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足踝关节镜技术:关节镜下踝关节与距下融合","authors":"Heui-Chul Gwak","doi":"10.4055/JKOA.2018.53.2.112","DOIUrl":null,"url":null,"abstract":"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open ankle arthrodesis)은 진행된 발목 관절 골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방법에 있어 ‘gold standard’로서 널 리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발목 관절 전치환술(total ankle arthroplasty)의 발전 및 관절경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발 목 관절 골관절염의 치료 방법의 선택에 있어 많은 변화가 생겼 다.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 역시 관절경 관련 기술의 발전, 술 자의 관절경 사용 및 그에 따른 경험의 증가에 따라 초기에는 변 형이 적은 골관절염으로 적응증에 제한이 있었으나 점차 보다 심 한 변형의 교정에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1. 기존의 개방적 술식과의 비교 기존의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비교하여 관절경적 발목 유합 술은 술 후 통증이 적으며, 수술 중 실혈량이 적고, 연부조직 손상 을 줄임으로써 회복 속도가 빠르며, 병원 재원 일수를 줄일 수 있 고, 유합이 빨리 이루어지는 이론적 장점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연 부조직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발생 위험성이 보다 높은 당뇨병 환자나 말초혈관 질환 환자에 시행한 경우에도 창상 합병증을 줄 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2016년도까지의 비교적 최근 문헌들을 조사해 보면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에 대한 무작위 비교 연구는 없었다. Townshend 등 은 30예의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30예의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저자들은 두 술식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관절경적 술식에서 재원일수가 보다 적었다고 보고하였다. Myerson과 Quill은 관절경 사용군에서 보다 빠른 유 합을 보였다고 기술하였다(각각 8.7주, 14.5주). Michael 등은 36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두 술식의 유합 성공률은 유 사하나 관절경을 이용한 술식에서 수술 시간이 짧으며 병원 재원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112","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rthroscopy Techniques in Foot and Ankle Field: Arthroscopic Ankle and Subtalar Fusion\",\"authors\":\"Heui-Chul Gwak\",\"doi\":\"10.4055/JKOA.2018.53.2.112\",\"DOIUrl\":null,\"url\":null,\"abstract\":\"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open ankle arthrodesis)은 진행된 발목 관절 골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방법에 있어 ‘gold standard’로서 널 리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발목 관절 전치환술(total ankle arthroplasty)의 발전 및 관절경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발 목 관절 골관절염의 치료 방법의 선택에 있어 많은 변화가 생겼 다.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 역시 관절경 관련 기술의 발전, 술 자의 관절경 사용 및 그에 따른 경험의 증가에 따라 초기에는 변 형이 적은 골관절염으로 적응증에 제한이 있었으나 점차 보다 심 한 변형의 교정에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1. 기존의 개방적 술식과의 비교 기존의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비교하여 관절경적 발목 유합 술은 술 후 통증이 적으며, 수술 중 실혈량이 적고, 연부조직 손상 을 줄임으로써 회복 속도가 빠르며, 병원 재원 일수를 줄일 수 있 고, 유합이 빨리 이루어지는 이론적 장점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연 부조직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발생 위험성이 보다 높은 당뇨병 환자나 말초혈관 질환 환자에 시행한 경우에도 창상 합병증을 줄 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2016년도까지의 비교적 최근 문헌들을 조사해 보면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에 대한 무작위 비교 연구는 없었다. Townshend 등 은 30예의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30예의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저자들은 두 술식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관절경적 술식에서 재원일수가 보다 적었다고 보고하였다. Myerson과 Quill은 관절경 사용군에서 보다 빠른 유 합을 보였다고 기술하였다(각각 8.7주, 14.5주). Michael 등은 36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두 술식의 유합 성공률은 유 사하나 관절경을 이용한 술식에서 수술 시간이 짧으며 병원 재원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112\",\"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55/JKOA.2018.53.2.11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55/JKOA.2018.53.2.11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rthroscopy Techniques in Foot and Ankle Field: Arthroscopic Ankle and Subtalar Fusion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open ankle arthrodesis)은 진행된 발목 관절 골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방법에 있어 ‘gold standard’로서 널 리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발목 관절 전치환술(total ankle arthroplasty)의 발전 및 관절경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발 목 관절 골관절염의 치료 방법의 선택에 있어 많은 변화가 생겼 다.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 역시 관절경 관련 기술의 발전, 술 자의 관절경 사용 및 그에 따른 경험의 증가에 따라 초기에는 변 형이 적은 골관절염으로 적응증에 제한이 있었으나 점차 보다 심 한 변형의 교정에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1. 기존의 개방적 술식과의 비교 기존의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비교하여 관절경적 발목 유합 술은 술 후 통증이 적으며, 수술 중 실혈량이 적고, 연부조직 손상 을 줄임으로써 회복 속도가 빠르며, 병원 재원 일수를 줄일 수 있 고, 유합이 빨리 이루어지는 이론적 장점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연 부조직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발생 위험성이 보다 높은 당뇨병 환자나 말초혈관 질환 환자에 시행한 경우에도 창상 합병증을 줄 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2016년도까지의 비교적 최근 문헌들을 조사해 보면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에 대한 무작위 비교 연구는 없었다. Townshend 등 은 30예의 개방적 발목 관절 유합술과 30예의 관절경적 발목 관절 유합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저자들은 두 술식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관절경적 술식에서 재원일수가 보다 적었다고 보고하였다. Myerson과 Quill은 관절경 사용군에서 보다 빠른 유 합을 보였다고 기술하였다(각각 8.7주, 14.5주). Michael 등은 36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두 술식의 유합 성공률은 유 사하나 관절경을 이용한 술식에서 수술 시간이 짧으며 병원 재원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