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

이인용, 오영주, 홍선희, 허수정, 이채영, 박기웅, 조승현, 권오도, 임일빈, 김상국, 성덕경, 정영재, 김창석, 이정란, 서현아
{"title":"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authors":"이인용, 오영주, 홍선희, 허수정, 이채영, 박기웅, 조승현, 권오도, 임일빈, 김상국, 성덕경, 정영재, 김창석, 이정란, 서현아","doi":"10.5660/WTS.2017.6.1.21","DOIUrl":null,"url":null,"abstract":"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과수원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8%이었고, 토끼풀, 망초, 흰명아주, 서양민들레, 소리쟁이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30년간의 잡초군락 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바랭이, 여뀌, 쇠비름 등이 우점하였으나, 2003년에는 바랭이, 깨풀, 쑥 등으로 변하였다. 2015년에는 바랭이, 쑥, 쇠별꽃 등으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PeriodicalId":23804,"journal":{"name":"Weed&Turfgrass Science","volume":"70 1","pages":"21-27"},"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Weed&Turfgrass Scienc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60/WTS.2017.6.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과수원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8%이었고, 토끼풀, 망초, 흰명아주, 서양민들레, 소리쟁이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30년간의 잡초군락 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바랭이, 여뀌, 쇠비름 등이 우점하였으나, 2003년에는 바랭이, 깨풀, 쑥 등으로 변하였다. 2015년에는 바랭이, 쑥, 쇠별꽃 등으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我国果园杂草现状与群落的变化
为了调查栽培苹果、梨、桃子、葡萄等果园发生的杂草,掌握果园问题杂草的现状,并活用为杂草防治的基础资料,2015年将全国分为11个区域实施。果园产生的杂草有63科492种,依次是菊科86种、禾本科63种、头科29种、史草23种、节草22种等。如果将这些杂草分为生活型,一年生159种,冬季一年生97种,多年生236种。从各果园发生的杂草情况看,苹果地有50科306种、梨地有50科304种、葡萄园有50科286种、桃园有48科288种。优点杂草有石竹草,艾草,牛星花,鸡丁草,芝麻草等。外来杂草有127种,占全体的25.8%,依次是白草、芒草、白藜、西洋蒲公英、声虫等。从30年来的杂草群落变化来看,1990年以石竹、蓼、铁苋菜等为优势,2003年转变为石竹、芝麻、艾草等。2015年,石竹花、艾草、牛星花等没有太大变化。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