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对轻度残疾学生学习及心理/情感支持的认识","authors":"Hyejung Koh, Younghee Cho","doi":"10.15753/aje.2023.9.24.3.4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 학교관리자, 교수, 부모로 구성된 201명을 대상으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정서적 지원의 문제점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집단이 교사 및 관리자보다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지원 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지원 부재로 나타났다. 셋째, 경도장애학생의 학습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며,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체계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erceptions on Learning and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authors\":\"Hyejung Koh, Younghee Cho\",\"doi\":\"10.15753/aje.2023.9.24.3.4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 학교관리자, 교수, 부모로 구성된 201명을 대상으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정서적 지원의 문제점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집단이 교사 및 관리자보다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지원 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지원 부재로 나타났다. 셋째, 경도장애학생의 학습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며,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체계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Perceptions on Learning and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본 연구는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 학교관리자, 교수, 부모로 구성된 201명을 대상으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정서적 지원의 문제점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집단이 교사 및 관리자보다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지원 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지원 부재로 나타났다. 셋째, 경도장애학생의 학습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며,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체계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