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勇气是如何形成的?大学生感知父母失败心态、学业期望与失败容忍度的关系研究","authors":"T. An, Seonyeong Park, Sujin Yang","doi":"10.35574/kjdp.2020.6.33.2.103","DOIUrl":null,"url":null,"abstract":"자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력투구에 요구되는 성격 특성인 그 릿(Grit)은 어떻게 길러지고 사회화되는가?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이 발달할 수 있 는 사회화 경로에 주목하여, 대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을 독립변수로, 부모의 학업기대(지지 및 압박)와 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변수 로 설정한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은 대학생 자 녀의 그릿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부모 지지기대와 자녀 실패내성 각각을 통한 단순 매개 및 순차적 이중매개, 부모 압박기대와 자녀 실패내성을 통한 이중매개효과가 유 의하였고, 압박기대를 통한 단순매개효과만이 유의하지 않았다. 즉 부모가 실패를 건 설적이고 성장적인 경험으로 여기는 경우, 자녀의 학업에 대한 지지기대가 높아지고 압박기대가 낮아지며, 이는 자녀의 실패내성을 견고하게 하여 그릿이 발달하는 데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실패마인드셋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힘 과 동시에, 그릿이 발달하는 사회화 기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32444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volume":"4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4","resultStr":"{\"title\":\"How Does Grit Develop?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Failure Mindset,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and Failure Toler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authors\":\"T. An, Seonyeong Park, Sujin Yang\",\"doi\":\"10.35574/kjdp.2020.6.33.2.103\",\"DOIUrl\":null,\"url\":null,\"abstract\":\"자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력투구에 요구되는 성격 특성인 그 릿(Grit)은 어떻게 길러지고 사회화되는가?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이 발달할 수 있 는 사회화 경로에 주목하여, 대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을 독립변수로, 부모의 학업기대(지지 및 압박)와 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변수 로 설정한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은 대학생 자 녀의 그릿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부모 지지기대와 자녀 실패내성 각각을 통한 단순 매개 및 순차적 이중매개, 부모 압박기대와 자녀 실패내성을 통한 이중매개효과가 유 의하였고, 압박기대를 통한 단순매개효과만이 유의하지 않았다. 즉 부모가 실패를 건 설적이고 성장적인 경험으로 여기는 경우, 자녀의 학업에 대한 지지기대가 높아지고 압박기대가 낮아지며, 이는 자녀의 실패내성을 견고하게 하여 그릿이 발달하는 데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실패마인드셋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힘 과 동시에, 그릿이 발달하는 사회화 기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32444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volume\":\"4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4\",\"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74/kjdp.2020.6.33.2.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74/kjdp.2020.6.33.2.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How Does Grit Develop?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Failure Mindset,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and Failure Toler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자율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력투구에 요구되는 성격 특성인 그 릿(Grit)은 어떻게 길러지고 사회화되는가?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이 발달할 수 있 는 사회화 경로에 주목하여, 대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을 독립변수로, 부모의 학업기대(지지 및 압박)와 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변수 로 설정한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은 대학생 자 녀의 그릿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부모 지지기대와 자녀 실패내성 각각을 통한 단순 매개 및 순차적 이중매개, 부모 압박기대와 자녀 실패내성을 통한 이중매개효과가 유 의하였고, 압박기대를 통한 단순매개효과만이 유의하지 않았다. 즉 부모가 실패를 건 설적이고 성장적인 경험으로 여기는 경우, 자녀의 학업에 대한 지지기대가 높아지고 압박기대가 낮아지며, 이는 자녀의 실패내성을 견고하게 하여 그릿이 발달하는 데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실패마인드셋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힘 과 동시에, 그릿이 발달하는 사회화 기제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