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亚硝酸盐中毒死亡14例报告","authors":"M. Park, O. Kim, Hongil Ha","doi":"10.7580/kjlm.2020.44.2.96","DOIUrl":null,"url":null,"abstract":"아질산염(아질산이온, NO2-, nitrite)은 소량으로는 식품에 발 색 및 방부의 목적으로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이고, 공업적으 로는 유기화학공업, 표백, 금속의 열처리 등에 사용되며, 의학 적인 용도로는 혈관의 평활근 이완작용이 있어 협심증, 동맥 경화증 등에서의 혈관확장제 및 청산염 중독 시 해독제로 사 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일부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의 부동 성을 유지하고 시멘트 수화열을 촉진시켜 동결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질산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아질산염을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 하게 되었고, 과량을 섭취하게 되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량의 아질산염을 복용하게 되면, 체내에서 아질산염 은 대부분 질산이온(nitrate)으로 전환되며, 이 때 메트헤모 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을 일으키게 된다. 메트헤 모글로빈(methemoglobin)은 산소와 결합하고 운반하는 기 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을 유발하게 되며, 나타나는 임상 증상 으로는 두통, 현기증, 구토, 설사, 복통, 저혈압, 청색증, 경련 및 혼수 및 호흡마비 등이 있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 아질산염 중독으로 인한 사망은 꽤 오래 전부터 보고되었 으나, 국내에서는 2010년 수원에서 막걸리로 오인하여 마시 고 아질산염에 중독되어 2명이 사망한 사례가 언론으로 보도 Korean J Leg Med 2020;44:96-101 https://doi.org/10.7580/kjlm.2020.44.2.96","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4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9","resultStr":"{\"title\":\"Death by Nitrite Intoxication: Report of 14 Cases\",\"authors\":\"M. Park, O. Kim, Hongil Ha\",\"doi\":\"10.7580/kjlm.2020.44.2.96\",\"DOIUrl\":null,\"url\":null,\"abstract\":\"아질산염(아질산이온, NO2-, nitrite)은 소량으로는 식품에 발 색 및 방부의 목적으로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이고, 공업적으 로는 유기화학공업, 표백, 금속의 열처리 등에 사용되며, 의학 적인 용도로는 혈관의 평활근 이완작용이 있어 협심증, 동맥 경화증 등에서의 혈관확장제 및 청산염 중독 시 해독제로 사 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일부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의 부동 성을 유지하고 시멘트 수화열을 촉진시켜 동결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질산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아질산염을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 하게 되었고, 과량을 섭취하게 되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량의 아질산염을 복용하게 되면, 체내에서 아질산염 은 대부분 질산이온(nitrate)으로 전환되며, 이 때 메트헤모 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을 일으키게 된다. 메트헤 모글로빈(methemoglobin)은 산소와 결합하고 운반하는 기 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을 유발하게 되며, 나타나는 임상 증상 으로는 두통, 현기증, 구토, 설사, 복통, 저혈압, 청색증, 경련 및 혼수 및 호흡마비 등이 있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 아질산염 중독으로 인한 사망은 꽤 오래 전부터 보고되었 으나, 국내에서는 2010년 수원에서 막걸리로 오인하여 마시 고 아질산염에 중독되어 2명이 사망한 사례가 언론으로 보도 Korean J Leg Med 2020;44:96-101 https://doi.org/10.7580/kjlm.2020.44.2.96\",\"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4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9\",\"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20.44.2.9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20.44.2.9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아질산염(아질산이온, NO2-, nitrite)은 소량으로는 식품에 발 색 및 방부의 목적으로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이고, 공업적으 로는 유기화학공업, 표백, 금속의 열처리 등에 사용되며, 의학 적인 용도로는 혈관의 평활근 이완작용이 있어 협심증, 동맥 경화증 등에서의 혈관확장제 및 청산염 중독 시 해독제로 사 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일부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의 부동 성을 유지하고 시멘트 수화열을 촉진시켜 동결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질산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아질산염을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 하게 되었고, 과량을 섭취하게 되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량의 아질산염을 복용하게 되면, 체내에서 아질산염 은 대부분 질산이온(nitrate)으로 전환되며, 이 때 메트헤모 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을 일으키게 된다. 메트헤 모글로빈(methemoglobin)은 산소와 결합하고 운반하는 기 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을 유발하게 되며, 나타나는 임상 증상 으로는 두통, 현기증, 구토, 설사, 복통, 저혈압, 청색증, 경련 및 혼수 및 호흡마비 등이 있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 아질산염 중독으로 인한 사망은 꽤 오래 전부터 보고되었 으나, 국내에서는 2010년 수원에서 막걸리로 오인하여 마시 고 아질산염에 중독되어 2명이 사망한 사례가 언론으로 보도 Korean J Leg Med 2020;44:96-101 https://doi.org/10.7580/kjlm.2020.44.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