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欧非正式建筑类型分类研究——以荷兰、丹麦和Malmö、瑞典为例

Sang Jun Park
{"title":"北欧非正式建筑类型分类研究——以荷兰、丹麦和Malmö、瑞典为例","authors":"Sang Jun Park","doi":"10.17548/KSAF.2018.12.30.1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21세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축의 패러다임에 있어서도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있음을 배경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적 형태의 분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의 비정형 건축형태 분류는 일차적으로 디지털 디자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고도화, 전문화 되어 디지털 형상 과정을 분석가능하며 이차적으로 비정형 프로세스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도구의 정보 체계 구축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비정형건축의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북유럽의 비정형건축을 답사하고 사례고찰을 통해서 비정형건축의 이론 즉, Kare Vollers가 말한 비정형 건물의 기하학적 분류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덴마크의 사례 형태 분류를 한다. 셋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비정형 형태 분류를 통하여 북유럽 비정형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론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유럽의 실증적 현황 사례에 관하여 최근의 비정형 건축의 Kare Vollers 형태의 분류를 통해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공통점은 EX[angle], TR[shear]의 경사면과 사선면이고 차이점은 내·부 양면성의 조합과 조형적 접근에 있다. 따라서 다변화 비정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차후 연구되어질 국내의 비정형 건축과 비교하여 비정형 건축의 형태 계보를 집대성하고 방향성 제시하는데 기초적 데이터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12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Architecture Type Classification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 Focusing on Netherlands, Denmark and Malmö, Sweden -\",\"authors\":\"Sang Jun Park\",\"doi\":\"10.17548/KSAF.2018.12.30.1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21세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축의 패러다임에 있어서도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있음을 배경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적 형태의 분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의 비정형 건축형태 분류는 일차적으로 디지털 디자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고도화, 전문화 되어 디지털 형상 과정을 분석가능하며 이차적으로 비정형 프로세스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도구의 정보 체계 구축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비정형건축의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북유럽의 비정형건축을 답사하고 사례고찰을 통해서 비정형건축의 이론 즉, Kare Vollers가 말한 비정형 건물의 기하학적 분류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덴마크의 사례 형태 분류를 한다. 셋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비정형 형태 분류를 통하여 북유럽 비정형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론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유럽의 실증적 현황 사례에 관하여 최근의 비정형 건축의 Kare Vollers 형태의 분류를 통해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공통점은 EX[angle], TR[shear]의 경사면과 사선면이고 차이점은 내·부 양면성의 조합과 조형적 접근에 있다. 따라서 다변화 비정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차후 연구되어질 국내의 비정형 건축과 비교하여 비정형 건축의 형태 계보를 집대성하고 방향성 제시하는데 기초적 데이터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189043,\"journ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volume\":\"12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SCIENCE & ART 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548/KSAF.2018.12.30.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的背景是,最近21世纪科学技术的发展对各个领域产生了极大的影响,在建筑范式上也产生了新的造型语言。它在建筑上创造了不同于过去的多样的,活跃的,非下层的形态和空间。为此,有必要进行非典型形态的分类和分析。本论文的细微건축형태分类的一次性数码设计得益于技术的迅猛发展,随着数字媒体的出现和升级、专业化,数字分析家形象的过程,善于次要为细微进程的有效的数码工具的信息体系,还可以期待。本研究的研究方法及结果如下。第一,以北欧非典型建筑的现状和特性为中心,通过文献调查和先行研究的考察,提出理论根据。第二,对北欧的非定型建筑进行实地考察和案例考察,以非定型建筑理论,即Kare Vollers所说的非定型建筑的几何分类为基础,对荷兰和丹麦的事例形态进行分类。三是对事例进行具体说明,通过非定型形态分类,在北欧非定型特征的基础上,通过比较分析得出结论。本研究的结果是,对于北欧的实证现状事例,通过对最近的非定型建筑Kare Vollers形态的分类,荷兰和丹麦的共同点是EX[angle]、TR[shear]的倾斜面和斜面,不同之处是内部两面性的组合和造型的接近。因此,为了应对多边化的不定型,需要融合性的接近。与今后将研究的国内非定型建筑相比,可以成为集非定型建筑形态系谱和提示方向性的基础数据,在这一点上具有重大意义。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Architecture Type Classification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 Focusing on Netherlands, Denmark and Malmö, Sweden -
본 연구는 최근 21세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축의 패러다임에 있어서도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있음을 배경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적 형태의 분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의 비정형 건축형태 분류는 일차적으로 디지털 디자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고도화, 전문화 되어 디지털 형상 과정을 분석가능하며 이차적으로 비정형 프로세스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도구의 정보 체계 구축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비정형건축의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북유럽의 비정형건축을 답사하고 사례고찰을 통해서 비정형건축의 이론 즉, Kare Vollers가 말한 비정형 건물의 기하학적 분류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덴마크의 사례 형태 분류를 한다. 셋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비정형 형태 분류를 통하여 북유럽 비정형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론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유럽의 실증적 현황 사례에 관하여 최근의 비정형 건축의 Kare Vollers 형태의 분류를 통해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공통점은 EX[angle], TR[shear]의 경사면과 사선면이고 차이점은 내·부 양면성의 조합과 조형적 접근에 있다. 따라서 다변화 비정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차후 연구되어질 국내의 비정형 건축과 비교하여 비정형 건축의 형태 계보를 집대성하고 방향성 제시하는데 기초적 데이터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