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n-Young Kim, Hyoung-Jin Lee, Minho Lee, Hwanil Huh
{"title":"航天任务用电池技术和电驱动系统的发展趋势(第二部分:航天任务用电驱动系统中的电池利用)","authors":"Geon-Young Kim, Hyoung-Jin Lee, Minho Lee, Hwanil Huh","doi":"10.5139/jksas.2023.51.10.709","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리튬계열 배터리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우주 임무에서의 활용분야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우주 임무에서 배터리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작동은 임무 실패와 직결되기 때문에 우주 임무 환경과 목적을 고려한 적절한 전력계 구성이 요구된다. 지속 충 · 방전이 가능하여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위성 임무와는 달리 우주 탐사 임무는 임무 행성, 임무 목적에 따라 배터리 종류를 선정한다. 동일 임무를 수행하더라도 태양 에너지에 의한 충 · 방전 가능 여부와 임무 온도에 따라 배터리가 선정된다. 또한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이 발전하면서 전기 동력 우주 추진 시스템까지 활용 분야가 넓어졌으며,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고출력 전력 공급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7 30","pages":"0"},"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Development Trends of Battery Technologies and Electrical-driven System for Aerospace Missions (PART 2 : Battery Utilization in Electrical-driven System for Space Missions)\",\"authors\":\"Geon-Young Kim, Hyoung-Jin Lee, Minho Lee, Hwanil Huh\",\"doi\":\"10.5139/jksas.2023.51.10.709\",\"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리튬계열 배터리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우주 임무에서의 활용분야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우주 임무에서 배터리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작동은 임무 실패와 직결되기 때문에 우주 임무 환경과 목적을 고려한 적절한 전력계 구성이 요구된다. 지속 충 · 방전이 가능하여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위성 임무와는 달리 우주 탐사 임무는 임무 행성, 임무 목적에 따라 배터리 종류를 선정한다. 동일 임무를 수행하더라도 태양 에너지에 의한 충 · 방전 가능 여부와 임무 온도에 따라 배터리가 선정된다. 또한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이 발전하면서 전기 동력 우주 추진 시스템까지 활용 분야가 넓어졌으며,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고출력 전력 공급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7 30\",\"pages\":\"0\"},\"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39/jksas.2023.51.10.7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ENGINEERING, AEROSPAC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39/jksas.2023.51.10.7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ENGINEERING, AEROSPACE","Score":null,"Total":0}
Development Trends of Battery Technologies and Electrical-driven System for Aerospace Missions (PART 2 : Battery Utilization in Electrical-driven System for Space Missions)
최근 리튬계열 배터리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우주 임무에서의 활용분야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우주 임무에서 배터리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작동은 임무 실패와 직결되기 때문에 우주 임무 환경과 목적을 고려한 적절한 전력계 구성이 요구된다. 지속 충 · 방전이 가능하여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위성 임무와는 달리 우주 탐사 임무는 임무 행성, 임무 목적에 따라 배터리 종류를 선정한다. 동일 임무를 수행하더라도 태양 에너지에 의한 충 · 방전 가능 여부와 임무 온도에 따라 배터리가 선정된다. 또한 배터리의 에너지 성능이 발전하면서 전기 동력 우주 추진 시스템까지 활용 분야가 넓어졌으며,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고출력 전력 공급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