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早期佛教中的女性出生与业力","authors":"김한상","doi":"10.21482/JBS.53..201712.22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에서 필자는 여성으로의 태어남이 악업이나 부족한 공덕의 과보라는 널리 퍼진 인식을 초기 불교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초기 불교의 텍스트들은 여성의 열등한 업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여성의 종속만 간접적으로 인정할 뿐이다. ≷위나야 삐따까≸에서 성전환은 그에 대한 어떠한 도덕적 판단 없이 있는 그대로...","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6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Female Birth and Karma in Early Buddhism\",\"authors\":\"김한상\",\"doi\":\"10.21482/JBS.53..201712.22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에서 필자는 여성으로의 태어남이 악업이나 부족한 공덕의 과보라는 널리 퍼진 인식을 초기 불교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초기 불교의 텍스트들은 여성의 열등한 업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여성의 종속만 간접적으로 인정할 뿐이다. ≷위나야 삐따까≸에서 성전환은 그에 대한 어떠한 도덕적 판단 없이 있는 그대로...\",\"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6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3..201712.2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3..201712.2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논문에서 필자는 여성으로의 태어남이 악업이나 부족한 공덕의 과보라는 널리 퍼진 인식을 초기 불교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초기 불교의 텍스트들은 여성의 열등한 업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여성의 종속만 간접적으로 인정할 뿐이다. ≷위나야 삐따까≸에서 성전환은 그에 대한 어떠한 도덕적 판단 없이 있는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