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对适用于产品设计的打孔图案的使用者的感性要素进行评价","authors":"Lim Ki Sup, 홍주표","doi":"10.21326/ksdt.2019.24.4.006","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미세먼지와 황사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비롯한 에어가전의 시장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에어가전에는 공기의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타공패턴이 제품의 외관에 적용된다. 최근 새로 나오는 에어가전은 다양한 형태의 타공패턴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 외관에 적용되는 타공패턴은 디자인 요소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n연구방법 우리는 타공패턴 중에서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패턴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제품에서 사용되는 타공패턴을 조사하여 대표적인 13가지의 타공패턴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타공패턴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샘플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타공패턴 샘플을 보면서 느껴지는 13가지의 감성요소(형태감, 균형감, 개념적 이미지, 품위감, 고급감, 역동감, 조화감, 주목성, 안락성, 선호도, 수용성, 만족성, 매력성)에 대하여 감성요소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n연구결과 실험이 끝나면 ANOVA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타공패턴에 대한 모든 감성요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감성요소 점수중에서 3.5점 이상은 긍정적인 느껴지는 감성요소로 판단하였고, 3.0점 미만은 부정적인 감성요소로 판단하여 감성요소별 타공패턴을 정리하였다.\n결론 에어가전의 특성상 타공패턴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타공패턴별 사용자에게 주는 감성요소를 고려하여 제품 이미지에 맞게 적용을 하면 사용자는 제품을 보면서 긍정적 감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PeriodicalId":224192,"journ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제품디자인에 적용되는 타공패턴에 관한 사용자의 감성요소 평가\",\"authors\":\"Lim Ki Sup, 홍주표\",\"doi\":\"10.21326/ksdt.2019.24.4.006\",\"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미세먼지와 황사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비롯한 에어가전의 시장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에어가전에는 공기의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타공패턴이 제품의 외관에 적용된다. 최근 새로 나오는 에어가전은 다양한 형태의 타공패턴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 외관에 적용되는 타공패턴은 디자인 요소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n연구방법 우리는 타공패턴 중에서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패턴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제품에서 사용되는 타공패턴을 조사하여 대표적인 13가지의 타공패턴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타공패턴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샘플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타공패턴 샘플을 보면서 느껴지는 13가지의 감성요소(형태감, 균형감, 개념적 이미지, 품위감, 고급감, 역동감, 조화감, 주목성, 안락성, 선호도, 수용성, 만족성, 매력성)에 대하여 감성요소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n연구결과 실험이 끝나면 ANOVA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타공패턴에 대한 모든 감성요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감성요소 점수중에서 3.5점 이상은 긍정적인 느껴지는 감성요소로 판단하였고, 3.0점 미만은 부정적인 감성요소로 판단하여 감성요소별 타공패턴을 정리하였다.\\n결론 에어가전의 특성상 타공패턴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타공패턴별 사용자에게 주는 감성요소를 고려하여 제품 이미지에 맞게 적용을 하면 사용자는 제품을 보면서 긍정적 감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PeriodicalId\":224192,\"journ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26/ksdt.2019.24.4.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 Design 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26/ksdt.2019.24.4.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연구배경 미세먼지와 황사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비롯한 에어가전의 시장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에어가전에는 공기의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타공패턴이 제품의 외관에 적용된다. 최근 새로 나오는 에어가전은 다양한 형태의 타공패턴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 외관에 적용되는 타공패턴은 디자인 요소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우리는 타공패턴 중에서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패턴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제품에서 사용되는 타공패턴을 조사하여 대표적인 13가지의 타공패턴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타공패턴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샘플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타공패턴 샘플을 보면서 느껴지는 13가지의 감성요소(형태감, 균형감, 개념적 이미지, 품위감, 고급감, 역동감, 조화감, 주목성, 안락성, 선호도, 수용성, 만족성, 매력성)에 대하여 감성요소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이 끝나면 ANOVA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타공패턴에 대한 모든 감성요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감성요소 점수중에서 3.5점 이상은 긍정적인 느껴지는 감성요소로 판단하였고, 3.0점 미만은 부정적인 감성요소로 판단하여 감성요소별 타공패턴을 정리하였다.
결론 에어가전의 특성상 타공패턴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타공패턴별 사용자에게 주는 감성요소를 고려하여 제품 이미지에 맞게 적용을 하면 사용자는 제품을 보면서 긍정적 감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