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系朴三间小学通过问答"观察" 17世纪󰡔小学󰡕研究的焦点和意义

박순남
{"title":"男系朴三间小学通过问答\"观察\" 17世纪󰡔小学󰡕研究的焦点和意义","authors":"박순남","doi":"10.35374/DYHA.53..201906.0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경학적 입장에서 ‘소학학’이라는 하나의 학문 체계 속에 수렴하여 살펴 17세기 당대까지 소학 학문의 중요한 성과를 개괄 하여, 17세기 소학학의 대체적인 규모와 범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n이를 통해 박세채와 그 문도들의...","PeriodicalId":301589,"journ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volume":"5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통해 살펴본 17세기 󰡔소학󰡕 연구의 쟁점과 의의\",\"authors\":\"박순남\",\"doi\":\"10.35374/DYHA.53..201906.0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경학적 입장에서 ‘소학학’이라는 하나의 학문 체계 속에 수렴하여 살펴 17세기 당대까지 소학 학문의 중요한 성과를 개괄 하여, 17세기 소학학의 대체적인 규모와 범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n이를 통해 박세채와 그 문도들의...\",\"PeriodicalId\":301589,\"journ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volume\":\"5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374/DYHA.53..201906.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374/DYHA.53..201906.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是男系朴三间小学问答》"在经学的立场上,“小学学的学问体系里一个收集,观察到17世纪当代小学学问的重要成果,概括起来,17世纪小学学的替代性的规模和范围考察为目的了。通过这三幢房子和那些门徒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통해 살펴본 17세기 󰡔소학󰡕 연구의 쟁점과 의의
본 연구는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경학적 입장에서 ‘소학학’이라는 하나의 학문 체계 속에 수렴하여 살펴 17세기 당대까지 소학 학문의 중요한 성과를 개괄 하여, 17세기 소학학의 대체적인 규모와 범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박세채와 그 문도들의...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