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理解中心课程理论的伦理道德课程重构方法","authors":"Hyunsoo Kim","doi":"10.18338/KOJMEE.2018..60.349","DOIUrl":null,"url":null,"abstract":"현재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의 재구성 권한을 단위학교의 교사 수준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사는 자신의 수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식 중심의 피상적 수업과 활동중심 수업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수업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 보다는 교수학습 설계의 측면이 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과 이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효과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도덕과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이해와 전이 두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적용 사례로 이해의 각 측면에 따른 발문 전략, 그리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전략을 활용한 재구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227623,"journal":{"name":"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volume":"9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constructing Method of Ethics & Moral Curriculum based on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Theory\",\"authors\":\"Hyunsoo Kim\",\"doi\":\"10.18338/KOJMEE.2018..60.349\",\"DOIUrl\":null,\"url\":null,\"abstract\":\"현재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의 재구성 권한을 단위학교의 교사 수준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사는 자신의 수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식 중심의 피상적 수업과 활동중심 수업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수업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 보다는 교수학습 설계의 측면이 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과 이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효과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도덕과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이해와 전이 두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적용 사례로 이해의 각 측면에 따른 발문 전략, 그리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전략을 활용한 재구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227623,\"journal\":{\"name\":\"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volume\":\"9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38/KOJMEE.2018..60.3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38/KOJMEE.2018..60.3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Reconstructing Method of Ethics & Moral Curriculum based on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Theory
현재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의 재구성 권한을 단위학교의 교사 수준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사는 자신의 수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식 중심의 피상적 수업과 활동중심 수업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수업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 보다는 교수학습 설계의 측면이 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과 이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효과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도덕과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이해와 전이 두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적용 사례로 이해의 각 측면에 따른 발문 전략, 그리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전략을 활용한 재구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