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泰语身体词汇/naa/和/lang/的语法化和教育启示","authors":"박경은","doi":"10.22473/KATS.2017.23.2.002","DOIUrl":null,"url":null,"abstract":"다기능 다의어가 발달한 태국어에서 다양한 양상의 문법화가 포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에서 문법화라는 언어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지 않다. 특히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기본 어휘들 중 신체어휘의 의미 확장양상과 문법화를 연구하는 것은 태국어 화자의 인지 체계를 엿볼수 있는 중요한 언어적 단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태국어 신체어휘 중 높은 빈도를 보이는 두 어휘, /naa/(‘face’)와 /lang/(‘back’)이 원형의미에서 공간적 의미로 확대되고, 이를 넘어 전치사와 시간적 의미로 그 의미와 기능이 변화하는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과 그 문법화를 일으키는 인지적 기제(cognitive mechanism)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 태국어를 교육함에 있어, 이러한 문법화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한 제언으로서, 연구자가 실시한 태국어전공자가 아닌 대학생 60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예시하고, 인지언어학적 설명이 어떻게 외국어로서의 태국어 교육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제안한다.","PeriodicalId":244094,"journal":{"name":"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태국어 신체어휘 /naa/와 /lang/의 문법화와 교육에서의 시사점\",\"authors\":\"박경은\",\"doi\":\"10.22473/KATS.2017.23.2.002\",\"DOIUrl\":null,\"url\":null,\"abstract\":\"다기능 다의어가 발달한 태국어에서 다양한 양상의 문법화가 포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에서 문법화라는 언어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지 않다. 특히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기본 어휘들 중 신체어휘의 의미 확장양상과 문법화를 연구하는 것은 태국어 화자의 인지 체계를 엿볼수 있는 중요한 언어적 단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태국어 신체어휘 중 높은 빈도를 보이는 두 어휘, /naa/(‘face’)와 /lang/(‘back’)이 원형의미에서 공간적 의미로 확대되고, 이를 넘어 전치사와 시간적 의미로 그 의미와 기능이 변화하는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과 그 문법화를 일으키는 인지적 기제(cognitive mechanism)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 태국어를 교육함에 있어, 이러한 문법화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한 제언으로서, 연구자가 실시한 태국어전공자가 아닌 대학생 60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예시하고, 인지언어학적 설명이 어떻게 외국어로서의 태국어 교육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제안한다.\",\"PeriodicalId\":244094,\"journal\":{\"name\":\"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473/KATS.2017.23.2.0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THAI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473/KATS.2017.23.2.0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다기능 다의어가 발달한 태국어에서 다양한 양상의 문법화가 포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에서 문법화라는 언어 현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지 않다. 특히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기본 어휘들 중 신체어휘의 의미 확장양상과 문법화를 연구하는 것은 태국어 화자의 인지 체계를 엿볼수 있는 중요한 언어적 단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태국어 신체어휘 중 높은 빈도를 보이는 두 어휘, /naa/(‘face’)와 /lang/(‘back’)이 원형의미에서 공간적 의미로 확대되고, 이를 넘어 전치사와 시간적 의미로 그 의미와 기능이 변화하는 광범위한 문법화의 양상과 그 문법화를 일으키는 인지적 기제(cognitive mechanism)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 태국어를 교육함에 있어, 이러한 문법화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한 제언으로서, 연구자가 실시한 태국어전공자가 아닌 대학생 60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예시하고, 인지언어학적 설명이 어떻게 외국어로서의 태국어 교육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