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有关金日写的讨论现阶段和新的理解方向","authors":"정훈식","doi":"10.35374/dyha.52..201902.0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한국학에서 金日磾를 새롭게 연구해야할 필요성과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김일제를 인식하는 두 견해에 대하여 모두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지부진한 논의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가설적 추론을 소개하였다. 김 \n일제는 [漢書]에 전해오는 인물이지만, 「文武王陵碑」에도...","PeriodicalId":301589,"journ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金日磾 관련 논의의 현 단계와 새로운 이해의 방향\",\"authors\":\"정훈식\",\"doi\":\"10.35374/dyha.52..201902.0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한국학에서 金日磾를 새롭게 연구해야할 필요성과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김일제를 인식하는 두 견해에 대하여 모두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지부진한 논의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가설적 추론을 소개하였다. 김 \\n일제는 [漢書]에 전해오는 인물이지만, 「文武王陵碑」에도...\",\"PeriodicalId\":301589,\"journ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374/dyha.52..201902.0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374/dyha.52..201902.0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글은 한국학에서 金日磾를 새롭게 연구해야할 필요성과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김일제를 인식하는 두 견해에 대하여 모두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지부진한 논의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가설적 추론을 소개하였다. 김
일제는 [漢書]에 전해오는 인물이지만, 「文武王陵碑」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