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Gyun Kim, Yang-Jae Im, Jung Nyun Kim, Hae-Won Lee, S. Jin, Y. Choi, G. Baeck
{"title":"Maturity and Spawning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authors":"Do-Gyun Kim, Yang-Jae Im, Jung Nyun Kim, Hae-Won Lee, S. Jin, Y. Choi, G. Baeck","doi":"10.5657/KFAS.2020.0067","DOIUrl":null,"url":null,"abstract":"황아귀(Lophius litulon)는 아귀목(Lophiiformes), 아귀과(Lophiidae)에 속하는 저서성 어류로 경제적 가치가 높으며, 우리 나라의 중남부 연안, 동중국해 북부,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 등 지의 깊은 곳에 분포한다(Chyung, 1977; Yamada et al., 1986; Kim et al., 2004). 황아귀가 속한 아귀과 어류는 세계적으로 4 속 25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황아귀를 포함한 아귀(Lophiomus setigerus)와 용아귀(Lophiodes insidiator)가 출현하여 3속 3종이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5). 통계청의 어업생산 동향조사를 살펴본 결과, 황아귀의 어획량은 아귀류로 일괄 취급되어 정확한 양은 알 수 없었으나, 우리나라 연안에 어획되는 아귀과 어류의 대부분이 황아귀인 것으로 보아 황아귀의 어획량은 상승하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 었다(Baeck and Huh, 2003; KOSIS, 1990-2018). 황아귀는 큰 입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로서 저층생태계 내에서 다른 종에 미 치는 영향력이 크므로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이다(Park et al., 1999; Park et al., 2014). 황아귀 생태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외에서는 식성 (He et al., 2012), 연령과 성장(Michio et al., 1997), 산란회 유(Michio et al., 2002), 생식주기와 계절분포(Michio et al., 2001) 등이 수행되었고, 국내에서는 식성(Cha et al., 1997a; Baeck and Huh, 2003; Choi et al., 2011; Park et al., 2014), 연 령과 성장(Cha et al., 1998), 성숙과 산란(Park et al., 1999), 분 포특성(Park et al., 2000), 분포와 산란(Cha et al., 1997b) 등이 수행되었다. 어류에 대한 생태학적인 연구 중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는 수산자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수행된 황아귀의 성숙과 산란 연구는 약 20년 이상의 과거 연구자료이며, 변화하는 해양환경, 어구어법의 발달 등 다 양한 요인에 의해 수산자원의 생식주기, 산란습성, 성숙 및 성 장의 변화 등 생물학적 특성치가 과거의 양상과 다르게 나타나 지속적인 연구수행이 필요하다(Cardinale and Modin, 1999; Engelhard and Heino, 2004). 또한, 수산자원의 생태특성 및 자 한국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황아귀(Lophius litulon)의 성숙과 산란 김도균·임양재·김정년·이해원·진수연·최유정·백근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3 1","pages":"67-73"},"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Abstract
황아귀(Lophius litulon)는 아귀목(Lophiiformes), 아귀과(Lophiidae)에 속하는 저서성 어류로 경제적 가치가 높으며, 우리 나라의 중남부 연안, 동중국해 북부,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 등 지의 깊은 곳에 분포한다(Chyung, 1977; Yamada et al., 1986; Kim et al., 2004). 황아귀가 속한 아귀과 어류는 세계적으로 4 속 25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황아귀를 포함한 아귀(Lophiomus setigerus)와 용아귀(Lophiodes insidiator)가 출현하여 3속 3종이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5). 통계청의 어업생산 동향조사를 살펴본 결과, 황아귀의 어획량은 아귀류로 일괄 취급되어 정확한 양은 알 수 없었으나, 우리나라 연안에 어획되는 아귀과 어류의 대부분이 황아귀인 것으로 보아 황아귀의 어획량은 상승하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 었다(Baeck and Huh, 2003; KOSIS, 1990-2018). 황아귀는 큰 입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로서 저층생태계 내에서 다른 종에 미 치는 영향력이 크므로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이다(Park et al., 1999; Park et al., 2014). 황아귀 생태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국외에서는 식성 (He et al., 2012), 연령과 성장(Michio et al., 1997), 산란회 유(Michio et al., 2002), 생식주기와 계절분포(Michio et al., 2001) 등이 수행되었고, 국내에서는 식성(Cha et al., 1997a; Baeck and Huh, 2003; Choi et al., 2011; Park et al., 2014), 연 령과 성장(Cha et al., 1998), 성숙과 산란(Park et al., 1999), 분 포특성(Park et al., 2000), 분포와 산란(Cha et al., 1997b) 등이 수행되었다. 어류에 대한 생태학적인 연구 중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는 수산자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수행된 황아귀의 성숙과 산란 연구는 약 20년 이상의 과거 연구자료이며, 변화하는 해양환경, 어구어법의 발달 등 다 양한 요인에 의해 수산자원의 생식주기, 산란습성, 성숙 및 성 장의 변화 등 생물학적 특성치가 과거의 양상과 다르게 나타나 지속적인 연구수행이 필요하다(Cardinale and Modin, 1999; Engelhard and Heino, 2004). 또한, 수산자원의 생태특성 및 자 한국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황아귀(Lophius litulon)의 성숙과 산란 김도균·임양재·김정년·이해원·진수연·최유정·백근욱*
黄鱼litulon是属于? ?目(Lophiiformes)、? ?科(Lophiidae)的底水性鱼类,经济价值高,分布在我国中南部沿岸、东中国海北部、日本北海道以南等地的深度(Chyung, 1977;yamada et al ., 1986;kim et al ., 2004)。黄? ?的? ?和是世界上4属25种鱼类栖息的众所周知的,我国有包括黄? ?的? ? (lophiomus setigerus)和用? ? (lophiodes insidiator)出现,3属3种已知(kim et al ., 2005)。统计厅的渔业生产观察动向调查结果显示,黄鮟鱇的捕鱼量是? ?类一揽子涉及到正确的羊不得而知,但我国沿岸被捕捞鱼类的大部分黄? ? ? ?科黄鮟鱇的捕获量视为是上升的趋势,可以看出了(baeck and huh, 2003;kosis, 1990 - 2018)。黄? ? ? ? ? ? ? ? ? ? ? ? ? ? ? ? ? ? ?是一种非常重要的生态物种,因为它在低层生态系统中对其他物种的影响很大(Park et al., 1999;park et al ., 2014)。从黄鮟鱼生态的先行研究来看,国外进行了食性(He et al., 2012)、年龄和成长(Michio et al., 1997)、产卵生鱼片(Michio et al., 2002)、生殖周期和季节分布(Michio et al., 2001)等;国内进行了食性(Cha et al., 1997);baeck and huh, 2003;choi et al ., 2011;parket al., 2014年),年龄与生长(Cha et al., 1998年),成熟与散射(Park et al., 1999年),分布与散射(Park et al., 2000年),分布与散射(Cha et al., 1997b)。在对鱼类的生态学研究中,成熟和产卵的研究是水产资源持续管理和保存所必需的。但是在国内完成的黄鮟鱇的成熟和散射研究约20年以上过去研究资料,变化的海洋环境、渔具语法的发达等的羊被水产资源的生殖周期的因素,产卵习性,成熟及省章等生物学特性的变化值与过去的表现完全不同需要持续执行研究(cardinale and modin, 1999;engelhard and heino, 2004)。另外水产资源的生态特性及在韩国沿岸海域出现的Lophius litulon的成熟与产卵金度均、林阳载、金正年、李海源、陈秀延、崔裕贞、白根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