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局部设计治理模型研究","authors":"Jeehoon Jang, Ken Nah","doi":"10.37254/ids.2023.09.65.01.01","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최근 국가 및 지방정부의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디자인의 공적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시민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인 디자인 거버넌스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지방(지역) 공공기관 통폐합을 통한 공공기관들의 역할 및 사업 조정은 지역 디자인진흥기관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맞춰, 지역 발전을 위한 혁신 주체로서 디자인 거버넌스의 개념과 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 차원의 거버넌스-즉, 로컬 디자인 거버넌스-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의 개념을 이해하기 하기 위해 거버넌스를 정의한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국내외 디자인 거버넌스 기본 모형을 도출하고, 디자인 거버넌스의 패턴들을 분류 기준에 따라 제시하였다. 제시된 디자인 거버넌스 패턴에 따른 해외사례를 선정하고, 선정된 해외사례 5가지를(이탈리아 디자인 정책 시스템, 룩셈부르크 디자인 정책 실행 조직, 영국 홈리스 프로젝트, 이탈리아 베로나의 Looper 리빙랩, 싱가포르 디자인 카운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조사와 해외사례를 통해 로컬형 디자인 거버넌스의 방향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는 디자인과 산업간 중개 및 자문을 위한 전문가집단 확보 및 활용이며, 둘째는 지역의 디자인 교육기관(학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들의 참여를 확장하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에 맞는 데이터 기반 플랫폼의 구축과 운영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디자인 주도로 정책을 연구하는 전담기관의 구축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해당 지역 구성원들의 직·간접적인 참여를 중시하는 로컬 디자인 거버넌스 모형은 다양한 계층과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심의와 조정과정이 있어야 하고, 지속적인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 사회를 위한 디자인 중심의 정책 연구 기능이 반영되어야 한다.","PeriodicalId":498232,"journ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Local Design Governance Model\",\"authors\":\"Jeehoon Jang, Ken Nah\",\"doi\":\"10.37254/ids.2023.09.65.01.01\",\"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최근 국가 및 지방정부의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디자인의 공적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시민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인 디자인 거버넌스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지방(지역) 공공기관 통폐합을 통한 공공기관들의 역할 및 사업 조정은 지역 디자인진흥기관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맞춰, 지역 발전을 위한 혁신 주체로서 디자인 거버넌스의 개념과 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 차원의 거버넌스-즉, 로컬 디자인 거버넌스-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의 개념을 이해하기 하기 위해 거버넌스를 정의한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국내외 디자인 거버넌스 기본 모형을 도출하고, 디자인 거버넌스의 패턴들을 분류 기준에 따라 제시하였다. 제시된 디자인 거버넌스 패턴에 따른 해외사례를 선정하고, 선정된 해외사례 5가지를(이탈리아 디자인 정책 시스템, 룩셈부르크 디자인 정책 실행 조직, 영국 홈리스 프로젝트, 이탈리아 베로나의 Looper 리빙랩, 싱가포르 디자인 카운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조사와 해외사례를 통해 로컬형 디자인 거버넌스의 방향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는 디자인과 산업간 중개 및 자문을 위한 전문가집단 확보 및 활용이며, 둘째는 지역의 디자인 교육기관(학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들의 참여를 확장하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에 맞는 데이터 기반 플랫폼의 구축과 운영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디자인 주도로 정책을 연구하는 전담기관의 구축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해당 지역 구성원들의 직·간접적인 참여를 중시하는 로컬 디자인 거버넌스 모형은 다양한 계층과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심의와 조정과정이 있어야 하고, 지속적인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 사회를 위한 디자인 중심의 정책 연구 기능이 반영되어야 한다.\",\"PeriodicalId\":498232,\"journ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254/ids.2023.09.65.01.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an-eob dija-inhag yeon-gu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254/ids.2023.09.65.01.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연구배경 최근 국가 및 지방정부의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디자인의 공적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시민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인 디자인 거버넌스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지방(지역) 공공기관 통폐합을 통한 공공기관들의 역할 및 사업 조정은 지역 디자인진흥기관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맞춰, 지역 발전을 위한 혁신 주체로서 디자인 거버넌스의 개념과 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 차원의 거버넌스-즉, 로컬 디자인 거버넌스-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의 개념을 이해하기 하기 위해 거버넌스를 정의한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국내외 디자인 거버넌스 기본 모형을 도출하고, 디자인 거버넌스의 패턴들을 분류 기준에 따라 제시하였다. 제시된 디자인 거버넌스 패턴에 따른 해외사례를 선정하고, 선정된 해외사례 5가지를(이탈리아 디자인 정책 시스템, 룩셈부르크 디자인 정책 실행 조직, 영국 홈리스 프로젝트, 이탈리아 베로나의 Looper 리빙랩, 싱가포르 디자인 카운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조사와 해외사례를 통해 로컬형 디자인 거버넌스의 방향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는 디자인과 산업간 중개 및 자문을 위한 전문가집단 확보 및 활용이며, 둘째는 지역의 디자인 교육기관(학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들의 참여를 확장하는 것이다. 셋째는 지역에 맞는 데이터 기반 플랫폼의 구축과 운영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디자인 주도로 정책을 연구하는 전담기관의 구축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해당 지역 구성원들의 직·간접적인 참여를 중시하는 로컬 디자인 거버넌스 모형은 다양한 계층과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심의와 조정과정이 있어야 하고, 지속적인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 사회를 위한 디자인 중심의 정책 연구 기능이 반영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