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石篆朴汉永《石林韩话》中出现的文辞","authors":"민희주","doi":"10.21482/jbs.49..201611.8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석전 박한영이 1920년대 잡지 《동명》에 연재한 「석림한화」를 대상으로, 그가 시대상황과 근대적 글쓰기 장(場)을 인식하며 드러난 글쓰기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n「석림한화」에서 불교적 담론들은 일정한 기준에 맞게 조직되어 근대적 글쓰기 형식으로 드러나 있지만, 지식적 측면에 있어서는 근대화를 찬양하는 수사학에 매몰되지 않고 ‘불이(不二)’의...","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0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석전 박한영(石顚 朴漢永)의 「석림한화(石林閒話)」에 드러난 글쓰기 양상\",\"authors\":\"민희주\",\"doi\":\"10.21482/jbs.49..201611.8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석전 박한영이 1920년대 잡지 《동명》에 연재한 「석림한화」를 대상으로, 그가 시대상황과 근대적 글쓰기 장(場)을 인식하며 드러난 글쓰기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n「석림한화」에서 불교적 담론들은 일정한 기준에 맞게 조직되어 근대적 글쓰기 형식으로 드러나 있지만, 지식적 측면에 있어서는 근대화를 찬양하는 수사학에 매몰되지 않고 ‘불이(不二)’의...\",\"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0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49..201611.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49..201611.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글은 석전 박한영이 1920년대 잡지 《동명》에 연재한 「석림한화」를 대상으로, 그가 시대상황과 근대적 글쓰기 장(場)을 인식하며 드러난 글쓰기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석림한화」에서 불교적 담론들은 일정한 기준에 맞게 조직되어 근대적 글쓰기 형식으로 드러나 있지만, 지식적 측면에 있어서는 근대화를 찬양하는 수사학에 매몰되지 않고 ‘불이(不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