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减少工作周和生育","authors":"Jisun Baek","doi":"10.60092/kwea.2023.10.20.3.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04년부터 사업체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된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이 기혼 부부의 출산에 미친 영향을 1~17차 노동패널조사와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 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로 표본을 한정하여 분석하였고, 부부 중 최소 한 명이 주 40시간 근무제의 영향을 받았을 경우, 부부 모두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3년 후 부부의 0~3세 자녀 수가 0.24명 증가함을 보였다.","PeriodicalId":252742,"journal":{"name":"The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volume":"130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Workweek Reduction and Childbirth\",\"authors\":\"Jisun Baek\",\"doi\":\"10.60092/kwea.2023.10.20.3.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04년부터 사업체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된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이 기혼 부부의 출산에 미친 영향을 1~17차 노동패널조사와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 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로 표본을 한정하여 분석하였고, 부부 중 최소 한 명이 주 40시간 근무제의 영향을 받았을 경우, 부부 모두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3년 후 부부의 0~3세 자녀 수가 0.24명 증가함을 보였다.\",\"PeriodicalId\":252742,\"journal\":{\"name\":\"The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volume\":\"130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60092/kwea.2023.10.20.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Women and Econom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60092/kwea.2023.10.20.3.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본 연구는 2004년부터 사업체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된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이 기혼 부부의 출산에 미친 영향을 1~17차 노동패널조사와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 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로 표본을 한정하여 분석하였고, 부부 중 최소 한 명이 주 40시간 근무제의 영향을 받았을 경우, 부부 모두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3년 후 부부의 0~3세 자녀 수가 0.24명 증가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