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居民参与的江陵傩祭的属性和挑战","authors":"Hyun-Joo Min, Ji-Seol Lee","doi":"10.21184/jkeia.2023.10.17.7.17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축제인 강릉단오제에서 축제의 본질적 접근인 체험 속성을 바탕으로 주민 참여가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이훈(2006)이 제시한 체험속성 5가지(일탈성, 놀이성, 대동성, 신성성, 장소성)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일탈성의 경우 강릉단오제 기간 중 지역주민에게 강릉지역의 시ㆍ공간의 변화를 제공한다. 남대천을 중심으로 한 난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향유의 과정을 통해 일상공간과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놀이성은 유희를 통한 재미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다. 마을 단위의 퍼레이드 및 민속놀이 대회와 단오체험 프로그램으로 주민이 직ㆍ간접적으로 운영, 참여하여 소속감과 즐거움을 느끼며 참여하게 된다. 셋째, 대동성이란 공동체적 관점으로 축제의 기획 및 홍보부터 환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민ㆍ관이 상호 협력하면서 과정을 통한 커뮤니티의 건강성을 증대하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신성성으로 전통적인 제의적 의례를 지정문화재와 전통연희로 제공하여 문화예술적 교육체계로 강릉의 전통성을 반영,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성은 공간의 물리적 역할이 아닌 상징적인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되는 요소이다. 일상적인 삶의 공간을 축제 기간을 통해 변화를 모색한다. 강릉단오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통성 유지와 현대적 감각으로의 변용 측면에서 참여 축제라는 고유한 속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체적 유대를 통한 주민참여의 범주를 확장하고 전문가와의 협업으로 변화와 발전의 논의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할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ttributes and Challenges of Gangneung Dano Festival with Residents Participation\",\"authors\":\"Hyun-Joo Min, Ji-Seol Lee\",\"doi\":\"10.21184/jkeia.2023.10.17.7.17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축제인 강릉단오제에서 축제의 본질적 접근인 체험 속성을 바탕으로 주민 참여가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이훈(2006)이 제시한 체험속성 5가지(일탈성, 놀이성, 대동성, 신성성, 장소성)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일탈성의 경우 강릉단오제 기간 중 지역주민에게 강릉지역의 시ㆍ공간의 변화를 제공한다. 남대천을 중심으로 한 난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향유의 과정을 통해 일상공간과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놀이성은 유희를 통한 재미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다. 마을 단위의 퍼레이드 및 민속놀이 대회와 단오체험 프로그램으로 주민이 직ㆍ간접적으로 운영, 참여하여 소속감과 즐거움을 느끼며 참여하게 된다. 셋째, 대동성이란 공동체적 관점으로 축제의 기획 및 홍보부터 환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민ㆍ관이 상호 협력하면서 과정을 통한 커뮤니티의 건강성을 증대하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신성성으로 전통적인 제의적 의례를 지정문화재와 전통연희로 제공하여 문화예술적 교육체계로 강릉의 전통성을 반영,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성은 공간의 물리적 역할이 아닌 상징적인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되는 요소이다. 일상적인 삶의 공간을 축제 기간을 통해 변화를 모색한다. 강릉단오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통성 유지와 현대적 감각으로의 변용 측면에서 참여 축제라는 고유한 속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체적 유대를 통한 주민참여의 범주를 확장하고 전문가와의 협업으로 변화와 발전의 논의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할 것으로 보인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ttributes and Challenges of Gangneung Dano Festival with Residents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축제인 강릉단오제에서 축제의 본질적 접근인 체험 속성을 바탕으로 주민 참여가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이훈(2006)이 제시한 체험속성 5가지(일탈성, 놀이성, 대동성, 신성성, 장소성)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일탈성의 경우 강릉단오제 기간 중 지역주민에게 강릉지역의 시ㆍ공간의 변화를 제공한다. 남대천을 중심으로 한 난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향유의 과정을 통해 일상공간과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놀이성은 유희를 통한 재미 요소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다. 마을 단위의 퍼레이드 및 민속놀이 대회와 단오체험 프로그램으로 주민이 직ㆍ간접적으로 운영, 참여하여 소속감과 즐거움을 느끼며 참여하게 된다. 셋째, 대동성이란 공동체적 관점으로 축제의 기획 및 홍보부터 환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민ㆍ관이 상호 협력하면서 과정을 통한 커뮤니티의 건강성을 증대하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신성성으로 전통적인 제의적 의례를 지정문화재와 전통연희로 제공하여 문화예술적 교육체계로 강릉의 전통성을 반영,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성은 공간의 물리적 역할이 아닌 상징적인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되는 요소이다. 일상적인 삶의 공간을 축제 기간을 통해 변화를 모색한다. 강릉단오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통성 유지와 현대적 감각으로의 변용 측면에서 참여 축제라는 고유한 속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체적 유대를 통한 주민참여의 범주를 확장하고 전문가와의 협업으로 변화와 발전의 논의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