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古玩事:张氏器物Sŭngŏp古玩花画","authors":"Ja won Lee","doi":"10.19078/ea.2018.39.10","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 소장중인 장승업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유행했던 중국 골동품 收藏文化가 器皿折枝圖제작에 미친 영향과 중국 청동기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 문인 문화를 羨望했던 중인계층은 중국의 골동품을 실제로 수집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런 收藏文化가 유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중국 청동기는 祭器에서 玩賞의 대상으로 그...","PeriodicalId":306726,"journal":{"name":"Korean Society for Science of Eastern Art","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5-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tiques Matters: Chinese Bronzes in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authors\":\"Ja won Lee\",\"doi\":\"10.19078/ea.2018.39.10\",\"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 소장중인 장승업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유행했던 중국 골동품 收藏文化가 器皿折枝圖제작에 미친 영향과 중국 청동기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 문인 문화를 羨望했던 중인계층은 중국의 골동품을 실제로 수집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런 收藏文化가 유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중국 청동기는 祭器에서 玩賞의 대상으로 그...\",\"PeriodicalId\":306726,\"journal\":{\"name\":\"Korean Society for Science of Eastern Art\",\"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5-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Society for Science of Eastern Ar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78/ea.2018.39.1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Society for Science of Eastern Ar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78/ea.2018.39.1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tiques Matters: Chinese Bronzes in Chang Sŭngŏp’s Paintings of Antiques and Flowers
이 논문은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 소장중인 장승업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유행했던 중국 골동품 收藏文化가 器皿折枝圖제작에 미친 영향과 중국 청동기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후기 문인 문화를 羨望했던 중인계층은 중국의 골동품을 실제로 수집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런 收藏文化가 유행하던 분위기 속에서 중국 청동기는 祭器에서 玩賞의 대상으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