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巴旭修行与马赫修行的刹那间比较","authors":"김관해","doi":"10.21482/jbs.50..201703.2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파욱 수행에서 찰나삼매와 마하시 수행에서 찰나삼매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있다. 파욱 수행에서 찰나삼매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찰나 삼매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근접삼매에 이르기 전 준비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이고두 번째 찰나삼매는 선정에 들었다 출정하여 위빠사나를 진행할 때 나타나는 것이다. \n한편 마하시 수행에서는 초보...","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10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파욱 수행과 마하시 수행의 찰나삼매(刹那三昧) 비교\",\"authors\":\"김관해\",\"doi\":\"10.21482/jbs.50..201703.2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파욱 수행에서 찰나삼매와 마하시 수행에서 찰나삼매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있다. 파욱 수행에서 찰나삼매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찰나 삼매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근접삼매에 이르기 전 준비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이고두 번째 찰나삼매는 선정에 들었다 출정하여 위빠사나를 진행할 때 나타나는 것이다. \\n한편 마하시 수행에서는 초보...\",\"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10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0..201703.2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0..201703.2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본 논문의 목적은 파욱 수행에서 찰나삼매와 마하시 수행에서 찰나삼매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있다. 파욱 수행에서 찰나삼매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찰나 삼매는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근접삼매에 이르기 전 준비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이고두 번째 찰나삼매는 선정에 들었다 출정하여 위빠사나를 진행할 때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마하시 수행에서는 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