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国内卫星广播播出环境的旅游节目数据服务研究","authors":"Kwangil KO","doi":"10.33778/kcsa.2023.23.3.057","DOIUrl":null,"url":null,"abstract":"COVID-19 사태로 인해 방송계는 여행 프로그램의 자취가 사라질 정도로 큰 영향을 받았다. 2022년부터 방송계에 여행 프 로그램이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으나 침체한 여행심리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여행 프로그램이 시청자 의 여행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토대로, 여러 채널을 통해 복수의 여행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위성방송사의 방송 환경을 고려하여 여행 프로그램의 선호 부가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 한 장르와 포맷의 여행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선호 부가정보를 조사하고, 위성방송사가 데이터서비스 형상을 결정할 때 사용 할 수 있는 FODA 기반의 피처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처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하 고, 이를 국내 위성방송 표준인 DVB-S의 SI로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DVB-MHP 기반 데이터서비스 저작도구 를 활용하여 데이터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함으로써 본 연구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86223,"journal":{"name":"정보보증논문지","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Data Service for Travel Programs based o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of Domestic Satellite Broadcaster\",\"authors\":\"Kwangil KO\",\"doi\":\"10.33778/kcsa.2023.23.3.057\",\"DOIUrl\":null,\"url\":null,\"abstract\":\"COVID-19 사태로 인해 방송계는 여행 프로그램의 자취가 사라질 정도로 큰 영향을 받았다. 2022년부터 방송계에 여행 프 로그램이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으나 침체한 여행심리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여행 프로그램이 시청자 의 여행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토대로, 여러 채널을 통해 복수의 여행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위성방송사의 방송 환경을 고려하여 여행 프로그램의 선호 부가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 한 장르와 포맷의 여행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선호 부가정보를 조사하고, 위성방송사가 데이터서비스 형상을 결정할 때 사용 할 수 있는 FODA 기반의 피처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처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하 고, 이를 국내 위성방송 표준인 DVB-S의 SI로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DVB-MHP 기반 데이터서비스 저작도구 를 활용하여 데이터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함으로써 본 연구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486223,\"journal\":{\"name\":\"정보보증논문지\",\"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정보보증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778/kcsa.2023.23.3.0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정보보증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778/kcsa.2023.23.3.0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Data Service for Travel Programs based o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of Domestic Satellite Broadcaster
COVID-19 사태로 인해 방송계는 여행 프로그램의 자취가 사라질 정도로 큰 영향을 받았다. 2022년부터 방송계에 여행 프 로그램이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으나 침체한 여행심리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여행 프로그램이 시청자 의 여행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토대로, 여러 채널을 통해 복수의 여행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위성방송사의 방송 환경을 고려하여 여행 프로그램의 선호 부가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 한 장르와 포맷의 여행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선호 부가정보를 조사하고, 위성방송사가 데이터서비스 형상을 결정할 때 사용 할 수 있는 FODA 기반의 피처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처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하 고, 이를 국내 위성방송 표준인 DVB-S의 SI로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DVB-MHP 기반 데이터서비스 저작도구 를 활용하여 데이터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함으로써 본 연구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