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东南亚terra和田确立的整体性和巴旺(bhavaṅga)概念的开展(2)-≷铮铮塔纳(paṭṭhṭāna)≸第一卷(chaṭhasaṅgāyana vol . 1)为中心","authors":"Kyung-rae 김경래Kim","doi":"10.21482/jbs.50..201703.1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동남아 테라와다 아비담마에서 독자적으로 발견되는 개념인 ‘바왕가 (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두 번째 연구이다. 논자는 이 아비담마 개념을 통해 소위 ‘초기불교’라 평가되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바왕가는 인식기관과 인식대상의 만남을 통해 촉발되는 능동적인 인식과정의 전후 상태를...","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2) -≷빳타나(Paṭṭhāna)≸ 제1권 (Chaṭṭhasaṅgāyana vol.1) 을 중심으로\",\"authors\":\"Kyung-rae 김경래Kim\",\"doi\":\"10.21482/jbs.50..201703.19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동남아 테라와다 아비담마에서 독자적으로 발견되는 개념인 ‘바왕가 (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두 번째 연구이다. 논자는 이 아비담마 개념을 통해 소위 ‘초기불교’라 평가되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바왕가는 인식기관과 인식대상의 만남을 통해 촉발되는 능동적인 인식과정의 전후 상태를...\",\"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0..201703.1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0..201703.19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2) -≷빳타나(Paṭṭhāna)≸ 제1권 (Chaṭṭhasaṅgāyana vol.1) 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동남아 테라와다 아비담마에서 독자적으로 발견되는 개념인 ‘바왕가 (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두 번째 연구이다. 논자는 이 아비담마 개념을 통해 소위 ‘초기불교’라 평가되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바왕가는 인식기관과 인식대상의 만남을 통해 촉발되는 능동적인 인식과정의 전후 상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