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口香糖对不同类型口罩细菌污染的影响","authors":"Sung-Yoon Won, Dong-E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80","DOIUrl":null,"url":null,"abstract":"껌을 씹는 행동이 마스크 내부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마스크 종류 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에게 2종류의 마스크를 배부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15분 동안 껌을 씹도록 하였다. 마스크 내부의 온도와 습도, 세균 오염도(CFU)를 측정하였으며, 검출된 세균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DNA 염기서열분 석을 시행하였다. 껌 씹기 행동은 마스크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오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와 Streptococcus 속의 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였다. 마스크 오염도는 KF-AD가 가장 높았으며, KF94 가 그다음이었고, 외과용 마스크가 가장 낮았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 of Chewing Gum on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fferent Mask Types\",\"authors\":\"Sung-Yoon Won, Dong-E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80\",\"DOIUrl\":null,\"url\":null,\"abstract\":\"껌을 씹는 행동이 마스크 내부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마스크 종류 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에게 2종류의 마스크를 배부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15분 동안 껌을 씹도록 하였다. 마스크 내부의 온도와 습도, 세균 오염도(CFU)를 측정하였으며, 검출된 세균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DNA 염기서열분 석을 시행하였다. 껌 씹기 행동은 마스크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오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와 Streptococcus 속의 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였다. 마스크 오염도는 KF-AD가 가장 높았으며, KF94 가 그다음이었고, 외과용 마스크가 가장 낮았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8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8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为了评估嚼口香糖的行为对口罩内部污染的影响,并确认口罩种类是否有差异,进行了本实验。给对象发放了2种口罩,让其戴着口罩嚼口香糖15分钟。对口罩内部的温度、湿度和细菌污染度(CFU)进行了测定,并为确认检测出的细菌种类,进行了DNA碱基测序。嚼口香糖的行为大大增加了口罩内部的温度、湿度、细菌污染度。检测出的细菌种类为Staphylococcus中的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和Streptococcus中的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口罩污染度方面,KF-AD最高,KF94次之,外科口罩最低。
Effect of Chewing Gum on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fferent Mask Types
껌을 씹는 행동이 마스크 내부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마스크 종류 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에게 2종류의 마스크를 배부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15분 동안 껌을 씹도록 하였다. 마스크 내부의 온도와 습도, 세균 오염도(CFU)를 측정하였으며, 검출된 세균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DNA 염기서열분 석을 시행하였다. 껌 씹기 행동은 마스크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오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와 Streptococcus 속의 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였다. 마스크 오염도는 KF-AD가 가장 높았으며, KF94 가 그다음이었고, 외과용 마스크가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