东南亚港口城市的连通性与演变——以马来西亚槟城港为例

Doojoo Baek
{"title":"东南亚港口城市的连通性与演变——以马来西亚槟城港为例","authors":"Doojoo Baek","doi":"10.35704/yjh.63.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식민지 항구도시인 페낭의 역사적 진화과정을 항구와 연결성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식민지 항구도시의 형성과 발전, 페낭의 적응전략을 공간과 항구의 재구조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국의 페낭 점령은 제국의 전략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연결성 구축 과정이었다. 제국과 연결된 페낭은 이민자들의 항구도시로 빠르게 성장해 나갔으나 싱가포르의 ‘발견’ 이후 연결성의 범위가 조정되는 과정을 거쳤다. 둘째, 탈식민지 시대 기존 페낭항은 ‘연결성’의 위기를 마주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은 경제적 민족주의의 출현에 따른 중계무역항 기능 쇠퇴, 해상물류의 컨테이너화가 초래한 기존 항구기능의 약화, 연방정부의 차별적인 전략항만 육성 정책으로 인한 발전기회의 상실 등이다. 셋째, 이와 같은 항구도시의 위기 속에서 페낭이 선택한 적응전략은 공간 재구조화 전략으로서 UNESCO WHS 등재를 통한 다문화 역사도시로의 전환, 항구 재구조화 전략으로서 IMG-GT 중심항만과 동시에 벵골만을 주요 타켓 항로로 전략화함으로서 역사적 ‘연속성’을 보이고 있다. 향후 항구도시 페낭의 미래는 연결성의 확대 또는 심화를 위한 전략과 내용에 따라 상이한 경로로 진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473359,"journal":{"name":"용봉인문논총","volume":"82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onnectivity and Evolution of Southeast Asian Port City - Focusing on the Port of Penang, Malaysia\",\"authors\":\"Doojoo Baek\",\"doi\":\"10.35704/yjh.63.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식민지 항구도시인 페낭의 역사적 진화과정을 항구와 연결성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식민지 항구도시의 형성과 발전, 페낭의 적응전략을 공간과 항구의 재구조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국의 페낭 점령은 제국의 전략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연결성 구축 과정이었다. 제국과 연결된 페낭은 이민자들의 항구도시로 빠르게 성장해 나갔으나 싱가포르의 ‘발견’ 이후 연결성의 범위가 조정되는 과정을 거쳤다. 둘째, 탈식민지 시대 기존 페낭항은 ‘연결성’의 위기를 마주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은 경제적 민족주의의 출현에 따른 중계무역항 기능 쇠퇴, 해상물류의 컨테이너화가 초래한 기존 항구기능의 약화, 연방정부의 차별적인 전략항만 육성 정책으로 인한 발전기회의 상실 등이다. 셋째, 이와 같은 항구도시의 위기 속에서 페낭이 선택한 적응전략은 공간 재구조화 전략으로서 UNESCO WHS 등재를 통한 다문화 역사도시로의 전환, 항구 재구조화 전략으로서 IMG-GT 중심항만과 동시에 벵골만을 주요 타켓 항로로 전략화함으로서 역사적 ‘연속성’을 보이고 있다. 향후 항구도시 페낭의 미래는 연결성의 확대 또는 심화를 위한 전략과 내용에 따라 상이한 경로로 진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473359,\"journal\":{\"name\":\"용봉인문논총\",\"volume\":\"82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용봉인문논총\",\"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704/yjh.6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용봉인문논총","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704/yjh.6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的目的是针对港口和连接性的变化,分析过去殖民地港口城市槟城的历史进化过程。为此,本研究以空间和港口的再构造化战略为中心,分析了殖民地港口城市的形成和发展、槟城的适应战略。研究结果表明:第一,帝国占领槟城是为实现帝国战略利益而建立联系性的过程。与帝国相连的槟城迅速成长为移民者的港口城市,但在新加坡“发现”后,连接性范围经历了调整过程。第二,在脱殖民地时期,原有的槟城港面临着“连贯性”的危机。造成这种危机的原因有,经济民族主义的出现导致中继贸易港功能衰退、海上物流的集装箱化导致现有港口功能减弱、联邦政府差别化的战略港口培育政策导致发展机遇的丧失等。第三,这样的港口城市的危机中,槟城所选择的适应战略空间重构和谐战略作为unesco whs世界文化遗产名录,通过多文化历史城市转变,港口重新协调战略,港湾和img - gt中心只作为主要是查克航线战略化的同时,孟加拉湾,历史的“连续性”的迹象。今后,港口城市槟城的未来将根据扩大或深化连接性的战略和内容,向不同的途径发展。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Connectivity and Evolution of Southeast Asian Port City - Focusing on the Port of Penang, Malaysia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식민지 항구도시인 페낭의 역사적 진화과정을 항구와 연결성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식민지 항구도시의 형성과 발전, 페낭의 적응전략을 공간과 항구의 재구조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국의 페낭 점령은 제국의 전략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연결성 구축 과정이었다. 제국과 연결된 페낭은 이민자들의 항구도시로 빠르게 성장해 나갔으나 싱가포르의 ‘발견’ 이후 연결성의 범위가 조정되는 과정을 거쳤다. 둘째, 탈식민지 시대 기존 페낭항은 ‘연결성’의 위기를 마주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은 경제적 민족주의의 출현에 따른 중계무역항 기능 쇠퇴, 해상물류의 컨테이너화가 초래한 기존 항구기능의 약화, 연방정부의 차별적인 전략항만 육성 정책으로 인한 발전기회의 상실 등이다. 셋째, 이와 같은 항구도시의 위기 속에서 페낭이 선택한 적응전략은 공간 재구조화 전략으로서 UNESCO WHS 등재를 통한 다문화 역사도시로의 전환, 항구 재구조화 전략으로서 IMG-GT 중심항만과 동시에 벵골만을 주요 타켓 항로로 전략화함으로서 역사적 ‘연속성’을 보이고 있다. 향후 항구도시 페낭의 미래는 연결성의 확대 또는 심화를 위한 전략과 내용에 따라 상이한 경로로 진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