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中国通识教育的历史与香港反华示威导致的中国教育当局的政治困境","authors":"Jin-Goon Kim","doi":"10.35822/jcllt.2021.07.49.181","DOIUrl":null,"url":null,"abstract":"중국의 ‘통식교육(通識敎育)’은 ‘general education’을 번역한 개념이다. 중국은 ‘통식교육’을 ‘general education’의 번역어이면서 동시에 ‘liberal education’의 사상을 흡수한 개념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중국은 통식교육을 모색할 때 미국의 ‘general education’ 또는 ‘liberal education’을 모델로 참조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경제가 급성장하고 글로벌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자, 해외의 교육 모델을 따라가는 단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자체 교육 모델을 확립하고자 했다. 미국 주요 대학의 커리큘럼을 참조하고 모방하던 데서 중국의 사상과 문명 전통을 강조하는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중국식 사회주의 이념 교육을 강화했다. 이 과정에 통식교육은 국민 통합과 중국식 사회주의 정체성 확립의 주요 수단으로 위상이 격상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중국은 홍콩을 신속하게 중국적 정체성으로 개조하는 데 교육이 적극적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했다. 통식교육이 대륙 학생들을 중국식 사회주의가 지향하는 인간형으로 육성했듯이, 홍콩 학생들도 명실상부한 중국인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고 여겼다. 그러나 현실은 중국 정부의 기대와 반대로 전개되었다. 홍콩의 통식교육은 서구식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홍콩 학생들을 중국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성장하게 만드는 역할을 했다. 결국 중국은 대륙에서는 통식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홍콩에서는 비판하고 퇴출하려고 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PeriodicalId":162042,"journal":{"name":"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Translation","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History of China’s General Education and the Political Dilemma of Chinese Education Authorities Due to Anti-China Protests in Hong Kong\",\"authors\":\"Jin-Goon Kim\",\"doi\":\"10.35822/jcllt.2021.07.49.181\",\"DOIUrl\":null,\"url\":null,\"abstract\":\"중국의 ‘통식교육(通識敎育)’은 ‘general education’을 번역한 개념이다. 중국은 ‘통식교육’을 ‘general education’의 번역어이면서 동시에 ‘liberal education’의 사상을 흡수한 개념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중국은 통식교육을 모색할 때 미국의 ‘general education’ 또는 ‘liberal education’을 모델로 참조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경제가 급성장하고 글로벌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자, 해외의 교육 모델을 따라가는 단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자체 교육 모델을 확립하고자 했다. 미국 주요 대학의 커리큘럼을 참조하고 모방하던 데서 중국의 사상과 문명 전통을 강조하는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중국식 사회주의 이념 교육을 강화했다. 이 과정에 통식교육은 국민 통합과 중국식 사회주의 정체성 확립의 주요 수단으로 위상이 격상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중국은 홍콩을 신속하게 중국적 정체성으로 개조하는 데 교육이 적극적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했다. 통식교육이 대륙 학생들을 중국식 사회주의가 지향하는 인간형으로 육성했듯이, 홍콩 학생들도 명실상부한 중국인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고 여겼다. 그러나 현실은 중국 정부의 기대와 반대로 전개되었다. 홍콩의 통식교육은 서구식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홍콩 학생들을 중국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성장하게 만드는 역할을 했다. 결국 중국은 대륙에서는 통식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홍콩에서는 비판하고 퇴출하려고 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PeriodicalId\":162042,\"journal\":{\"name\":\"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Translation\",\"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Transl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822/jcllt.2021.07.49.1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Transl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822/jcllt.2021.07.49.1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History of China’s General Education and the Political Dilemma of Chinese Education Authorities Due to Anti-China Protests in Hong Kong
중국의 ‘통식교육(通識敎育)’은 ‘general education’을 번역한 개념이다. 중국은 ‘통식교육’을 ‘general education’의 번역어이면서 동시에 ‘liberal education’의 사상을 흡수한 개념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중국은 통식교육을 모색할 때 미국의 ‘general education’ 또는 ‘liberal education’을 모델로 참조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경제가 급성장하고 글로벌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자, 해외의 교육 모델을 따라가는 단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자체 교육 모델을 확립하고자 했다. 미국 주요 대학의 커리큘럼을 참조하고 모방하던 데서 중국의 사상과 문명 전통을 강조하는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중국식 사회주의 이념 교육을 강화했다. 이 과정에 통식교육은 국민 통합과 중국식 사회주의 정체성 확립의 주요 수단으로 위상이 격상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중국은 홍콩을 신속하게 중국적 정체성으로 개조하는 데 교육이 적극적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했다. 통식교육이 대륙 학생들을 중국식 사회주의가 지향하는 인간형으로 육성했듯이, 홍콩 학생들도 명실상부한 중국인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고 여겼다. 그러나 현실은 중국 정부의 기대와 반대로 전개되었다. 홍콩의 통식교육은 서구식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홍콩 학생들을 중국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성장하게 만드는 역할을 했다. 결국 중국은 대륙에서는 통식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홍콩에서는 비판하고 퇴출하려고 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