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小学、初中、高中退化程度评价方法研究","authors":"Hyungeun Kim, Hanguk Ryu","doi":"10.7743/KISEE.2017.16.2.044","DOIUrl":null,"url":null,"abstract":"시설물의 유지관리란 시설의 구조적, 기능적, 미적성능을 보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편의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준공당시의 시설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고 초기의 기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현재 시 도교육청은 학교시설물의 유...","PeriodicalId":420111,"journal":{"name":"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volume":"8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 Evalu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authors\":\"Hyungeun Kim, Hanguk Ryu\",\"doi\":\"10.7743/KISEE.2017.16.2.044\",\"DOIUrl\":null,\"url\":null,\"abstract\":\"시설물의 유지관리란 시설의 구조적, 기능적, 미적성능을 보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편의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준공당시의 시설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고 초기의 기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현재 시 도교육청은 학교시설물의 유...\",\"PeriodicalId\":420111,\"journal\":{\"name\":\"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volume\":\"8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743/KISEE.2017.16.2.04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743/KISEE.2017.16.2.04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 Evalu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시설물의 유지관리란 시설의 구조적, 기능적, 미적성능을 보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편의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준공당시의 시설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고 초기의 기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현재 시 도교육청은 학교시설물의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