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抽象动画中音乐意义与视听结构的思考","authors":"Sang-Yoon Lee","doi":"10.21184/jkeia.2023.10.17.7.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음악이 중요하게 다루어진 추상 애니메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추상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음악적 의의 및 음악과 영상의 시청각적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추상 애니메이션이 영상 예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음악에 관한 중요성, 음악과 영상의 대응 관계, 오늘날의 예술에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추상 애니메이션은 서사적, 감각적, 시간적 관점에서 음악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바이킹 에겔링(Viking Eggeling), 오스카 피싱어(Oskar Fischinger), 휘트니 형제(John and James Whitney), 해리 스미스(Harry Smith), 메리 엘렌 부트(Marry Ellen Butte) 등과 같은 추상 애니메이션 작가들의 작품들에서 음악과 영상의 대응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상 애니메이션의 초기 작품들인 1930-40년대의 작품에서 음악과 영상의 시간적 동시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 반면에 1960년대 이래의 작품들은 음악과 영상의 시간적 비동시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과 영상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3의 효과와 같은 의미 창출의 가능성을 더 많이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추상 애니메이션은 현대의 뮤직비디오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 드라마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에 추상 애니메이션의 기법을 통한 제작이 이루어지면서 독특한 시청각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추상 애니메이션의 이러한 영향력은 현대의 영상예술에서도 계속되고 있으며 추상 애니메이션의 실험성과 가능성은 계속 연구되어야할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4 4","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onsideration of Musical Significance and Audiovisual Structure in Abstract Animation\",\"authors\":\"Sang-Yoon Lee\",\"doi\":\"10.21184/jkeia.2023.10.17.7.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음악이 중요하게 다루어진 추상 애니메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추상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음악적 의의 및 음악과 영상의 시청각적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추상 애니메이션이 영상 예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음악에 관한 중요성, 음악과 영상의 대응 관계, 오늘날의 예술에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추상 애니메이션은 서사적, 감각적, 시간적 관점에서 음악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바이킹 에겔링(Viking Eggeling), 오스카 피싱어(Oskar Fischinger), 휘트니 형제(John and James Whitney), 해리 스미스(Harry Smith), 메리 엘렌 부트(Marry Ellen Butte) 등과 같은 추상 애니메이션 작가들의 작품들에서 음악과 영상의 대응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상 애니메이션의 초기 작품들인 1930-40년대의 작품에서 음악과 영상의 시간적 동시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 반면에 1960년대 이래의 작품들은 음악과 영상의 시간적 비동시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과 영상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3의 효과와 같은 의미 창출의 가능성을 더 많이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추상 애니메이션은 현대의 뮤직비디오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 드라마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에 추상 애니메이션의 기법을 통한 제작이 이루어지면서 독특한 시청각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추상 애니메이션의 이러한 영향력은 현대의 영상예술에서도 계속되고 있으며 추상 애니메이션의 실험성과 가능성은 계속 연구되어야할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4 4\",\"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以历史上音乐尤为重要的抽象动画为研究对象。研究的目的是观察抽象动画片中出现的音乐意义及音乐和影像的视听结构特征,以此来考察抽象动画片对影像艺术产生的影响力。因此本研究具体研究了抽象动画片对音乐的重要性,音乐和影像的对应关系,对今天艺术的影响。抽象动画片从叙事的、感觉的、时间的观点来看,被认为与音乐有着密切的关系。在维京Eggeling、Oskar Fischinger、John and James Whitney、Harry Smith、Marry Ellen Butte等抽象动画作家的作品中分析音乐和影像的对应关系的结果如下。动画的早期作品抽象1930 - 40年代的作品中音乐和画面的时间同时性强烈的出现,相反,20世纪60年代以来的作品音乐和画面显示其时间非同步诗圣的情况较多,但通过音乐和画面的相互作用和第三的效果同样创造意义的展现更多的可能性了。另外,抽象动画片对现代的音乐录影带产生了很大的影响,在电影、动画片、电视剧的片头序列中,通过抽象动画片的技法制作,展现了独特的视听效果。抽象动画的这种影响在现代的影像艺术中也在继续,抽象动画的实验性和可能性还有待研究。
Consideration of Musical Significance and Audiovisual Structure in Abstract Animation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음악이 중요하게 다루어진 추상 애니메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추상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음악적 의의 및 음악과 영상의 시청각적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추상 애니메이션이 영상 예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음악에 관한 중요성, 음악과 영상의 대응 관계, 오늘날의 예술에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추상 애니메이션은 서사적, 감각적, 시간적 관점에서 음악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바이킹 에겔링(Viking Eggeling), 오스카 피싱어(Oskar Fischinger), 휘트니 형제(John and James Whitney), 해리 스미스(Harry Smith), 메리 엘렌 부트(Marry Ellen Butte) 등과 같은 추상 애니메이션 작가들의 작품들에서 음악과 영상의 대응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상 애니메이션의 초기 작품들인 1930-40년대의 작품에서 음악과 영상의 시간적 동시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 반면에 1960년대 이래의 작품들은 음악과 영상의 시간적 비동시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과 영상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3의 효과와 같은 의미 창출의 가능성을 더 많이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추상 애니메이션은 현대의 뮤직비디오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 드라마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에 추상 애니메이션의 기법을 통한 제작이 이루어지면서 독특한 시청각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추상 애니메이션의 이러한 영향력은 현대의 영상예술에서도 계속되고 있으며 추상 애니메이션의 실험성과 가능성은 계속 연구되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