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UX设计方法论的独立媒体桌面设计指南研究:基于内容设计定制化优化模型","authors":"Sunghyun Kim, Youngyun Kim","doi":"10.37254/ids.2023.09.65.02.13","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본 연구는 늘어나고 있는 ‘1인 크리에이터’를 위해 그들 또는 관련된 영역에서 요구되는 방송 공간과 방송 장비를 UX디자인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1인 크리에이터’에게 필요한 공간과 장비를 콘텐츠 별‘ 장비사용의 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인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최적화 장비를 연구하기 위해 크리에이터들이 사용하고 있는 촬영 공간과 촬영 장비를 스키메틱 분석을 통해 정의하고, 촬영 장비들을 기존의 물리적 환경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촬영 장비들의 물리적 사용방법 및 환경을 연구하였다. 분석한 촬영 장비를 콘텐츠별로 나누어 하나씩 배치하여 비교하고 나누어진 촬영 장비들을 콘텐츠별로 다시 합쳐 촬영 장비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방송 장비의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촬영 장비들의 물리적, 사용적 특성을 열거하고 이를 각 콘텐츠 별로 매칭할 수 있었다. 각 촬영 장비는 사용 빈도와 환경에 따라 다시 구분하여 키워드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이후 분석된 데이터를 각각 배치 분석한 촬영 장비들과 콘텐츠별로 정의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기능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크리에이터들의 촬영 공간과 촬영 장비를 정의하고 촬영 장비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한 UX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콘텐츠별로 촬영 장비를 재배치 할 수 있었고 최적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노력했다.","PeriodicalId":498232,"journ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Desk Design Guidelines for Independent Media Based on UX Design Methodology: Designing Customized Optimization Models by Content\",\"authors\":\"Sunghyun Kim, Youngyun Kim\",\"doi\":\"10.37254/ids.2023.09.65.02.13\",\"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본 연구는 늘어나고 있는 ‘1인 크리에이터’를 위해 그들 또는 관련된 영역에서 요구되는 방송 공간과 방송 장비를 UX디자인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1인 크리에이터’에게 필요한 공간과 장비를 콘텐츠 별‘ 장비사용의 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인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최적화 장비를 연구하기 위해 크리에이터들이 사용하고 있는 촬영 공간과 촬영 장비를 스키메틱 분석을 통해 정의하고, 촬영 장비들을 기존의 물리적 환경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촬영 장비들의 물리적 사용방법 및 환경을 연구하였다. 분석한 촬영 장비를 콘텐츠별로 나누어 하나씩 배치하여 비교하고 나누어진 촬영 장비들을 콘텐츠별로 다시 합쳐 촬영 장비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방송 장비의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촬영 장비들의 물리적, 사용적 특성을 열거하고 이를 각 콘텐츠 별로 매칭할 수 있었다. 각 촬영 장비는 사용 빈도와 환경에 따라 다시 구분하여 키워드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이후 분석된 데이터를 각각 배치 분석한 촬영 장비들과 콘텐츠별로 정의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기능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크리에이터들의 촬영 공간과 촬영 장비를 정의하고 촬영 장비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한 UX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콘텐츠별로 촬영 장비를 재배치 할 수 있었고 최적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노력했다.\",\"PeriodicalId\":498232,\"journ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254/ids.2023.09.65.02.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254/ids.2023.09.65.02.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Desk Design Guidelines for Independent Media Based on UX Design Methodology: Designing Customized Optimization Models by Content
연구배경 본 연구는 늘어나고 있는 ‘1인 크리에이터’를 위해 그들 또는 관련된 영역에서 요구되는 방송 공간과 방송 장비를 UX디자인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1인 크리에이터’에게 필요한 공간과 장비를 콘텐츠 별‘ 장비사용의 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인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최적화 장비를 연구하기 위해 크리에이터들이 사용하고 있는 촬영 공간과 촬영 장비를 스키메틱 분석을 통해 정의하고, 촬영 장비들을 기존의 물리적 환경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촬영 장비들의 물리적 사용방법 및 환경을 연구하였다. 분석한 촬영 장비를 콘텐츠별로 나누어 하나씩 배치하여 비교하고 나누어진 촬영 장비들을 콘텐츠별로 다시 합쳐 촬영 장비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방송 장비의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촬영 장비들의 물리적, 사용적 특성을 열거하고 이를 각 콘텐츠 별로 매칭할 수 있었다. 각 촬영 장비는 사용 빈도와 환경에 따라 다시 구분하여 키워드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이후 분석된 데이터를 각각 배치 분석한 촬영 장비들과 콘텐츠별로 정의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기능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크리에이터들의 촬영 공간과 촬영 장비를 정의하고 촬영 장비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한 UX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콘텐츠별로 촬영 장비를 재배치 할 수 있었고 최적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노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