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骑自行车者持续使用自行车道对社区情感和贡献的影响","authors":"Jin-Wook Jeon","doi":"10.21184/jkeia.2023.10.17.7.20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자전거 동호인의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자전거길을 이용하는 동호인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도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기여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감, 사회적 교류, 지역사회 자부심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애착도는 지역사회 기여도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감과 사회적 교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일부 지역의 모집단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지역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다 다양한 지역과 연령층을 대상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지역에 속해있는 자전거길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기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7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 of Bikers’ Consistent Use of Bike Paths on Their Affection for and Contribution to Community\",\"authors\":\"Jin-Wook Jeon\",\"doi\":\"10.21184/jkeia.2023.10.17.7.20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자전거 동호인의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자전거길을 이용하는 동호인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도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기여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감, 사회적 교류, 지역사회 자부심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애착도는 지역사회 기여도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감과 사회적 교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일부 지역의 모집단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지역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다 다양한 지역과 연령층을 대상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지역에 속해있는 자전거길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기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7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 of Bikers’ Consistent Use of Bike Paths on Their Affection for and Contribution to Community
본 연구는 자전거 동호인의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자전거길을 이용하는 동호인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도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적인 자전거길 이용이 지역사회 기여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감, 사회적 교류, 지역사회 자부심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애착도는 지역사회 기여도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감과 사회적 교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일부 지역의 모집단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지역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다 다양한 지역과 연령층을 대상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지역에 속해있는 자전거길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기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