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近代转换期韩国佛教教团的志向:从国家权力的“外号”走向自立","authors":"김형석","doi":"10.19065/JAPK..48.201712.18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세속권력과 불교교단의 관계라는 시각에서, 근대 전환기 한국불교의 경험과 지향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구한말부터 일제시기에 이르는 당시의 역사 상황 속에 내재해있던 시대적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에 반응해가는 과정을 통해, 국가권력의 ‘외호’로부터 벗어나 승단의 자립이라는 방향성을 수립해가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석가모니 당시...","PeriodicalId":297075,"journ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volume":"6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근대전환기 한국불교 교단의 지향 : 국가권력의 ‘외호’에서 자립으로\",\"authors\":\"김형석\",\"doi\":\"10.19065/JAPK..48.201712.18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세속권력과 불교교단의 관계라는 시각에서, 근대 전환기 한국불교의 경험과 지향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구한말부터 일제시기에 이르는 당시의 역사 상황 속에 내재해있던 시대적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에 반응해가는 과정을 통해, 국가권력의 ‘외호’로부터 벗어나 승단의 자립이라는 방향성을 수립해가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석가모니 당시...\",\"PeriodicalId\":297075,\"journ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volume\":\"6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65/JAPK..48.201712.1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065/JAPK..48.201712.1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논문은 세속권력과 불교교단의 관계라는 시각에서, 근대 전환기 한국불교의 경험과 지향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구한말부터 일제시기에 이르는 당시의 역사 상황 속에 내재해있던 시대적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에 반응해가는 과정을 통해, 국가권력의 ‘외호’로부터 벗어나 승단의 자립이라는 방향성을 수립해가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석가모니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