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分析用于酒类产品的流行艺术合作表现","authors":"Sung-min Yoon, Kyu Lim","doi":"10.21326/ksdt.2019.24.4.003","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국내외 주류시장에서는 유명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하여 예술적 가치가 높은 아트 컬래버레이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대중적 콘셉트를 가지고 있는 팝아트는 아트 컬래버레이션에서 가장 사랑받는 예술장르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탄생한 주류제품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 변화와 함께 예술품과 같은 역할을 하고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한다. 또한 브랜드는 제품 이미지와 특성, 장점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류제품의 팝아트 표현과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의 희소성과 지속성을 연결하여 다른 예술의 장르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근거로 삼고자 한다.\n연구방법 국내외 주류 중 팝아트와 컬래버레이션 한 맥주, 와인, 보드카를 주류별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특징과 유형, 팝아트의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주류제품에서 활용되는 팝아트 컬래버레이션의 유형과 팝아트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살펴본다.\n연구결과 주류 제품에 적용된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표현 분석 결과 각 주류별로 팝아트의 특징인 강렬한 색채 사용과 단순한 만화적 이미지 사용빈도가 높았다.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 분석 결과는 주류에 따라 이벤트성, 이미지 변화성, 가치 상승성 아트 컬래버레이션 등 적용사례가 다르게 나타났다.\n결론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분석 결과 대중성 콘셉트를 가진 팝아트와 대중주류인 맥주에 활용이 컸다. 그러나 맥주는 홍보를 위한 이벤트성으로 적용되어 제품의 가치와 소장성이 부족함이 다소 아쉬웠다. 와인과 보드카는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에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축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켜 희소성을 강조하고 소장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다. 아트 컬래버레이션은 브랜드확장을 위한 하나의 전략적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PeriodicalId":224192,"journ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volume":"1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주류제품에 활용된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표현 분석\",\"authors\":\"Sung-min Yoon, Kyu Lim\",\"doi\":\"10.21326/ksdt.2019.24.4.003\",\"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국내외 주류시장에서는 유명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하여 예술적 가치가 높은 아트 컬래버레이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대중적 콘셉트를 가지고 있는 팝아트는 아트 컬래버레이션에서 가장 사랑받는 예술장르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탄생한 주류제품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 변화와 함께 예술품과 같은 역할을 하고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한다. 또한 브랜드는 제품 이미지와 특성, 장점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류제품의 팝아트 표현과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의 희소성과 지속성을 연결하여 다른 예술의 장르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근거로 삼고자 한다.\\n연구방법 국내외 주류 중 팝아트와 컬래버레이션 한 맥주, 와인, 보드카를 주류별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특징과 유형, 팝아트의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주류제품에서 활용되는 팝아트 컬래버레이션의 유형과 팝아트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살펴본다.\\n연구결과 주류 제품에 적용된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표현 분석 결과 각 주류별로 팝아트의 특징인 강렬한 색채 사용과 단순한 만화적 이미지 사용빈도가 높았다.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 분석 결과는 주류에 따라 이벤트성, 이미지 변화성, 가치 상승성 아트 컬래버레이션 등 적용사례가 다르게 나타났다.\\n결론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분석 결과 대중성 콘셉트를 가진 팝아트와 대중주류인 맥주에 활용이 컸다. 그러나 맥주는 홍보를 위한 이벤트성으로 적용되어 제품의 가치와 소장성이 부족함이 다소 아쉬웠다. 와인과 보드카는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에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축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켜 희소성을 강조하고 소장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다. 아트 컬래버레이션은 브랜드확장을 위한 하나의 전략적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PeriodicalId\":224192,\"journ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volume\":\"1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26/ksdt.2019.24.4.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26/ksdt.2019.24.4.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연구배경 국내외 주류시장에서는 유명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하여 예술적 가치가 높은 아트 컬래버레이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대중적 콘셉트를 가지고 있는 팝아트는 아트 컬래버레이션에서 가장 사랑받는 예술장르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탄생한 주류제품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 변화와 함께 예술품과 같은 역할을 하고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한다. 또한 브랜드는 제품 이미지와 특성, 장점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류제품의 팝아트 표현과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의 희소성과 지속성을 연결하여 다른 예술의 장르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근거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외 주류 중 팝아트와 컬래버레이션 한 맥주, 와인, 보드카를 주류별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특징과 유형, 팝아트의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주류제품에서 활용되는 팝아트 컬래버레이션의 유형과 팝아트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주류 제품에 적용된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표현 분석 결과 각 주류별로 팝아트의 특징인 강렬한 색채 사용과 단순한 만화적 이미지 사용빈도가 높았다.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 분석 결과는 주류에 따라 이벤트성, 이미지 변화성, 가치 상승성 아트 컬래버레이션 등 적용사례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분석 결과 대중성 콘셉트를 가진 팝아트와 대중주류인 맥주에 활용이 컸다. 그러나 맥주는 홍보를 위한 이벤트성으로 적용되어 제품의 가치와 소장성이 부족함이 다소 아쉬웠다. 와인과 보드카는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에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축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켜 희소성을 강조하고 소장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다. 아트 컬래버레이션은 브랜드확장을 위한 하나의 전략적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