后真相时代“开放小说”的教育价值探析——以春树小说理论为中心

Cheolhee Jeong
{"title":"后真相时代“开放小说”的教育价值探析——以春树小说理论为中心","authors":"Cheolhee Jeong","doi":"10.15754/jkpe.2023.45.3.00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탈진실 현상의 기제를 분석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문학이라는 ‘개방적 허구’의 교육적 가치를 탐구한 글이다. 연구자는 우리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탈진실 현상 속에 대립적이며 폐쇄적인 이데올로기 충돌 양상이 숨겨져 있음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통적 요소를 소거한 ‘폐쇄적 허구’가 탄생함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절대성과 대립성에 기반한 ‘폐쇄적 허구’에 대응하는 기제로서 상대성과 소통성에 기반한 ‘개방적 허구’ 대해서 논하였다. 연구자는 하루키의 소설론에 기반하여 폐쇄적 허구를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서 진실을 직접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개방적 허구를 통해서 기만적 허구에 대한 면역성을 길러주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하루키의 소설론은 폐쇄적 시스템의 억압에 대항하는 영혼의 힘을 길러주는 기제의 성격이 강하며, 허구의 구체적 역할로서 판단보류의 힘, 계속성의 기제, 즉시적 효과 없음의 긍정이라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탈진실 시대에 우리는 문학적 허구를 통하여 (ⅰ) 넘겨받음의 태도, (ⅱ) 삶의 계속성을 추구하는 태도, (ⅲ) 통합적 삶의 태도를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PeriodicalId":47730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xplo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Open Fiction’ in the Era of Post-Truth: Focusing on Haruki's Novel Theory\",\"authors\":\"Cheolhee Jeong\",\"doi\":\"10.15754/jkpe.2023.45.3.00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탈진실 현상의 기제를 분석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문학이라는 ‘개방적 허구’의 교육적 가치를 탐구한 글이다. 연구자는 우리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탈진실 현상 속에 대립적이며 폐쇄적인 이데올로기 충돌 양상이 숨겨져 있음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통적 요소를 소거한 ‘폐쇄적 허구’가 탄생함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절대성과 대립성에 기반한 ‘폐쇄적 허구’에 대응하는 기제로서 상대성과 소통성에 기반한 ‘개방적 허구’ 대해서 논하였다. 연구자는 하루키의 소설론에 기반하여 폐쇄적 허구를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서 진실을 직접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개방적 허구를 통해서 기만적 허구에 대한 면역성을 길러주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하루키의 소설론은 폐쇄적 시스템의 억압에 대항하는 영혼의 힘을 길러주는 기제의 성격이 강하며, 허구의 구체적 역할로서 판단보류의 힘, 계속성의 기제, 즉시적 효과 없음의 긍정이라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탈진실 시대에 우리는 문학적 허구를 통하여 (ⅰ) 넘겨받음의 태도, (ⅱ) 삶의 계속성을 추구하는 태도, (ⅲ) 통합적 삶의 태도를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PeriodicalId\":47730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4/jkpe.2023.45.3.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4/jkpe.2023.45.3.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分析了我们所面临的虚脱现象的机制,作为克服这种现象的方案,探讨了文学这一“开放性虚构”的教育价值。研究者分析了在韩国社会运作的虚脱现象中隐藏着对立、封闭的意识形态冲突,并指出在此过程中诞生了消除沟通要素的“封闭虚构”。作为应对基于绝对性和对立性的“封闭虚构”的机制,讨论了基于相对性和沟通性的“开放虚构”。研究者以村春树的小说论为基础,主张通过文学这一开放性虚构培养对欺骗性虚构的免疫力,而不是直接传授真实。村春树的小说论分析了培养灵魂力量对抗封闭系统压迫的机制性质较强,作为虚构的具体作用,判断保留的力量、持续性的机制、没有即时效果的肯定的特征。以此为基础,在虚脱时代,我们主张通过文学虚构(i)接受的态度,(ii)追求生活连续性的态度,(iii)综合生活的态度。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Explo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Open Fiction’ in the Era of Post-Truth: Focusing on Haruki's Novel Theory
본 연구는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탈진실 현상의 기제를 분석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문학이라는 ‘개방적 허구’의 교육적 가치를 탐구한 글이다. 연구자는 우리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탈진실 현상 속에 대립적이며 폐쇄적인 이데올로기 충돌 양상이 숨겨져 있음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통적 요소를 소거한 ‘폐쇄적 허구’가 탄생함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절대성과 대립성에 기반한 ‘폐쇄적 허구’에 대응하는 기제로서 상대성과 소통성에 기반한 ‘개방적 허구’ 대해서 논하였다. 연구자는 하루키의 소설론에 기반하여 폐쇄적 허구를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서 진실을 직접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이라는 개방적 허구를 통해서 기만적 허구에 대한 면역성을 길러주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하루키의 소설론은 폐쇄적 시스템의 억압에 대항하는 영혼의 힘을 길러주는 기제의 성격이 강하며, 허구의 구체적 역할로서 판단보류의 힘, 계속성의 기제, 즉시적 효과 없음의 긍정이라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탈진실 시대에 우리는 문학적 허구를 통하여 (ⅰ) 넘겨받음의 태도, (ⅱ) 삶의 계속성을 추구하는 태도, (ⅲ) 통합적 삶의 태도를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