长骨病不明原因发热的临床研究

Sang Jin Kim
{"title":"长骨病不明原因发热的临床研究","authors":"Sang Jin Kim","doi":"10.15188/KJOPP.2014.12.28.6.683","DOIUrl":null,"url":null,"abstract":"發熱은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의 변화로 정상수준 이상 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을 말한다. 인체는 주위 환경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직, 특히 근육, 간으로부터 열의 생산 과 소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고체온증은 불충분한 열 소모로 인하여 시상하부에서 기준점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이다1). 불명열은 1961년 Petersdorf와 Beeson 등이 첫째, 수차례에 걸친 38.3°C 이상의 고열, 둘째, 3주 이상 지속되어져야 하고, 셋째 입원 후 일주일 이상의 검사에도 불구하고 發熱의 원인을 찾지 못 할 때로 정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의가 내려진 이래, 어떤 질환들 이 이에 속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 어 왔다2). 한의학에서는 發熱의 원인을 外感과 內傷으로 구분한다. 外感 의 경우는 외부에서 邪氣가 침범한 것으로 대개 風寒이나 溫熱邪氣 의 침범인 경우가 흔하며, 內傷의 경우는 贓腑經絡의 陰陽의 균형 이 어긋남으로써 發熱을 야기하게 된다3). 또 다른 관점으로, 『東醫 壽世保元』에서는 인체를 臟腑大小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체질로 분 류하고 각 체질 특성상 부족해지기 쉬운 기운을 保命之主라 명명하 여, 외부기운에 대한 保命之主의 반응에 따라 發熱이 나타난다고 보았고, 각 체질별로 保命之主가 다르기 때문에, 發熱양상 또한 다 르게 나타나는 것이라 하였다4). 그 중 太陰人은 肝大肺小한 특징으 로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邪氣를 발산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發熱 과 肝熱이 肺로 올라가 肺燥하여 발생한 肝熱肺燥證의 일환으로 나 타나는 發熱이 나타난다. 呼散之氣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發熱의 양 상 중에 『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에서 언급된 長感 病이라는 것은 惡寒과 發熱, 汗出이 며칠씩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外感에 비해 발병기간이 길어 長感 病이라 명명되었다5). 본 임상증례는 양방 병원에서 3주 간 각종 검사 및 약물 치료 를 받았으나,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發熱증상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 자에 대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해 太陰人으로 판단되었고, 發熱이 수차례에 걸쳐 간헐적으로 수 시간씩 나타나며 發熱이 3주 이상 지 속된다는 發熱양상을 통해 長感病으로 진단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 한 치료효과를 거두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Fever of Unknown Origin Indicated by Janggam Disease\",\"authors\":\"Sang Jin Kim\",\"doi\":\"10.15188/KJOPP.2014.12.28.6.683\",\"DOIUrl\":null,\"url\":null,\"abstract\":\"發熱은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의 변화로 정상수준 이상 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을 말한다. 인체는 주위 환경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직, 특히 근육, 간으로부터 열의 생산 과 소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고체온증은 불충분한 열 소모로 인하여 시상하부에서 기준점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이다1). 불명열은 1961년 Petersdorf와 Beeson 등이 첫째, 수차례에 걸친 38.3°C 이상의 고열, 둘째, 3주 이상 지속되어져야 하고, 셋째 입원 후 일주일 이상의 검사에도 불구하고 發熱의 원인을 찾지 못 할 때로 정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의가 내려진 이래, 어떤 질환들 이 이에 속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 어 왔다2). 한의학에서는 發熱의 원인을 外感과 內傷으로 구분한다. 外感 의 경우는 외부에서 邪氣가 침범한 것으로 대개 風寒이나 溫熱邪氣 의 침범인 경우가 흔하며, 內傷의 경우는 贓腑經絡의 陰陽의 균형 이 어긋남으로써 發熱을 야기하게 된다3). 또 다른 관점으로, 『東醫 壽世保元』에서는 인체를 臟腑大小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체질로 분 류하고 각 체질 특성상 부족해지기 쉬운 기운을 保命之主라 명명하 여, 외부기운에 대한 保命之主의 반응에 따라 發熱이 나타난다고 보았고, 각 체질별로 保命之主가 다르기 때문에, 發熱양상 또한 다 르게 나타나는 것이라 하였다4). 그 중 太陰人은 肝大肺小한 특징으 로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邪氣를 발산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發熱 과 肝熱이 肺로 올라가 肺燥하여 발생한 肝熱肺燥證의 일환으로 나 타나는 發熱이 나타난다. 呼散之氣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發熱의 양 상 중에 『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에서 언급된 長感 病이라는 것은 惡寒과 發熱, 汗出이 며칠씩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外感에 비해 발병기간이 길어 長感 病이라 명명되었다5). 본 임상증례는 양방 병원에서 3주 간 각종 검사 및 약물 치료 를 받았으나,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發熱증상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 자에 대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해 太陰人으로 판단되었고, 發熱이 수차례에 걸쳐 간헐적으로 수 시간씩 나타나며 發熱이 3주 이상 지 속된다는 發熱양상을 통해 長感病으로 진단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 한 치료효과를 거두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4.12.28.6.6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4.12.28.6.6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发火是指由于下丘脑的体温调节中枢的变化,体温上升到正常水平以上。人体不顾周围环境的变化,在体温调节中枢中,组织,特别是肌肉,肝能够调节热量的生产和消耗,从而保持正常体温。固体温症是由于热量消耗不足,导致下丘脑体温上升到基准点以上1)。1961年,Petersdorf和Beeson等被定义为:第一,多次高烧38.3°C以上;第二,持续3周以上;第三,住院后虽然进行了一周以上的检查,但仍未找到起火原因。自从给出上述定义以来,关于哪些疾病属于这一类,以及应该如何治疗等问题已经有了很多讨论。韩医学将产生的原因分为外伤性和内分泌性。老外能感的情况从外部邪气侵犯的大多为風寒或热液温邪气的侵犯事件的情况很常见,內厌的情况贓腑经絡的陰默默地的均衡,违反发热液,将导致3)。另一个观点《东北,壽世保元》中,人体臟腑按照大小的大小4种体质分类,各体质特性,容易紧张的气息,它命名为保生命之主,外部对气息的按照保生命之主的反应产生的热液出现认为,各体质不同,所以多大保生命之主,并且产生的热局面。尔表现得是4)。其中,太阴人具有“气胸大”的特征,气胸不足,不能发散邪气而出现的“气胸”和“气胸”上升到“气胸”而发生的“气胸”的一环。呼散之气不足而出现的产生的热液的羊奖中,《东北委员会壽世保元》“太陰人胃脘人家受表寒病中提到的长白山区能感病是恶寒和产生的热,汗出几天轮流出现疾病,一般指的是外能感相比,发病时间长,长白山区是儿童病了5)命名。本临床病例在西医医院接受了3周的各种检查及药物治疗,但原因不明,通过四象体质诊断,判定为太阴人。发火多次间歇性地出现数小时,通过发火持续3周以上的发火现象诊断为长年性疾病,治疗结果取得了良好的治疗效果。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the Fever of Unknown Origin Indicated by Janggam Disease
發熱은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조절중추의 변화로 정상수준 이상 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을 말한다. 인체는 주위 환경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체온조절중추에서 조직, 특히 근육, 간으로부터 열의 생산 과 소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고체온증은 불충분한 열 소모로 인하여 시상하부에서 기준점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한 것이다1). 불명열은 1961년 Petersdorf와 Beeson 등이 첫째, 수차례에 걸친 38.3°C 이상의 고열, 둘째, 3주 이상 지속되어져야 하고, 셋째 입원 후 일주일 이상의 검사에도 불구하고 發熱의 원인을 찾지 못 할 때로 정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정의가 내려진 이래, 어떤 질환들 이 이에 속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 어 왔다2). 한의학에서는 發熱의 원인을 外感과 內傷으로 구분한다. 外感 의 경우는 외부에서 邪氣가 침범한 것으로 대개 風寒이나 溫熱邪氣 의 침범인 경우가 흔하며, 內傷의 경우는 贓腑經絡의 陰陽의 균형 이 어긋남으로써 發熱을 야기하게 된다3). 또 다른 관점으로, 『東醫 壽世保元』에서는 인체를 臟腑大小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체질로 분 류하고 각 체질 특성상 부족해지기 쉬운 기운을 保命之主라 명명하 여, 외부기운에 대한 保命之主의 반응에 따라 發熱이 나타난다고 보았고, 각 체질별로 保命之主가 다르기 때문에, 發熱양상 또한 다 르게 나타나는 것이라 하였다4). 그 중 太陰人은 肝大肺小한 특징으 로 呼散之氣가 부족하여 邪氣를 발산시키지 못하여 나타나는 發熱 과 肝熱이 肺로 올라가 肺燥하여 발생한 肝熱肺燥證의 일환으로 나 타나는 發熱이 나타난다. 呼散之氣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發熱의 양 상 중에 『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에서 언급된 長感 病이라는 것은 惡寒과 發熱, 汗出이 며칠씩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外感에 비해 발병기간이 길어 長感 病이라 명명되었다5). 본 임상증례는 양방 병원에서 3주 간 각종 검사 및 약물 치료 를 받았으나, 원인이 파악되지 않고 發熱증상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 자에 대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해 太陰人으로 판단되었고, 發熱이 수차례에 걸쳐 간헐적으로 수 시간씩 나타나며 發熱이 3주 이상 지 속된다는 發熱양상을 통해 長感病으로 진단하여 치료한 결과 양호 한 치료효과를 거두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