净土佛教观修的发展与开门禅、咒门的比较研究

Hye-un Gim
{"title":"净土佛教观修的发展与开门禅、咒门的比较研究","authors":"Hye-un Gim","doi":"10.21718/eabc.2023.58.04","DOIUrl":null,"url":null,"abstract":"나가르주나는 『십주비바사론』에서 정토수행을 하열한 근기를 위한 수행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세친은 『정토론』에서 정토를 유심정토의 견지에서 해석하고 정토의 실천에 대해서는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를 제시하는 중층적 입장을 제시했다. 대승불교 수행이 다양화되어 가던 시기에는 진언과 다라니, 도상, 의궤가 증가하면서 불보살의 세계관을 다양하게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다라니집경』에는 기존의 불보살과 제전의 속성을 분류하면서 아미타불의 중생구제와 이타적 속성을 부각하였다. 인도 대승불교는 『대일경』의 출현을 계기로 진언, 다라니, 수인, 만다라를 활용한 진언문의 수행문을 제시하였고, 경전에 설한 태장계만다라는 아미타불을 비로자나여래의 일체지지 가운데 이타적 속성으로 수용하고 3부의 부족사상에 근거해 연화부에 배당하였다. 『진실섭경』을 비롯한 금강계 경궤의 출현을 계기로 아미타불은 오지 가운데 평등성지의 속성을 부여받고, 관자재보살이나 문수보살의 권속과 함께 반야 지혜를 통해 말나식의 번뇌를 제멸하는 유가행의 속성으로 정의하였다. 중국에서 활동한 불공삼장은 『무량수여래관행공양의궤』를 역출하였고, 별존의 아미타불 의궤를 통해 칭명염불 중심의 전통수행을 정비된 밀교수행으로 향상시켰다. 용수의 이제설에서 시작되는 절대진리의 승의제와 세속제를 통한 법의 시설은 진리와 중생구제의 변치 않는 양축을 제시한 것으로 유식, 밀교시대에도 세친과 불공에 의해 전개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PeriodicalId":489788,"journal":{"name":"동아시아불교문화","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sualization Practice of Pure Land Buddhism in Comparison with Exoteric Buddhism and Mantra Gate\",\"authors\":\"Hye-un Gim\",\"doi\":\"10.21718/eabc.2023.58.04\",\"DOIUrl\":null,\"url\":null,\"abstract\":\"나가르주나는 『십주비바사론』에서 정토수행을 하열한 근기를 위한 수행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세친은 『정토론』에서 정토를 유심정토의 견지에서 해석하고 정토의 실천에 대해서는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를 제시하는 중층적 입장을 제시했다. 대승불교 수행이 다양화되어 가던 시기에는 진언과 다라니, 도상, 의궤가 증가하면서 불보살의 세계관을 다양하게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다라니집경』에는 기존의 불보살과 제전의 속성을 분류하면서 아미타불의 중생구제와 이타적 속성을 부각하였다. 인도 대승불교는 『대일경』의 출현을 계기로 진언, 다라니, 수인, 만다라를 활용한 진언문의 수행문을 제시하였고, 경전에 설한 태장계만다라는 아미타불을 비로자나여래의 일체지지 가운데 이타적 속성으로 수용하고 3부의 부족사상에 근거해 연화부에 배당하였다. 『진실섭경』을 비롯한 금강계 경궤의 출현을 계기로 아미타불은 오지 가운데 평등성지의 속성을 부여받고, 관자재보살이나 문수보살의 권속과 함께 반야 지혜를 통해 말나식의 번뇌를 제멸하는 유가행의 속성으로 정의하였다. 중국에서 활동한 불공삼장은 『무량수여래관행공양의궤』를 역출하였고, 별존의 아미타불 의궤를 통해 칭명염불 중심의 전통수행을 정비된 밀교수행으로 향상시켰다. 용수의 이제설에서 시작되는 절대진리의 승의제와 세속제를 통한 법의 시설은 진리와 중생구제의 변치 않는 양축을 제시한 것으로 유식, 밀교시대에도 세친과 불공에 의해 전개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PeriodicalId\":489788,\"journal\":{\"name\":\"동아시아불교문화\",\"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동아시아불교문화\",\"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718/eabc.2023.58.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동아시아불교문화","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718/eabc.2023.58.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纳尔祖纳在《十周比巴萨论》中评价净土修行是为了下十一近纪的修行。相反,世钦在《净土论》中从有心净土的观点来解释净土,对于净土的实践提出了阿弥陀佛的西方净土的中层立场。在大乘佛教修行多样化的时期,随着真言、陀罗尼、图象、仪轨的增加,开始表现佛菩萨的世界观。《陀罗尼集经》对现有的佛菩萨和祭典属性进行了分类,强调了阿弥陀佛的重生救济和利他性属性。印度大乘佛教《대일경》的出现为契机,真言、卷轴、囚犯、曼陀罗的真言利用咨询执行提出了门,站在经典的태장계曼陀罗阿弥陀佛如来的一切我支持费者中利他属性接受,并根据3部缺乏思想部软化了。以《真实涉经》为首的《金刚经仪轨》的出现为契机,阿弥陀佛被赋予了偏僻地区中平等圣地的属性,与官甫斋和文殊菩萨的家世一起通过般若智慧,定义为消灭马纳式烦恼的儒家行属性。在中国活动的佛家三藏反出版了《无量授与来惯例供养仪轨》,通过别尊的阿弥陀佛仪轨,将以成明佛陀为中心的传统修行提升为整备的密教修行。从龙洙的李帝说开始的“绝对真理的僧制”和通过世俗制的法律设施,揭示了真理和重生救济的不变的两大轴心,可以评价为在有识、密教时代也因世亲和佛家而展开。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sualization Practice of Pure Land Buddhism in Comparison with Exoteric Buddhism and Mantra Gate
나가르주나는 『십주비바사론』에서 정토수행을 하열한 근기를 위한 수행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세친은 『정토론』에서 정토를 유심정토의 견지에서 해석하고 정토의 실천에 대해서는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를 제시하는 중층적 입장을 제시했다. 대승불교 수행이 다양화되어 가던 시기에는 진언과 다라니, 도상, 의궤가 증가하면서 불보살의 세계관을 다양하게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다라니집경』에는 기존의 불보살과 제전의 속성을 분류하면서 아미타불의 중생구제와 이타적 속성을 부각하였다. 인도 대승불교는 『대일경』의 출현을 계기로 진언, 다라니, 수인, 만다라를 활용한 진언문의 수행문을 제시하였고, 경전에 설한 태장계만다라는 아미타불을 비로자나여래의 일체지지 가운데 이타적 속성으로 수용하고 3부의 부족사상에 근거해 연화부에 배당하였다. 『진실섭경』을 비롯한 금강계 경궤의 출현을 계기로 아미타불은 오지 가운데 평등성지의 속성을 부여받고, 관자재보살이나 문수보살의 권속과 함께 반야 지혜를 통해 말나식의 번뇌를 제멸하는 유가행의 속성으로 정의하였다. 중국에서 활동한 불공삼장은 『무량수여래관행공양의궤』를 역출하였고, 별존의 아미타불 의궤를 통해 칭명염불 중심의 전통수행을 정비된 밀교수행으로 향상시켰다. 용수의 이제설에서 시작되는 절대진리의 승의제와 세속제를 통한 법의 시설은 진리와 중생구제의 변치 않는 양축을 제시한 것으로 유식, 밀교시대에도 세친과 불공에 의해 전개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