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 Shin Kim, I. Hwang, Seohyun Moon, J. Park, Y. Lee
{"title":"一名出海捕鱼的渔民因金黄色葡萄球菌脓毒症并发感染性心内膜炎和椎旁脓肿意外死亡:一个尸检病例","authors":"Youn Shin Kim, I. Hwang, Seohyun Moon, J. Park, Y. Lee","doi":"10.7580/KJLM.2018.42.4.153","DOIUrl":null,"url":null,"abstract":"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인체에 다양한 병 변을 유발하는 위험한 병원균으로서, 그 발병 빈도가 지역 사회와 의료시설에서 공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그 러나 황색포도알균은 코, 겨드랑이, 질(vagina), 인두, 손상 된 피부표면 등에 서식하는 세균총(commensal)이기도 하 므로, 인체는 이 균의 병원소(reservoir of infection)가 되 며[2], 이러한 보균 상태는 결과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감염 위험을 증가시킨다[3]. 감염증은 피부나 점막 장벽이 손상되 어 병원균이 인접 조직이나 혈류로 유입됨으로써 유발되며, 그 감염이 국소적으로 머무는지 혹은 확산되는지는 병원균의 병독성과 인체의 방어기전의 상호작용에 달려있다[1]. 포도 알균에 의한 병변의 전형적인 병리소견은 농양(abscess) 형 성이지만, 또한 피부와 연조직 감염, 혈관내막감염, 폐렴, 화 농성 관절염, 심내막염, 골관절염, 이물 감염(foreign body infection), 패혈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1]. 황색포도알균은 전 세계적으로 심내막염의 주요 원인이 되 Korean J Leg Med 2018;42:153-158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53","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Unexpected Death by Sepsis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and Paravertebral Abscess in a Fisherman during Sailing out for Fish: An Autopsy Case\",\"authors\":\"Youn Shin Kim, I. Hwang, Seohyun Moon, J. Park, Y. Lee\",\"doi\":\"10.7580/KJLM.2018.42.4.153\",\"DOIUrl\":null,\"url\":null,\"abstract\":\"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인체에 다양한 병 변을 유발하는 위험한 병원균으로서, 그 발병 빈도가 지역 사회와 의료시설에서 공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그 러나 황색포도알균은 코, 겨드랑이, 질(vagina), 인두, 손상 된 피부표면 등에 서식하는 세균총(commensal)이기도 하 므로, 인체는 이 균의 병원소(reservoir of infection)가 되 며[2], 이러한 보균 상태는 결과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감염 위험을 증가시킨다[3]. 감염증은 피부나 점막 장벽이 손상되 어 병원균이 인접 조직이나 혈류로 유입됨으로써 유발되며, 그 감염이 국소적으로 머무는지 혹은 확산되는지는 병원균의 병독성과 인체의 방어기전의 상호작용에 달려있다[1]. 포도 알균에 의한 병변의 전형적인 병리소견은 농양(abscess) 형 성이지만, 또한 피부와 연조직 감염, 혈관내막감염, 폐렴, 화 농성 관절염, 심내막염, 골관절염, 이물 감염(foreign body infection), 패혈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1]. 황색포도알균은 전 세계적으로 심내막염의 주요 원인이 되 Korean J Leg Med 2018;42:153-158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53\",\"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4.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4.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金黄色葡萄球菌(Staphylococcus aureus)是一种引起人体多种病变的危险病原菌,其发病频率在社区和医疗设施中都在持续增加[1]。但由于金黄色葡萄球菌是栖息在鼻子、腋窝、阴道(vagina)、咽头、受损皮肤表面的细菌丛(commensal),所以人体是该菌的病原素(reservoir of infection)[2],这种携带者状态最终会增加金黄色葡萄菌感染的危险[3]。感染症是由于皮肤或黏膜屏障受损,病原菌流入邻近组织或血流而引起的,其局部停留或扩散取决于病原菌的病毒性和人体防御机制的相互作用[1]。葡萄球菌病变的典型病理诊断为脓肿(abscess)型,但也是皮肤和软组织感染、血管内膜感染、肺炎、化脓性关节炎、心内膜炎、骨关节炎、异物感染(foreign body infection)、败血症的重要原因[1]。金黄色葡萄菌是全世界知道心内膜炎的主要原因korean j leg med 2018; 42: 153 - 158 https: / / doi。org / 10 . 75 / kjlm 2018 42。4 . 153
Unexpected Death by Sepsis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and Paravertebral Abscess in a Fisherman during Sailing out for Fish: An Autopsy Case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인체에 다양한 병 변을 유발하는 위험한 병원균으로서, 그 발병 빈도가 지역 사회와 의료시설에서 공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그 러나 황색포도알균은 코, 겨드랑이, 질(vagina), 인두, 손상 된 피부표면 등에 서식하는 세균총(commensal)이기도 하 므로, 인체는 이 균의 병원소(reservoir of infection)가 되 며[2], 이러한 보균 상태는 결과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감염 위험을 증가시킨다[3]. 감염증은 피부나 점막 장벽이 손상되 어 병원균이 인접 조직이나 혈류로 유입됨으로써 유발되며, 그 감염이 국소적으로 머무는지 혹은 확산되는지는 병원균의 병독성과 인체의 방어기전의 상호작용에 달려있다[1]. 포도 알균에 의한 병변의 전형적인 병리소견은 농양(abscess) 형 성이지만, 또한 피부와 연조직 감염, 혈관내막감염, 폐렴, 화 농성 관절염, 심내막염, 골관절염, 이물 감염(foreign body infection), 패혈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1]. 황색포도알균은 전 세계적으로 심내막염의 주요 원인이 되 Korean J Leg Med 2018;42:153-158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