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戏剧《琅琊榜》(2015)中的替罪羊机制研究

Xuejin Jiang
{"title":"中国戏剧《琅琊榜》(2015)中的替罪羊机制研究","authors":"Xuejin Jiang","doi":"10.46612/kjcll.2023.09.93.151","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메커니즘 이론을 통해 드라마 『랑야방』을 고찰했다. 지라르에 따르면 희생양 메커니즘은 ‘위기-범죄-징후-처벌’ 4단계의 전형적 전개 구조를 포함하는데, 본 작품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잘 드러난다. 드라마는 3개의 주요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기왕·임섭의 매령 사건, 둘째 세 왕자의 황위 쟁탈전, 셋째 매장소의 금릉 복수 사건이 그것이다. 희생양 이론을 통해 드라마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건에는 박해자-희생양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폭력의 유형과 전개과정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BR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희생양이 성립되는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 속의 대표적 희생양은 6인이다. 이들은 모두 사회의 상류층에 속하며 사회적 강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보다 더 강한 존재나 라이벌에 의해 희생양으로 지목된다. 3장에서는 폭력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드라마에서 희생양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위계에 따라 일방적으로 폭력이 전달되는 피라미드 구조형, 대등한 지위의 상대들이 서로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짝패형, 그리고 피라미드 구조형이 뒤집힌 복수형 등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폭력의 명분, 즉 정당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랑야방』은 천하를 개인 소유물로 간주하는 세계관과 천하를 대중들의 것으로 간주하는 ‘천하위공’의 개념을 선명하게 대비시킨다. 그리고 ‘천하위공’의 승리로 드라마가 마무리된다.","PeriodicalId":484939,"journal":{"name":"Jung'eo jungmunhag","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Scapegoat Mechanism in the Chinese Drama 『Langyabang』(2015)\",\"authors\":\"Xuejin Jiang\",\"doi\":\"10.46612/kjcll.2023.09.93.151\",\"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메커니즘 이론을 통해 드라마 『랑야방』을 고찰했다. 지라르에 따르면 희생양 메커니즘은 ‘위기-범죄-징후-처벌’ 4단계의 전형적 전개 구조를 포함하는데, 본 작품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잘 드러난다. 드라마는 3개의 주요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기왕·임섭의 매령 사건, 둘째 세 왕자의 황위 쟁탈전, 셋째 매장소의 금릉 복수 사건이 그것이다. 희생양 이론을 통해 드라마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건에는 박해자-희생양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폭력의 유형과 전개과정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BR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희생양이 성립되는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 속의 대표적 희생양은 6인이다. 이들은 모두 사회의 상류층에 속하며 사회적 강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보다 더 강한 존재나 라이벌에 의해 희생양으로 지목된다. 3장에서는 폭력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드라마에서 희생양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위계에 따라 일방적으로 폭력이 전달되는 피라미드 구조형, 대등한 지위의 상대들이 서로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짝패형, 그리고 피라미드 구조형이 뒤집힌 복수형 등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폭력의 명분, 즉 정당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랑야방』은 천하를 개인 소유물로 간주하는 세계관과 천하를 대중들의 것으로 간주하는 ‘천하위공’의 개념을 선명하게 대비시킨다. 그리고 ‘천하위공’의 승리로 드라마가 마무리된다.\",\"PeriodicalId\":484939,\"journal\":{\"name\":\"Jung'eo jungmunhag\",\"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ung'eo jungmun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12/kjcll.2023.09.93.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ung'eo jungmun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12/kjcll.2023.09.93.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古通过雷内·吉拉尔的替罪羊机制理论,考察了电视剧《琅琊房》。根据吉拉尔的说法,牺牲机制包含了“危机-犯罪-征兆-处罚”4个阶段的典型展开结构,在本作品中很好地体现了这样的要素。电视剧由3个主要事件构成。第一是李王、任燮的梅岭事件,第二是王子的皇位争夺战,第三是埋葬所的金陵复仇事件。通过替罪羊理论分析电视剧的结果,在每一个事件中都鲜明地体现出了朴海子和替罪羊的关系,还可以丰富地确认暴力的类型和展开过程。BR各章的内容如下:第二章介绍了替罪羊成立的条件。作品中的代表性牺牲品是6人。他们都属于社会的上流阶层,具有社会强者的地位,但被比自己更强的存在或竞争对手指定为替罪羊。在第3章中观察了暴力的类型。电视剧中对替罪羊施加的暴力分为三种类型。确认了根据等级单方面传达暴力的金字塔结构型、地位平等的对方互相行使暴力的同桌型、推翻金字塔结构型的复数型等。第4章介绍了暴力的名分,即正当化方式。《琅琊房》鲜明地对比了把天下视为个人所有物的世界观和把天下视为大众的“天下为公”的概念。然后以“天下为公”的胜利结束电视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the Scapegoat Mechanism in the Chinese Drama 『Langyabang』(2015)
본고는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메커니즘 이론을 통해 드라마 『랑야방』을 고찰했다. 지라르에 따르면 희생양 메커니즘은 ‘위기-범죄-징후-처벌’ 4단계의 전형적 전개 구조를 포함하는데, 본 작품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잘 드러난다. 드라마는 3개의 주요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기왕·임섭의 매령 사건, 둘째 세 왕자의 황위 쟁탈전, 셋째 매장소의 금릉 복수 사건이 그것이다. 희생양 이론을 통해 드라마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건에는 박해자-희생양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폭력의 유형과 전개과정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BR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희생양이 성립되는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 속의 대표적 희생양은 6인이다. 이들은 모두 사회의 상류층에 속하며 사회적 강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보다 더 강한 존재나 라이벌에 의해 희생양으로 지목된다. 3장에서는 폭력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드라마에서 희생양에게 가해지는 폭력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위계에 따라 일방적으로 폭력이 전달되는 피라미드 구조형, 대등한 지위의 상대들이 서로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짝패형, 그리고 피라미드 구조형이 뒤집힌 복수형 등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폭력의 명분, 즉 정당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랑야방』은 천하를 개인 소유물로 간주하는 세계관과 천하를 대중들의 것으로 간주하는 ‘천하위공’의 개념을 선명하게 대비시킨다. 그리고 ‘천하위공’의 승리로 드라마가 마무리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