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单身家庭养老财务准备与生活满意度研究:比较单身与已婚家庭","authors":"서명희, Kim,Yeong-Hee, 이현옥","doi":"10.5392/JKCA.2017.17.01.71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혼과 기혼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미혼과 기혼의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 자료로 30세 이상의 1인 가구이며, 미혼, 기혼(이혼, 사별)인 4,4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 는 미혼과 기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혼보다 미혼이 경제적 노후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기혼에 비해 미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혼과 기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혼, 기혼 모두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기혼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tudy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Household : Comparing Single to Married Household\",\"authors\":\"서명희, Kim,Yeong-Hee, 이현옥\",\"doi\":\"10.5392/JKCA.2017.17.01.71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혼과 기혼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미혼과 기혼의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 자료로 30세 이상의 1인 가구이며, 미혼, 기혼(이혼, 사별)인 4,4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 는 미혼과 기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혼보다 미혼이 경제적 노후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기혼에 비해 미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혼과 기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혼, 기혼 모두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기혼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392/JKCA.2017.17.01.71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392/JKCA.2017.17.01.71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Study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Household : Comparing Single to Married Household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혼과 기혼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미혼과 기혼의 차별화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 자료로 30세 이상의 1인 가구이며, 미혼, 기혼(이혼, 사별)인 4,4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 는 미혼과 기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기혼보다 미혼이 경제적 노후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는 기혼에 비해 미혼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혼과 기혼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혼, 기혼 모두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기혼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