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unsoo Ham, Ki Pyoung Kim, Hojin Jeong, S. H. Yoo
{"title":"在准确的目击者记忆检索过程中增加腹外侧前额叶皮层的激活:一项探索性功能近红外光谱研究","authors":"Keunsoo Ham, Ki Pyoung Kim, Hojin Jeong, S. H. Yoo","doi":"10.7580/KJLM.2018.42.4.146","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들어, 목격자들의 진술의 진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 들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예, 뇌파)을 조사하여 목격자 기억 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억 복귀(memory reinstatement) 모델[1]에 의하면 부호화를 할 때 활성화되 었던 두뇌의 활성화 패턴은 저장되며, 그 정보를 인출할 때 재활성화된다. 이 관점에서 목격하지 않은 장면들에 대한 정 보들은 두뇌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격하지 못한 정 보를 처리할 때의 두뇌 활성화 패턴은 목격한 장면을 인출할 때 발생하는 두뇌의 활성화 정도와 다를 것이라 예측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목격한 자극과 목격하지 않은 자극을 사용 해서 목격한 장면 또는 목격하지 못한 장면과 관련 있는 기억 단서에 의해 발생하는 두뇌 활성화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 결 Korean J Leg Med 2018;42:146-152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Increase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during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An Exploratory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authors\":\"Keunsoo Ham, Ki Pyoung Kim, Hojin Jeong, S. H. Yoo\",\"doi\":\"10.7580/KJLM.2018.42.4.146\",\"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들어, 목격자들의 진술의 진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 들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예, 뇌파)을 조사하여 목격자 기억 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억 복귀(memory reinstatement) 모델[1]에 의하면 부호화를 할 때 활성화되 었던 두뇌의 활성화 패턴은 저장되며, 그 정보를 인출할 때 재활성화된다. 이 관점에서 목격하지 않은 장면들에 대한 정 보들은 두뇌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격하지 못한 정 보를 처리할 때의 두뇌 활성화 패턴은 목격한 장면을 인출할 때 발생하는 두뇌의 활성화 정도와 다를 것이라 예측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목격한 자극과 목격하지 않은 자극을 사용 해서 목격한 장면 또는 목격하지 못한 장면과 관련 있는 기억 단서에 의해 발생하는 두뇌 활성화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 결 Korean J Leg Med 2018;42:146-152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Increase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during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An Exploratory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
최근 들어, 목격자들의 진술의 진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 들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예, 뇌파)을 조사하여 목격자 기억 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억 복귀(memory reinstatement) 모델[1]에 의하면 부호화를 할 때 활성화되 었던 두뇌의 활성화 패턴은 저장되며, 그 정보를 인출할 때 재활성화된다. 이 관점에서 목격하지 않은 장면들에 대한 정 보들은 두뇌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격하지 못한 정 보를 처리할 때의 두뇌 활성화 패턴은 목격한 장면을 인출할 때 발생하는 두뇌의 활성화 정도와 다를 것이라 예측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목격한 자극과 목격하지 않은 자극을 사용 해서 목격한 장면 또는 목격하지 못한 장면과 관련 있는 기억 단서에 의해 발생하는 두뇌 활성화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 결 Korean J Leg Med 2018;42:146-152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