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eong Seob Yang, Su Yeob Na, Soojoong Nam, Sang Hun Lee, Ho Lim Yoo, Hyun-jun Cho, Eui-Hyun Choi, Hyukku Lee, Youngseok Jang
{"title":"中国的中长期经济改革课题与展望(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authors":"Pyeong Seob Yang, Su Yeob Na, Soojoong Nam, Sang Hun Lee, Ho Lim Yoo, Hyun-jun Cho, Eui-Hyun Choi, Hyukku Lee, Youngseok Jang","doi":"10.2139/SSRN.2439057","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금융개혁 과제 중국정부는 자유화ㆍ국제화ㆍ민영화를 금융개혁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중국은 금융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할 예정이다. 둘째, 중국정부는 금융의 실물경제 지원체제 강화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셋째, 중국정부는 금리자유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려 한다. 넷째, 중국은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자유화하는 동시에 외환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다섯째, 중국정부는 향후 발생할 금융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들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금융감독 시스템의 선진화를 추진한다.재정개혁 과제 현재 중국의 재정제도는 1994년 단행된 분세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분세제는 중앙정부 재정수입의 안정적인 증가를 도모하고 중앙정부의 거시경제 조절능력의 제고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의 행정관리권(事權)과 재정권(財權)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세원에 대해 중앙정부에 귀속되는 국세, 지방정부에 귀속되는 지방세,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공유하는 공동세(共享稅)로 구분하여 각각 징수하였다. 그러나 재정력이 중앙정부로 집중되고 지방정부의 재정수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조세구조로 인해 지방정부의 재정적자가 빠르게 확대되었다. 현재의 지방정부 채무가 지출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입에 기인하는 구조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지방정부의 채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조세분배율 조정이나 부동산세 징수 등의 재정개혁을 통해 지방정부에 자체적인 세원이나 수입원을 제공해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능력을 강화해야 한다.세제개혁 과제 현행 중국의 조세제도는 수평적 공평의 달성에는 유리하나 수직적 공평의 실현에는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뿐 아니라 내수 소비의 확대를 통한 글로벌 불균형 문제의 해소에도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중국의 세제개혁은 수직적 공평의 실현을 통해 중국 국내에서의 소득불균형ㆍ조세부담의 불공평ㆍ글로벌 불균형문제를 해소하고 자원의 최적배분을 통한 정책 목적의 달성(사회주의 국가의 완성)에 방점을 둘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중국정부는 구체적으로 세제를 개편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국유기업 개혁 과제 2013년 11월 제18기 3중전회의 ‘결정’ 내용 가운데 국유기업 개혁과 관련해 크게 두 가지의 두드러진 점이 있다. 하나는 시장 역할의 재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공유제와 비공유 경제의 위상을 대등하게 설정하면서 혼합소유제를 중시한 것이다. 이로써 제5세대 지도부의 국유기업 개혁의 기본원칙은 드러났으나, 구체적인 시행방침이나 세칙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번 3중전회에서 ‘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를 구성한 것은 중국의 점진주의적(gradualistic)인 개혁 스타일의 연속이다. 이것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과 조치가 마련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또 하나는 그것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시장개혁 과제 개혁ㆍ개방 이후 중국은 점진적으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그 시스템을 이행시켜 왔다. 1990년대 초까지 중국의 시장개혁은 주로 왜곡된 가격제도를 시정하여 공급부족 경제를 탈피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 후 십 년간은 개방과 경쟁을 통한 효율성 제고를 추구하였다. 2000년도 이후의 개혁은 좀 더 시장경제의 질서를 갖추기 위한 방향으로 조정이 진행되었다. 현재의 중국경제가 계획경제의 모습에서는 벗어났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시장경제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공정한 시장경쟁을 위한 개혁조치의 하나가 바로 반독점법의 제정이다. 중국에서의 독점은 시장 내 자연발생된 민간기업에 의한 독점과 정부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국유기업에 의한 독점(행정독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반독점 규제개혁은 외자기업을 비롯한 민간부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독점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외자기업이 차별적인 대우를 받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런 이유로 앞으로의 반독점 개혁은 법 적용에서의 공평성과 일관성이 중요해질 것이다. 가격개혁 과제 중국은 개혁ㆍ개방 이후 정부 주도의 가격통제에 따른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경제 가격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현재의 지도부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전방식의 전환을 위해 자원배분에 있어서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원ㆍ에너지 가격 및 농산물 가격 시장화를 위한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노동ㆍ호적 제도 개혁 과제 중국 국무원은 2013년 2월에 발표한 「소득분배제도 개혁 심화에 관한 약간의 의견, 이하 ‘약간의 의견’이라고 함)」을 통해 민생개선과 분배제도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과 호적제도 개혁을 통해 민생정책의 내용과 그 방향을 분석하였다.대외경제 개혁 과제 중국 신지도부의 대외경제정책 추진 방향은 크게 대외무역 발전방식 전환, 주동적 개방전략, 적극적 통상ㆍ지역협력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국내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에 부응하여 대외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수출산업의 고도화 및 수출ㆍ수입의 균형 발전을 추진한다. 또한 개방을 통해 국내경제의 개혁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바,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는 이러한 주동적 개방전략 추진의 대표적인 예로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경제의 지역주의와 신보호무역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통상 및 FTA 전략을 추구할 것이다. 중국이 이러한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과제로는 외국인투자와 해외투자 관련 개혁,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자본항목의 자유태환과 환율제도 개혁, 중국의 FTA 추진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방향과 시사점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향후 중국의 경제개혁 추진 방향은 다음과 같다. 국유기업 및 국유자산에 대한 개혁에서는 다양한 소유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이 기본방향이며, 금융 분야 개혁의 주요 내용은 진입제한 완화, 금리 시장화, 자본시장 개혁,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혁을 포함하고 있다. 재정 및 세제 개혁에 있어서는 새로운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에 부합하는 개혁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가격결정 과정에서 정부의 개입을 축소하고,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격개혁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발전을 위해 토지제도 개혁, 호적제도 개혁을 추진하고, 개방을 통한 국내 개혁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 밖에 노동자에 대한 분배를 강화하고 재분배를 통한 소득불균형 해소를 추진하며, 민생과 사회분야 개혁도 추진될 전망이다.English Abstract: This report examines the content and prospects of Chinese economic reforms in finance, fiscal systems, taxation, SOEs, market, pricing, labor/hukou, and international economy; followed by proposed implications and responses for Korea.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is report, the direction of the Chinese economic reforms is as follows. The main theme in the SOE reform, for example, is diversification of ownership. Financial reforms include abolition of limits to market access, interest rate marketization, capital market reforms, and reforms related to RMB internationalization. For fiscal systems and taxation, an appropriate refor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mode will be adopted;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ce mechanism determined by the marke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price-decision process will be reduced. In terms of rural-urban integration, land reform and hukou reform will be promoted and a variety of demonstrative actions will be undertaken to expedite domestic reform following opening-up policies. In addition, to improve people's livelihood, social reforms such as increased distribution to laborers and resolu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issue will be enacted.China's economic reform have import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Korean enterprises in China but also for Korea's external trade with China. Foremost, China’s economic growth rate is expected to be slowed due to extensive economic reforms. At this point, Korea is noticing a marked slowdown in the rate of increase of its exports to China. Moreover, Korea should be prepared as the reforms in China may become a double-edged sword in terms of investment and export to China. On one hand, the Chinese market will provide more opportunities in new fields, in case the reform leads to improved investment systems and enhanced level of openness. On the other, increased factor-price could develop into a big threat for Korea.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concentrate efforts on creat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in order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extensive economic reform policies of the new Chinese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e Korea-China FTA will become key and during the negotiation, Korea should seek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ess from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and changes i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PeriodicalId":222083,"journal":{"name":"ERN: Fiscal Policy & Institutional Change in Transition Economics (Topic)","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3-12-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authors\":\"Pyeong Seob Yang, Su Yeob Na, Soojoong Nam, Sang Hun Lee, Ho Lim Yoo, Hyun-jun Cho, Eui-Hyun Choi, Hyukku Lee, Youngseok Jang\",\"doi\":\"10.2139/SSRN.2439057\",\"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금융개혁 과제 중국정부는 자유화ㆍ국제화ㆍ민영화를 금융개혁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중국은 금융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할 예정이다. 둘째, 중국정부는 금융의 실물경제 지원체제 강화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셋째, 중국정부는 금리자유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려 한다. 넷째, 중국은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자유화하는 동시에 외환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다섯째, 중국정부는 향후 발생할 금융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들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금융감독 시스템의 선진화를 추진한다.재정개혁 과제 현재 중국의 재정제도는 1994년 단행된 분세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분세제는 중앙정부 재정수입의 안정적인 증가를 도모하고 중앙정부의 거시경제 조절능력의 제고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의 행정관리권(事權)과 재정권(財權)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세원에 대해 중앙정부에 귀속되는 국세, 지방정부에 귀속되는 지방세,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공유하는 공동세(共享稅)로 구분하여 각각 징수하였다. 그러나 재정력이 중앙정부로 집중되고 지방정부의 재정수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조세구조로 인해 지방정부의 재정적자가 빠르게 확대되었다. 현재의 지방정부 채무가 지출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입에 기인하는 구조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지방정부의 채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조세분배율 조정이나 부동산세 징수 등의 재정개혁을 통해 지방정부에 자체적인 세원이나 수입원을 제공해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능력을 강화해야 한다.세제개혁 과제 현행 중국의 조세제도는 수평적 공평의 달성에는 유리하나 수직적 공평의 실현에는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뿐 아니라 내수 소비의 확대를 통한 글로벌 불균형 문제의 해소에도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중국의 세제개혁은 수직적 공평의 실현을 통해 중국 국내에서의 소득불균형ㆍ조세부담의 불공평ㆍ글로벌 불균형문제를 해소하고 자원의 최적배분을 통한 정책 목적의 달성(사회주의 국가의 완성)에 방점을 둘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중국정부는 구체적으로 세제를 개편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국유기업 개혁 과제 2013년 11월 제18기 3중전회의 ‘결정’ 내용 가운데 국유기업 개혁과 관련해 크게 두 가지의 두드러진 점이 있다. 하나는 시장 역할의 재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공유제와 비공유 경제의 위상을 대등하게 설정하면서 혼합소유제를 중시한 것이다. 이로써 제5세대 지도부의 국유기업 개혁의 기본원칙은 드러났으나, 구체적인 시행방침이나 세칙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번 3중전회에서 ‘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를 구성한 것은 중국의 점진주의적(gradualistic)인 개혁 스타일의 연속이다. 이것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과 조치가 마련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또 하나는 그것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시장개혁 과제 개혁ㆍ개방 이후 중국은 점진적으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그 시스템을 이행시켜 왔다. 1990년대 초까지 중국의 시장개혁은 주로 왜곡된 가격제도를 시정하여 공급부족 경제를 탈피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 후 십 년간은 개방과 경쟁을 통한 효율성 제고를 추구하였다. 2000년도 이후의 개혁은 좀 더 시장경제의 질서를 갖추기 위한 방향으로 조정이 진행되었다. 현재의 중국경제가 계획경제의 모습에서는 벗어났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시장경제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공정한 시장경쟁을 위한 개혁조치의 하나가 바로 반독점법의 제정이다. 중국에서의 독점은 시장 내 자연발생된 민간기업에 의한 독점과 정부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국유기업에 의한 독점(행정독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반독점 규제개혁은 외자기업을 비롯한 민간부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독점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외자기업이 차별적인 대우를 받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런 이유로 앞으로의 반독점 개혁은 법 적용에서의 공평성과 일관성이 중요해질 것이다. 가격개혁 과제 중국은 개혁ㆍ개방 이후 정부 주도의 가격통제에 따른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경제 가격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현재의 지도부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전방식의 전환을 위해 자원배분에 있어서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원ㆍ에너지 가격 및 농산물 가격 시장화를 위한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노동ㆍ호적 제도 개혁 과제 중국 국무원은 2013년 2월에 발표한 「소득분배제도 개혁 심화에 관한 약간의 의견, 이하 ‘약간의 의견’이라고 함)」을 통해 민생개선과 분배제도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과 호적제도 개혁을 통해 민생정책의 내용과 그 방향을 분석하였다.대외경제 개혁 과제 중국 신지도부의 대외경제정책 추진 방향은 크게 대외무역 발전방식 전환, 주동적 개방전략, 적극적 통상ㆍ지역협력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국내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에 부응하여 대외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수출산업의 고도화 및 수출ㆍ수입의 균형 발전을 추진한다. 또한 개방을 통해 국내경제의 개혁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바,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는 이러한 주동적 개방전략 추진의 대표적인 예로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경제의 지역주의와 신보호무역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통상 및 FTA 전략을 추구할 것이다. 중국이 이러한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과제로는 외국인투자와 해외투자 관련 개혁,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자본항목의 자유태환과 환율제도 개혁, 중국의 FTA 추진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방향과 시사점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향후 중국의 경제개혁 추진 방향은 다음과 같다. 국유기업 및 국유자산에 대한 개혁에서는 다양한 소유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이 기본방향이며, 금융 분야 개혁의 주요 내용은 진입제한 완화, 금리 시장화, 자본시장 개혁,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혁을 포함하고 있다. 재정 및 세제 개혁에 있어서는 새로운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에 부합하는 개혁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가격결정 과정에서 정부의 개입을 축소하고,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격개혁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발전을 위해 토지제도 개혁, 호적제도 개혁을 추진하고, 개방을 통한 국내 개혁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 밖에 노동자에 대한 분배를 강화하고 재분배를 통한 소득불균형 해소를 추진하며, 민생과 사회분야 개혁도 추진될 전망이다.English Abstract: This report examines the content and prospects of Chinese economic reforms in finance, fiscal systems, taxation, SOEs, market, pricing, labor/hukou, and international economy; followed by proposed implications and responses for Korea.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is report, the direction of the Chinese economic reforms is as follows. The main theme in the SOE reform, for example, is diversification of ownership. Financial reforms include abolition of limits to market access, interest rate marketization, capital market reforms, and reforms related to RMB internationalization. For fiscal systems and taxation, an appropriate refor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mode will be adopted;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ce mechanism determined by the marke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price-decision process will be reduced. In terms of rural-urban integration, land reform and hukou reform will be promoted and a variety of demonstrative actions will be undertaken to expedite domestic reform following opening-up policies. In addition, to improve people's livelihood, social reforms such as increased distribution to laborers and resolu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issue will be enacted.China's economic reform have import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Korean enterprises in China but also for Korea's external trade with China. Foremost, China’s economic growth rate is expected to be slowed due to extensive economic reforms. At this point, Korea is noticing a marked slowdown in the rate of increase of its exports to China. Moreover, Korea should be prepared as the reforms in China may become a double-edged sword in terms of investment and export to China. On one hand, the Chinese market will provide more opportunities in new fields, in case the reform leads to improved investment systems and enhanced level of openness. On the other, increased factor-price could develop into a big threat for Korea.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concentrate efforts on creat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in order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extensive economic reform policies of the new Chinese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e Korea-China FTA will become key and during the negotiation, Korea should seek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ess from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and changes i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PeriodicalId\":222083,\"journal\":{\"name\":\"ERN: Fiscal Policy & Institutional Change in Transition Economics (Topic)\",\"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3-12-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RN: Fiscal Policy & Institutional Change in Transition Economic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24390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RN: Fiscal Policy & Institutional Change in Transition Economic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24390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金融改革课题中国政府将自由化、国际化、民营化设定为金融改革方向,为实现这一目标,计划推进以下改革。第一,中国将使金融市场的有效资源配置功能恢复正常。第二,在加强金融实体经济扶持体制方面,中国政府将推进改善对中小企业的贷款环境。第三,中国政府要分阶段推进利率自由化。第四,中国将使汇率在市场上自由决定,同时放宽对外汇的限制。第五,中国政府将推进应对今后可能发生的金融风险的措施。最后,推进金融监督系统的先进化。财政改革课题目前中国的财政制度以1994年实行的分税制为基础。分税制的实施是为了促进中央政府财政收入的稳定增长、提高中央政府的宏观经济调节能力、明确中央政府与地方政府之间的行政管理权和财政权的关系。为此,税源分为归属中央政府的国税,归属地方政府的地方税,以及中央政府和地方政府共同共有的共同税分别征收。但是,由于财政力量集中到中央政府,地方政府的财政收入难以稳定维持的税收结构,地方政府的财政赤字迅速扩大。目前的地方政府债务支出相比,绝对不足的起因于进口结构中有出发,考虑到,地方政府的债务,为了解决中央和地方조세분倍率调解或通过房地产税征收等的财政改革,地方政府本身的税源或提供收入来源,地方政府的财政自立能力需加强。税制改革课题现行中国的税收制度结构有利于实现水平公平,但不利于实现垂直公平。不仅如此,这对通过扩大内需消费来解决全球不均衡问题也很不利。因此,今后中国的税制改革通过纵向公平的实现,中国在国内收入不均衡、税负不公的消除全球不平衡,资源的优化配置,通过政策目的(社会主义国家)将重点放在完成,今后,中国政府将具体税制改编将下去。国有企业改革课题2013年11月十八届三中全会《决定》内容中,国有企业改革有两大突出点。一是对市场作用的财政,二是将公有制和非公有制经济的地位同等设定,重视混合所有制。至此,第五代领导层国有企业改革的基本原则已经浮出水面,但很难找到具体的实行方针和细则。此次三中全会组成“全面深化改革领导小组”,是中国渐进式(gradualistic)改革风格的延续。这意味着还没有制定出具体的计划和措施,还有一点是不容易制定出来。市场改革课题改革开放以后,中国逐渐从计划经济向市场经济过渡。到20世纪90年代初为止,中国的市场改革主要是纠正歪曲的价格制度,摆脱供应不足的经济,并在此后的十年里追求通过开放和竞争提高效率。2000年以后的改革朝着更加建立市场经济秩序的方向进行了调整。目前的中国经济虽然摆脱了计划经济的模式,但并不具备完全的市场经济模式。公平市场竞争的改革措施之一就是制定反垄断法。在中国的垄断可以分为市场内自发的民间企业垄断和政府人为制造的国有企业垄断(行政垄断)。到目前为止的反垄断规制改革的内容是如何限制外资企业等民间领域自然发生的垄断。而且,也有人担心在此过程中外资企业会不会受到差别待遇。因此,在今后的反垄断改革中,适用法律的公平性和一贯性将变得非常重要。价格改革课题中国在改革开放以后,为了解决政府主导的价格控制导致的资源配置的非效率性问题,正在摸索向市场经济价格体制的转换。特别是现在的领导班子为了实现可持续增长的发展方式转换,强调了市场在资源配置中的作用,正在进行资源能源价格及农产品价格市场化定价机制的改革。劳动·户籍制度改革课题中国国务院2013年2月发表《关于深化收入分配制度改革的若干意见,以下称“若干意见”)》,提出了改善民生和分配制度改革的蓝图。本研究通过劳动和户籍制度改革,分析了民生政策的内容和方向。对外经济改革课题中国新领导层推进对外经济政策的方向大致可分为转换对外贸易发展方式、主动开放战略、积极的通商和地区合作战略。首先,为适应国内经济发展方式的转变,谋求对外经济发展方式的转变,推进出口产业高度化和出口进口均衡发展。另外,将重点放在通过开放引导国内经济改革上,上海自由贸易试验区可以作为推进这种主动开放战略的代表性例子。最后,为了应对世界经济的地区主义和新保护贸易化趋势,将追求积极的通商及FTA战略。中国为实现这一战略,将提出有关外国人投资和海外投资的改革、为人民币国际化的资本项目自由兑换和汇率制度改革、中国的FTA推进战略。根据中国中长期经济改革方向和启示研究的分析结果,今后中国的经济改革推进方向如下。国有企业及国有资产改革的基本方向是发展多种所有制,金融领域改革的主要内容包括放宽进入限制、利率市场化、资本市场改革、人民币国际化相关制度改革。在财政和税制改革方面,将推进符合转变新的经济发展方式的改革,缩小政府在定价过程中的介入,推进建立市场定价系统的价格改革。为了城乡一体化发展,将进行土地制度改革、户籍制度改革,通过开放促进国内改革的多种试验。此外,还有望加强对劳动者的分配,通过再分配消除收入不均衡现象,并推进民生和社会领域的改革。English Abstract: This report examines the content and prospects of Chinese economic reforms in finance, fiscal systems, taxation, SOEs, market, pricing, labor/hukou, and international economy;followed by proposed implications and responses for Korea。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is report, the direction of the Chinese economic reforms is as follows。The main theme in The SOE reform, for example, is diversification of ownership。Financial reforms include abolition of limits to market access, interest rate marketization, capital market reforms, and reforms related to RMB internationalization。For fiscal systems and taxation, an appropriate refor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mode will be adopted;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ce mechanism determined by the marke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price-decision process will be reduced。In terms of rural-urban integration, land reform and hukou reform will be promoted and a variety of demonstrative actions will be undertaken to expedite domestic reform following opening-up policies。In addition, to improve people's livelihood, social reforms such as increased distribution to laborers and resolu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issue will be enacted。China's economic reform have import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Korean enterprises in China but also for Korea's external trade with China。Foremost China ' s economic growth rate is expected to be slowed due to extensive economic reforms。At this point, Korea is noticing a marked slowdown in the rate of increase of its exports to China。Moreover, Korea should be prepared as the reforms in China may become a double-edged sword in terms of investment and export to China 一方面,中国市场将在新的领域提供更多的机会,如果改革导致投资体制的完善和开放水平的提高。另一方面,要素价格的上涨有可能成为对韩国的巨大威胁。为了抵消中国新政府的大规模经济改革政策的影响,韩国政府有必要集中精力,建立改善与中国经济合作环境的制度框架。在这种情况下,韩中自由贸易协定将成为关键,在谈判过程中,韩国应该寻求利用中国长期经济改革所取得的进展和国际经济政策变化的方法。
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Korean Abstract: 금융개혁 과제 중국정부는 자유화ㆍ국제화ㆍ민영화를 금융개혁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중국은 금융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할 예정이다. 둘째, 중국정부는 금융의 실물경제 지원체제 강화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셋째, 중국정부는 금리자유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려 한다. 넷째, 중국은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자유화하는 동시에 외환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다섯째, 중국정부는 향후 발생할 금융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들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금융감독 시스템의 선진화를 추진한다.재정개혁 과제 현재 중국의 재정제도는 1994년 단행된 분세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분세제는 중앙정부 재정수입의 안정적인 증가를 도모하고 중앙정부의 거시경제 조절능력의 제고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의 행정관리권(事權)과 재정권(財權)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세원에 대해 중앙정부에 귀속되는 국세, 지방정부에 귀속되는 지방세,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공유하는 공동세(共享稅)로 구분하여 각각 징수하였다. 그러나 재정력이 중앙정부로 집중되고 지방정부의 재정수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조세구조로 인해 지방정부의 재정적자가 빠르게 확대되었다. 현재의 지방정부 채무가 지출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입에 기인하는 구조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지방정부의 채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조세분배율 조정이나 부동산세 징수 등의 재정개혁을 통해 지방정부에 자체적인 세원이나 수입원을 제공해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능력을 강화해야 한다.세제개혁 과제 현행 중국의 조세제도는 수평적 공평의 달성에는 유리하나 수직적 공평의 실현에는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뿐 아니라 내수 소비의 확대를 통한 글로벌 불균형 문제의 해소에도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중국의 세제개혁은 수직적 공평의 실현을 통해 중국 국내에서의 소득불균형ㆍ조세부담의 불공평ㆍ글로벌 불균형문제를 해소하고 자원의 최적배분을 통한 정책 목적의 달성(사회주의 국가의 완성)에 방점을 둘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중국정부는 구체적으로 세제를 개편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국유기업 개혁 과제 2013년 11월 제18기 3중전회의 ‘결정’ 내용 가운데 국유기업 개혁과 관련해 크게 두 가지의 두드러진 점이 있다. 하나는 시장 역할의 재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공유제와 비공유 경제의 위상을 대등하게 설정하면서 혼합소유제를 중시한 것이다. 이로써 제5세대 지도부의 국유기업 개혁의 기본원칙은 드러났으나, 구체적인 시행방침이나 세칙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번 3중전회에서 ‘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를 구성한 것은 중국의 점진주의적(gradualistic)인 개혁 스타일의 연속이다. 이것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과 조치가 마련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또 하나는 그것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시장개혁 과제 개혁ㆍ개방 이후 중국은 점진적으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그 시스템을 이행시켜 왔다. 1990년대 초까지 중국의 시장개혁은 주로 왜곡된 가격제도를 시정하여 공급부족 경제를 탈피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 후 십 년간은 개방과 경쟁을 통한 효율성 제고를 추구하였다. 2000년도 이후의 개혁은 좀 더 시장경제의 질서를 갖추기 위한 방향으로 조정이 진행되었다. 현재의 중국경제가 계획경제의 모습에서는 벗어났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시장경제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공정한 시장경쟁을 위한 개혁조치의 하나가 바로 반독점법의 제정이다. 중국에서의 독점은 시장 내 자연발생된 민간기업에 의한 독점과 정부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국유기업에 의한 독점(행정독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반독점 규제개혁은 외자기업을 비롯한 민간부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독점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외자기업이 차별적인 대우를 받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런 이유로 앞으로의 반독점 개혁은 법 적용에서의 공평성과 일관성이 중요해질 것이다. 가격개혁 과제 중국은 개혁ㆍ개방 이후 정부 주도의 가격통제에 따른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경제 가격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현재의 지도부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전방식의 전환을 위해 자원배분에 있어서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원ㆍ에너지 가격 및 농산물 가격 시장화를 위한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노동ㆍ호적 제도 개혁 과제 중국 국무원은 2013년 2월에 발표한 「소득분배제도 개혁 심화에 관한 약간의 의견, 이하 ‘약간의 의견’이라고 함)」을 통해 민생개선과 분배제도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과 호적제도 개혁을 통해 민생정책의 내용과 그 방향을 분석하였다.대외경제 개혁 과제 중국 신지도부의 대외경제정책 추진 방향은 크게 대외무역 발전방식 전환, 주동적 개방전략, 적극적 통상ㆍ지역협력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국내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에 부응하여 대외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수출산업의 고도화 및 수출ㆍ수입의 균형 발전을 추진한다. 또한 개방을 통해 국내경제의 개혁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바,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는 이러한 주동적 개방전략 추진의 대표적인 예로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경제의 지역주의와 신보호무역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통상 및 FTA 전략을 추구할 것이다. 중국이 이러한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과제로는 외국인투자와 해외투자 관련 개혁,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자본항목의 자유태환과 환율제도 개혁, 중국의 FTA 추진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방향과 시사점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향후 중국의 경제개혁 추진 방향은 다음과 같다. 국유기업 및 국유자산에 대한 개혁에서는 다양한 소유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이 기본방향이며, 금융 분야 개혁의 주요 내용은 진입제한 완화, 금리 시장화, 자본시장 개혁,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혁을 포함하고 있다. 재정 및 세제 개혁에 있어서는 새로운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에 부합하는 개혁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가격결정 과정에서 정부의 개입을 축소하고,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격개혁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발전을 위해 토지제도 개혁, 호적제도 개혁을 추진하고, 개방을 통한 국내 개혁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 밖에 노동자에 대한 분배를 강화하고 재분배를 통한 소득불균형 해소를 추진하며, 민생과 사회분야 개혁도 추진될 전망이다.English Abstract: This report examines the content and prospects of Chinese economic reforms in finance, fiscal systems, taxation, SOEs, market, pricing, labor/hukou, and international economy; followed by proposed implications and responses for Korea.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is report, the direction of the Chinese economic reforms is as follows. The main theme in the SOE reform, for example, is diversification of ownership. Financial reforms include abolition of limits to market access, interest rate marketization, capital market reforms, and reforms related to RMB internationalization. For fiscal systems and taxation, an appropriate refor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mode will be adopted;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ce mechanism determined by the marke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price-decision process will be reduced. In terms of rural-urban integration, land reform and hukou reform will be promoted and a variety of demonstrative actions will be undertaken to expedite domestic reform following opening-up policies. In addition, to improve people's livelihood, social reforms such as increased distribution to laborers and resolu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issue will be enacted.China's economic reform have import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Korean enterprises in China but also for Korea's external trade with China. Foremost, China’s economic growth rate is expected to be slowed due to extensive economic reforms. At this point, Korea is noticing a marked slowdown in the rate of increase of its exports to China. Moreover, Korea should be prepared as the reforms in China may become a double-edged sword in terms of investment and export to China. On one hand, the Chinese market will provide more opportunities in new fields, in case the reform leads to improved investment systems and enhanced level of openness. On the other, increased factor-price could develop into a big threat for Korea.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concentrate efforts on creat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in order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extensive economic reform policies of the new Chinese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e Korea-China FTA will become key and during the negotiation, Korea should seek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ess from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and changes i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