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嗜酸性冠状动脉周围炎死亡:一例尸检","authors":"Y. Na, J. Park","doi":"10.7580/kjlm.2020.44.4.169","DOIUrl":null,"url":null,"abstract":"호산구 관상동맥주위염(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ECPA 혹은 isolated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이하 ECPA)은 관상동맥 경련 또는 자발적인 관상동맥 박 리 등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로서 급성심장사(sudden cardiac death)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되는 질병이다. ECPA 의 임상 증상은 주로 저녁에서 이른 아침에 혈관경련협심 증(vasospastic angina or Prinzmetal’s variant angina) 이 나타났고, 환자들은 갑작스럽게 이른 아침에 사망하였으 며, 알레르기나 이와 관련된 병력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병 태생리학적으로는 혈관 바깥막(adventitia) 및 그 주변 지방 조직(periadventitial soft tissue)으로 한정되는 호산구염 증이 관상동맥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왼내림앞가지동맥(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에서 나타났다. 내측 민무늬근 (medial smooth muscle)과 내·외측 탄력판(internal and external elastic laminae)에서는 특기할 소견이 확인되지 않았고, 섬유소 괴사 또는 육아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 혈관염이 동반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 다[1]. 또한, 주로 30-50대의 젊은 남자들에게서 많이 관찰되 며, 대부분의 경우, 부검 시에 진단된다[2]. 저자들은 왼내림앞가지동맥을 중심으로 자발적인 관상동 맥 박리가 없이 ECPA가 발생되어 갑작스럽게 사망한 50대 여성의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부검 소견 및 조직학 적 소견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여 경험을 공유하 고자 한다.","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6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Death due to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An Autopsy Case\",\"authors\":\"Y. Na, J. Park\",\"doi\":\"10.7580/kjlm.2020.44.4.169\",\"DOIUrl\":null,\"url\":null,\"abstract\":\"호산구 관상동맥주위염(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ECPA 혹은 isolated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이하 ECPA)은 관상동맥 경련 또는 자발적인 관상동맥 박 리 등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로서 급성심장사(sudden cardiac death)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되는 질병이다. ECPA 의 임상 증상은 주로 저녁에서 이른 아침에 혈관경련협심 증(vasospastic angina or Prinzmetal’s variant angina) 이 나타났고, 환자들은 갑작스럽게 이른 아침에 사망하였으 며, 알레르기나 이와 관련된 병력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병 태생리학적으로는 혈관 바깥막(adventitia) 및 그 주변 지방 조직(periadventitial soft tissue)으로 한정되는 호산구염 증이 관상동맥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왼내림앞가지동맥(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에서 나타났다. 내측 민무늬근 (medial smooth muscle)과 내·외측 탄력판(internal and external elastic laminae)에서는 특기할 소견이 확인되지 않았고, 섬유소 괴사 또는 육아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 혈관염이 동반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 다[1]. 또한, 주로 30-50대의 젊은 남자들에게서 많이 관찰되 며, 대부분의 경우, 부검 시에 진단된다[2]. 저자들은 왼내림앞가지동맥을 중심으로 자발적인 관상동 맥 박리가 없이 ECPA가 발생되어 갑작스럽게 사망한 50대 여성의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부검 소견 및 조직학 적 소견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여 경험을 공유하 고자 한다.\",\"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6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20.44.4.1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20.44.4.1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ECPA或isolated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ECPA(以下简称ECPA)是因冠状动脉痉挛或自发性冠状动脉剥离而死亡的疾病,在急性心脏死亡中非常罕见。ECPA的临床症状主要是在晚上到清晨出现血管痉挛夹心症(vasospastic angina or Prinzmetal ' s variant angina),患者在清晨突然死亡,并无过敏或与此相关的病史。在病态生理学上,冠状动脉中发现了限定为血管外膜(adventitia)及其周围脂肪组织(periadventitial soft tissue)的嗜酸口炎,主要出现在左降前支动脉(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内侧肌(medial smooth muscle)和内外侧弹力板(internal and external elastic laminae)的特点是,未发现特别的诊断,未发现纤维素坏死或肉芽肿,其他组织或器官不伴有血管炎[1]。此外,多见于30-50岁的年轻男子,大多在尸检时诊断[2]。作者们经历了以左降前支动脉为中心,在没有自发性冠状动脉夹层的情况下,ECPA突然发生而死亡的50多岁女性的事例,因此对于对此的尸检见解和组织学见解,将进行文献考察和报告,共享经验。
Death due to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An Autopsy Case
호산구 관상동맥주위염(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ECPA 혹은 isolated eosinophilic coronary periarteritis, 이하 ECPA)은 관상동맥 경련 또는 자발적인 관상동맥 박 리 등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로서 급성심장사(sudden cardiac death)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되는 질병이다. ECPA 의 임상 증상은 주로 저녁에서 이른 아침에 혈관경련협심 증(vasospastic angina or Prinzmetal’s variant angina) 이 나타났고, 환자들은 갑작스럽게 이른 아침에 사망하였으 며, 알레르기나 이와 관련된 병력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병 태생리학적으로는 혈관 바깥막(adventitia) 및 그 주변 지방 조직(periadventitial soft tissue)으로 한정되는 호산구염 증이 관상동맥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왼내림앞가지동맥(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에서 나타났다. 내측 민무늬근 (medial smooth muscle)과 내·외측 탄력판(internal and external elastic laminae)에서는 특기할 소견이 확인되지 않았고, 섬유소 괴사 또는 육아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 혈관염이 동반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 다[1]. 또한, 주로 30-50대의 젊은 남자들에게서 많이 관찰되 며, 대부분의 경우, 부검 시에 진단된다[2]. 저자들은 왼내림앞가지동맥을 중심으로 자발적인 관상동 맥 박리가 없이 ECPA가 발생되어 갑작스럽게 사망한 50대 여성의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부검 소견 및 조직학 적 소견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여 경험을 공유하 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