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韩国教育的代际流动","authors":"Jongwook Kim, Sungwon Lee","doi":"10.38162/jome.52.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교육 수준의 상향 이동성 (upward mobility)를 추정한다. 자녀의 상대적 교육 수준이 부모의 상대적 교육 수준과 비교해 같거나 더 높을 확률이 57.2%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나이에 따른 교육의 상향 이동성을 추정한 결과, 한국의 교육 상향 이동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는 교육 불평등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7531,"journal":{"name":"시장경제연구","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Intergenerational Mobility of Education in South Korea\",\"authors\":\"Jongwook Kim, Sungwon Lee\",\"doi\":\"10.38162/jome.52.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교육 수준의 상향 이동성 (upward mobility)를 추정한다. 자녀의 상대적 교육 수준이 부모의 상대적 교육 수준과 비교해 같거나 더 높을 확률이 57.2%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나이에 따른 교육의 상향 이동성을 추정한 결과, 한국의 교육 상향 이동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는 교육 불평등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7531,\"journal\":{\"name\":\"시장경제연구\",\"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시장경제연구\",\"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162/jome.52.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시장경제연구","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162/jome.52.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Intergenerational Mobilit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교육 수준의 상향 이동성 (upward mobility)를 추정한다. 자녀의 상대적 교육 수준이 부모의 상대적 교육 수준과 비교해 같거나 더 높을 확률이 57.2%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나이에 따른 교육의 상향 이동성을 추정한 결과, 한국의 교육 상향 이동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는 교육 불평등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