문학사는 장르사나 시대사가 아닌, 여성문학 전체를 다루어야할텐데 이는 연구자들의 공동 작업으로 가능하리라 생각한다.BR 또, 여성문학사는 매체와 계층, 문학과 문화를 가로지르는 입체적 글쓰기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여성문학사는 문학사인 동시에 문화사가 그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과 ‘문학’ 외에 ‘문학 활동’의 측면을 주요하게 들여다보아야 여성들의 문학을 면밀하게 밝힐 수 있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31 4\",\"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1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1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论文学术大会的主题——文学史上争论的焦点,相关古典文学史内如何叙述“女性文学史”,把握好古典여성문학公司正在叙述正在研究通过批判性反省,今后的文学史叙述的可能性诊断我尝试的。BR将对现有着作中的《韩国文学通史》和《韩国古典女性诗史》以及此前一直被讨论的女性文学史研究成果进行讨论。因为《韩国文学通史》被评价为韩国文学史最集大成的结果,至今还没有出现之后的文学史。《韩国古典女性诗史》可以说是迄今为止唯一一本撰写女性文学史的书。另外,韩国古典女性文学会创立(2000)以后,很多研究者以“女性”的观点进行了多样的研究。对BR文学史的叙述进行研究的结果,发现了以王朝为中心的通时性区分时代的问题、将女性视为下位主体的主体问题、偏重于资料介绍及罗列的叙述方式的问题。如果今后要写女性文学史,有必要摆脱片面罗列的叙述方式,制定出能够立体地描写女性文学的方案。BR文学史的叙述最终应该归结为写一般文学史,而不是将女性和男性分开的文学史。我认为,作为其前提,首先应该写出独立的女性文学史。首先要叙述不能自己发出声音的女性的声音,以及写出没有被使用的文学史。在对BR文学史叙述的讨论中,很多研究者提到了历史观的缺失。叙述女性文学史也是需要史官的事情。即使是为了写历史观鲜明的女性文学史,也应该详细地剖析女性。“女性文学史不应该描写类型和时代史,而应该描写整个女性文学。我认为,通过研究者的共同工作,这是可能的。”另外,女性文学史应该进行横跨媒体和阶层、文学和文化的立体写作。女性文学史既是文学史,同时也应该成为文化史的指向点。除了“女性”和“文学”之外,只有主要观察“文学活动”的层面,才能详细地揭示女性的文学。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Critical Reflections on Issues i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Classical Women’s Literature
이 논문은 학술대회의 기획 주제인 문학사의 쟁점과 관련하여, 고전문학사 내에서 ‘여성문학사’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고전여성문학사의 서술 양상을 검토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앞으로의 문학사 서술의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한 것이다.BR 기존 저술 중 『한국문학통사』와 『한국고전여성시사』와 그동안 논의되어왔던 여성문학사 연구 성과들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문학통사』는 우리문학사를 가장 집대성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아직 이 이후의 문학사는 나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고전여성시사』는 아직까지는 유일한 여성문학사를 쓴 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고전여성문학회의 창립(2000)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여성’이라는 관점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BR 문학사에 대한 서술을 검토한 결과, 왕조 중심의 통시적으로 나누는 시대 구분의 문제, 여성을 하위 주체로 치부하는 주체의 문제, 자료 소개 및 나열에 치우치는 서술 방식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앞으로 여성문학사를 쓴다면, 단편적으로 나열하는 기술 방식의 서술에서 벗어나 입체적으로 여성의 문학을 다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BR 문학사 서술은 궁극적으로는 여성과 남성을 분리한 문학사가 아닌, 일반문학사를 쓰는 것으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 전제 작업으로 먼저 독립된 여성문학사를 써야한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여성들의 목소리를 서술하는 일, 그리고 쓰이지 못한 문학사를 쓰는 것부터 이루어져야 한다.BR 문학사 서술에 대한 논의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사관의 부재를 언급한다. 여성문학사를 서술하는 것 또한 사관이 필요한 일이다. 사관이 뚜렷한 여성문학사를 쓰기 위해서도, 여성을 구체적으로 촘촘하게 파헤쳐야 한다. 여성문학사는 장르사나 시대사가 아닌, 여성문학 전체를 다루어야할텐데 이는 연구자들의 공동 작업으로 가능하리라 생각한다.BR 또, 여성문학사는 매체와 계층, 문학과 문화를 가로지르는 입체적 글쓰기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여성문학사는 문학사인 동시에 문화사가 그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과 ‘문학’ 외에 ‘문학 활동’의 측면을 주요하게 들여다보아야 여성들의 문학을 면밀하게 밝힐 수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