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中生认识论信念、元认知、科学探究技能与科学成就的结构关系

Suehye Kim, Young-Lan Chung
{"title":"高中生认识论信念、元认知、科学探究技能与科学成就的结构关系","authors":"Suehye Kim, Young-Lan Chung","doi":"10.14697/JKASE.2015.35.6.0931","DOIUrl":null,"url":null,"abstract":"* 교신저자 : 정영란 (ylchung@ewha.ac.kr) ** 본 논문은 김수진의 2014년도 석사학위논문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음 http://dx.doi.org/10.14697/jkase.2015.35.6.0931 I. 서론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학교가 달성해야 할 목표이며 과제이다. 이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교수 . 학습의 결과로서 학생들의 교육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인 동시에 상급 학교의 진학과 앞으로의 진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일한 학습 환경에서 학습 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는 개인차가 나타난 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그 개인차를 줄이기 위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찾으 려고 노력해 왔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밝혀졌는데, 그 중 학습자 변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Bloom, 1976). 학습자 변인은 학업 성취를 가장 잘 설명해주 고 학습자 자신의 의지에 따라 학습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유일한 변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동기(Glynn et al., 2011: Kim & Seo, 2011), 과학 경험(Reynolds & Walberg, 1991), 메타인지(Plants, 2000), 과학 탐구 능력(Lee & Kim, 1996), 인식론적 신념(Schommer, 1994b) 등이 학생들의 학업성 취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지식 습득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인지적 능력인 과학 탐구 능력(Kwon & Kim, 1994)과 메타인지(Flavell, 1979; Pintrich & De Groot, 1990) 및 인식론적 신념(Schommer, 1990; Jehng, 1991)을 학습 자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 . 학습 환경에서 꾸준하게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과학 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며, 쉽게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속성을 지니는 지능이나 기억력 등과 달리 교육 적 경험에 따라 변하며 체계적인 훈련이나 연습에 의해 신장이 가능하 므로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실험 연구의 효과 검증에만 치우쳐 있어 이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는 했지만 과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나 어떤 변인이 다른 변인 에 우선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고 과학 탐구 능력, 메타 인지,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 가지 변인들에 대해 구조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나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해보고 자 한다. 현대 사회는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지식과 정보가 폭발 적으로 증가하고 급변하는 지식 기반 사회이다. 따라서 교사가 과학 수업에서 많은 양의 과학 지식과 정보를 구조화해서 학생들을 이해시 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과학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 개념을 습득하고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Kim, 1996).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직접 경험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5-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authors\":\"Suehye Kim, Young-Lan Chung\",\"doi\":\"10.14697/JKASE.2015.35.6.0931\",\"DOIUrl\":null,\"url\":null,\"abstract\":\"* 교신저자 : 정영란 (ylchung@ewha.ac.kr) ** 본 논문은 김수진의 2014년도 석사학위논문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음 http://dx.doi.org/10.14697/jkase.2015.35.6.0931 I. 서론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학교가 달성해야 할 목표이며 과제이다. 이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교수 . 학습의 결과로서 학생들의 교육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인 동시에 상급 학교의 진학과 앞으로의 진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일한 학습 환경에서 학습 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는 개인차가 나타난 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그 개인차를 줄이기 위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찾으 려고 노력해 왔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밝혀졌는데, 그 중 학습자 변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Bloom, 1976). 학습자 변인은 학업 성취를 가장 잘 설명해주 고 학습자 자신의 의지에 따라 학습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유일한 변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동기(Glynn et al., 2011: Kim & Seo, 2011), 과학 경험(Reynolds & Walberg, 1991), 메타인지(Plants, 2000), 과학 탐구 능력(Lee & Kim, 1996), 인식론적 신념(Schommer, 1994b) 등이 학생들의 학업성 취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지식 습득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인지적 능력인 과학 탐구 능력(Kwon & Kim, 1994)과 메타인지(Flavell, 1979; Pintrich & De Groot, 1990) 및 인식론적 신념(Schommer, 1990; Jehng, 1991)을 학습 자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 . 학습 환경에서 꾸준하게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과학 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며, 쉽게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속성을 지니는 지능이나 기억력 등과 달리 교육 적 경험에 따라 변하며 체계적인 훈련이나 연습에 의해 신장이 가능하 므로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실험 연구의 효과 검증에만 치우쳐 있어 이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는 했지만 과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나 어떤 변인이 다른 변인 에 우선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고 과학 탐구 능력, 메타 인지,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 가지 변인들에 대해 구조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나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해보고 자 한다. 현대 사회는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지식과 정보가 폭발 적으로 증가하고 급변하는 지식 기반 사회이다. 따라서 교사가 과학 수업에서 많은 양의 과학 지식과 정보를 구조화해서 학생들을 이해시 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과학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 개념을 습득하고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Kim, 1996).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직접 경험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5-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通讯作者:정영란(ylchung @ ewha . ac . kr) * *本文金水镇2014年석사학위논문运用重新编制的数据的http: / / dx, doi。org / 10 . 14697 / jkase。2015 . 35 . 6 0931 i .导言学业成就度的提高是学校应该达到的目标,是课题。这是学生们学业成就度的教授。因为作为学习的结果,是判断学生是否达到教育目标的资料,同时也会对上级学校的升学和以后的前途产生很大的影响。但是,即使是在同样的学习环境中学习,学生的学业成就度也会出现个人差异。因此,在教育现场,为了提高学生的学业成就度,并减少其个人差异,一直在努力寻找对学业成就度产生影响的“能人”。通过先行研究发现了影响科学学业成就度的多种因素,其中最重要的是学习者因素(Bloom, 1976)。值得注意的是,学习者是唯一能很好地说明学业成就,并根据学习者自己的意志带来学习结果的学习者。在对影响科学学业成就度的学习者变异相关的多项研究中,对科学的态度和学习动机(Glynn et al., 2011:)Kim & Seo, 2011)、科学经验(Reynolds & Walberg, 1991)、元认知(Plants, 2000)、科学探索能力(Lee & Kim, 1996)、认识论信念(Schommer, 1994b)等对提高学生的学业成就度起到了重要的作用。在这些变异中,在本研究中,科学探索能力(Kwon & Kim, 1994)和元认知能力(Flavell, 1979;pintrich&de Groot, 1990)及认识论上的信念(Schommer, 1990;Jehng(1991)为学习者变量。他们是以学习者为中心的教授。在学习环境中不断强调其重要性,对理解为培养科学教育的目标——科学素养所必需的科学的本性非常有效;因为与具有不容易变化的稳定属性的智能或记忆力等不同,随着教育经验的变化而变化,通过系统的训练或练习可以提高身高,因此被判断为在教育现场能够提供实际的帮助。以前的研究大都偏重实验研究的效果验证,因此这些边的出现之间的相互关联性较高,但对科学学业成就度相对影响力或任何边是否优先于其他变——应该对没有众所周知的科学探究能力、元认知整合认识论信念之间的关系还不清楚地表明了这一点。因此,我们想通过从结构上接近三种变异人,查明对学业成就度产生的相对影响力和变异人之间的因果关系。现代社会是一个因科学和技术的急剧发展,知识和信息爆发性地增加和剧变的知识基础社会。因此,教师在科学课程中对大量的科学知识和信息进行结构化,让学生理解是有限度的。因此,与其向学生传授片面的科学知识,还不如通过探索活动指导学生学习和理解科学概念(Kim, 1996)。学生直接体验探索过程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교신저자 : 정영란 (ylchung@ewha.ac.kr) ** 본 논문은 김수진의 2014년도 석사학위논문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음 http://dx.doi.org/10.14697/jkase.2015.35.6.0931 I. 서론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학교가 달성해야 할 목표이며 과제이다. 이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교수 . 학습의 결과로서 학생들의 교육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인 동시에 상급 학교의 진학과 앞으로의 진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일한 학습 환경에서 학습 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는 개인차가 나타난 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그 개인차를 줄이기 위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찾으 려고 노력해 왔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밝혀졌는데, 그 중 학습자 변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Bloom, 1976). 학습자 변인은 학업 성취를 가장 잘 설명해주 고 학습자 자신의 의지에 따라 학습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유일한 변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동기(Glynn et al., 2011: Kim & Seo, 2011), 과학 경험(Reynolds & Walberg, 1991), 메타인지(Plants, 2000), 과학 탐구 능력(Lee & Kim, 1996), 인식론적 신념(Schommer, 1994b) 등이 학생들의 학업성 취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지식 습득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인지적 능력인 과학 탐구 능력(Kwon & Kim, 1994)과 메타인지(Flavell, 1979; Pintrich & De Groot, 1990) 및 인식론적 신념(Schommer, 1990; Jehng, 1991)을 학습 자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 . 학습 환경에서 꾸준하게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과학 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며, 쉽게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속성을 지니는 지능이나 기억력 등과 달리 교육 적 경험에 따라 변하며 체계적인 훈련이나 연습에 의해 신장이 가능하 므로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실험 연구의 효과 검증에만 치우쳐 있어 이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는 했지만 과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나 어떤 변인이 다른 변인 에 우선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고 과학 탐구 능력, 메타 인지,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 가지 변인들에 대해 구조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나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해보고 자 한다. 현대 사회는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지식과 정보가 폭발 적으로 증가하고 급변하는 지식 기반 사회이다. 따라서 교사가 과학 수업에서 많은 양의 과학 지식과 정보를 구조화해서 학생들을 이해시 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과학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 개념을 습득하고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Kim, 1996).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직접 경험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