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教练型领导力量表(K-CBLS)的验证性研究

Mi-Hyang Do, Yong-Kwon Park, Joung-Douck Choi
{"title":"韩国教练型领导力量表(K-CBLS)的验证性研究","authors":"Mi-Hyang Do, Yong-Kwon Park, Joung-Douck Choi","doi":"10.20325/kca.2023.16.3.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의 타당화 연구를 통해 조직에서 근무하는 리더들의 코칭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리더들의 코칭 리더십 역량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Zuberbühler 등(2021)이 스 페인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706명의 직장인과 리더를 대상으로 개발한 코칭 리더십(Coaching Based Leadership) 척도를 번안하여 초기 문항에 대한 타당성 과 적절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척도의 구성요소와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전문 코치를 대상으 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를 통해 코칭리더십 개념을 탐색하고, 델파이 조사 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 문항을 설정하였 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1차 내용 타당도 검증은 1차 예비 문항(16문항)에 대한 영역구성 및 하위 영역구성의 적절성과 중요성, 가독성을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국제코칭연맹(ICF)과 (사)한국코치협회의 코 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한국 정서에 적합 한 4개의 하위요인과 16개의 문항으로 구성요소와 이해도를 향상시켰다. 도출된 예비 척도의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업에 근무하고 있 는 324명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작업 동맹, 열린 의사소통, 학습 및 개발, 수행 과정 및 결과 등 4개 요인의 15개 문항 으로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를 확정하였다.","PeriodicalId":488992,"journal":{"name":"Koching yeon-gu","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Coaching Based Leadership Scale(K-CBLS)\",\"authors\":\"Mi-Hyang Do, Yong-Kwon Park, Joung-Douck Choi\",\"doi\":\"10.20325/kca.2023.16.3.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의 타당화 연구를 통해 조직에서 근무하는 리더들의 코칭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리더들의 코칭 리더십 역량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Zuberbühler 등(2021)이 스 페인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706명의 직장인과 리더를 대상으로 개발한 코칭 리더십(Coaching Based Leadership) 척도를 번안하여 초기 문항에 대한 타당성 과 적절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척도의 구성요소와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전문 코치를 대상으 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를 통해 코칭리더십 개념을 탐색하고, 델파이 조사 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 문항을 설정하였 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1차 내용 타당도 검증은 1차 예비 문항(16문항)에 대한 영역구성 및 하위 영역구성의 적절성과 중요성, 가독성을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국제코칭연맹(ICF)과 (사)한국코치협회의 코 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한국 정서에 적합 한 4개의 하위요인과 16개의 문항으로 구성요소와 이해도를 향상시켰다. 도출된 예비 척도의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업에 근무하고 있 는 324명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작업 동맹, 열린 의사소통, 학습 및 개발, 수행 과정 및 결과 등 4개 요인의 15개 문항 으로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를 확정하였다.\",\"PeriodicalId\":488992,\"journal\":{\"name\":\"Koching yeon-gu\",\"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325/kca.2023.16.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325/kca.2023.16.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的目的是通过韩国型指导领导能力尺度(K-CBLS)的妥当性研究,测定在组织中工作的领导们的指导领导能力,并以此为领导们的指导领导能力提高等多样的后续研究提供基础资料。本研究进行了先行研究和文献调查,Zuberbuhler等(2021)对斯佩恩和拉丁美洲国家706名上班族和领导开发的指导领导能力(Coaching Based Leadership)尺度进行了修改和完善,对早期问题的妥当性和妥当性进行了研究。以此为基础,设定尺度的构成要素和预备问题,以专业教练为对象,通过焦点小组采访,探索指导领导能力的概念,实施德尔福调查。通过这种方式,设定了韩国型指导领导能力尺度(K-CBLS)问题,并通过问卷调查确认了其妥当性。一次内容也验证是第1次预备妥当道题(16)对领域的组成及下游领域组成的适当性和重要性likert 5分评价尺度的可读性;国际指导联盟(icf)和(师)韩国教练协会的科奇拥有资格的专家为对象,通过二次妥当也验证适合韩国情绪的4个下位因素和16个题构成要件和理解度提高。而引出的预备尺度的因素及试题组成为了确认,在企业中工作的324名,요인분석使用问卷调查的数据和通过试探性요인분석作业同盟、开放的沟通、学习和开发、执行过程及结果等4个因素的15个问题,韩国型指导领导确定了尺度。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Coaching Based Leadership Scale(K-CBL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의 타당화 연구를 통해 조직에서 근무하는 리더들의 코칭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리더들의 코칭 리더십 역량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Zuberbühler 등(2021)이 스 페인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706명의 직장인과 리더를 대상으로 개발한 코칭 리더십(Coaching Based Leadership) 척도를 번안하여 초기 문항에 대한 타당성 과 적절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척도의 구성요소와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전문 코치를 대상으 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를 통해 코칭리더십 개념을 탐색하고, 델파이 조사 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K-CBLS) 문항을 설정하였 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1차 내용 타당도 검증은 1차 예비 문항(16문항)에 대한 영역구성 및 하위 영역구성의 적절성과 중요성, 가독성을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국제코칭연맹(ICF)과 (사)한국코치협회의 코 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타당도 검증을 통해 한국 정서에 적합 한 4개의 하위요인과 16개의 문항으로 구성요소와 이해도를 향상시켰다. 도출된 예비 척도의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업에 근무하고 있 는 324명의 설문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작업 동맹, 열린 의사소통, 학습 및 개발, 수행 과정 및 결과 등 4개 요인의 15개 문항 으로 한국형 코칭리더십 척도를 확정하였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