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and Serum Apolipoprotein A-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 Oh
{"title":"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and Serum Apolipoprotein A-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authors":"K. Oh","doi":"10.4093/KDJ.2009.33.6.464","DOIUrl":null,"url":null,"abstract":"464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은 제2형 당뇨병의 매우 흔한 합병증이며 주된 사망원인이고, 제2형 당뇨병에 서는 관상동맥질환이 2~5배 높게 발생한다. 현재 제2형 당 뇨병은 관상동맥질환과 위험도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생활습관 및 체중 교정,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 증의 조절을 통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권고되고 있다. 관상동맥칼슘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측정 하는 죽상경화증의 확립된 지표로, 관상동맥칼슘점수(coronary artery calcium score)는 관상동맥질환의 발병 위험과 사망 률을 예측할 수 있으며, 관상동맥칼슘점수의 예측력은 표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보다 높게 보고된다 . 관상동맥칼슘 은 Agatston 등에 의해 고안된 점수체계 를 최근에는 광범 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Agatston 점수는 많은 수의 남성 과 여성의 관상동맥 조직검체상의 죽상경화증과 강력한 연 관성이 확인되었다 . 관상동맥칼슘점수와 표준 심혈관계 질 환 위험인자는 연관됨이 잘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관상동맥칼슘점수도 증가한다. 당뇨병은 질환 자체가 높은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되어 있으며, 제2형 당뇨병에서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인 연령, 남성 성별, 비만, 고혈압 등은 관상동맥칼슘점 수와 연관된다 . 제2형 당뇨병에서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 호모시스테 인, 아포지방단백 A-1과 B 등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 자들과 관상동맥칼슘점수와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는 최근까 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Seo 등의 연구 에 의하면 254명의 한국인 제2형 당뇨병 남성과 여성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 하나인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었 으며,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는 관상동맥칼슘점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관찰되었다 . 그러나 상기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가 다른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 인 아포지방단백 B 및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 백,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의 지질과 당대사 지표들 과의 관련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Mazzone 등의 연구 에서 는 제2형 당뇨병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 계 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Seo 등의 연구와 다르 게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 아포지방단백 A-1 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아포지방단백 B와 유의 한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중성지방과도 관련되었다. 또 다른 제2형 당뇨병에서의 연구인 Godsland 등의 Prospective Evaluation of Diabetic Ischaemic Heart Disease by Coronary Tomography (PREDICT) 연구 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새 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에서는 아포지방단백 A-1과 B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 호모시스테인은 매우 약한 연관성만 관 찰되었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는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성이 유지 된 반면에,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은 관상동맥 칼슘점수와 관련성이 매우 약하게 관찰되며, 조사된 종족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하게 관찰되었다. Seo 등의 연구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을 연구대상으로 관 상동맥칼슘점수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 중의 하나 인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연관됨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로, 한국인 제2형 당뇨병에서 아포지방단백 A-1이 관상동맥석회 화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표지자로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Seo 등의 연구는 소규모의 단면연구로 관상동맥칼 슘점수와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없 으며,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와 혈중 아포지방단백 A-1과의 관련성","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124 1","pages":"464-46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6.4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464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은 제2형 당뇨병의 매우 흔한 합병증이며 주된 사망원인이고, 제2형 당뇨병에 서는 관상동맥질환이 2~5배 높게 발생한다. 현재 제2형 당 뇨병은 관상동맥질환과 위험도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생활습관 및 체중 교정,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 증의 조절을 통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권고되고 있다. 관상동맥칼슘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측정 하는 죽상경화증의 확립된 지표로, 관상동맥칼슘점수(coronary artery calcium score)는 관상동맥질환의 발병 위험과 사망 률을 예측할 수 있으며, 관상동맥칼슘점수의 예측력은 표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보다 높게 보고된다 . 관상동맥칼슘 은 Agatston 등에 의해 고안된 점수체계 를 최근에는 광범 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Agatston 점수는 많은 수의 남성 과 여성의 관상동맥 조직검체상의 죽상경화증과 강력한 연 관성이 확인되었다 . 관상동맥칼슘점수와 표준 심혈관계 질 환 위험인자는 연관됨이 잘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관상동맥칼슘점수도 증가한다. 당뇨병은 질환 자체가 높은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되어 있으며, 제2형 당뇨병에서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인 연령, 남성 성별, 비만, 고혈압 등은 관상동맥칼슘점 수와 연관된다 . 제2형 당뇨병에서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 호모시스테 인, 아포지방단백 A-1과 B 등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 자들과 관상동맥칼슘점수와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는 최근까 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Seo 등의 연구 에 의하면 254명의 한국인 제2형 당뇨병 남성과 여성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 하나인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었 으며,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는 관상동맥칼슘점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관찰되었다 . 그러나 상기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가 다른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 인 아포지방단백 B 및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 백,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의 지질과 당대사 지표들 과의 관련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Mazzone 등의 연구 에서 는 제2형 당뇨병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 계 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Seo 등의 연구와 다르 게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 아포지방단백 A-1 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아포지방단백 B와 유의 한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중성지방과도 관련되었다. 또 다른 제2형 당뇨병에서의 연구인 Godsland 등의 Prospective Evaluation of Diabetic Ischaemic Heart Disease by Coronary Tomography (PREDICT) 연구 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새 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에서는 아포지방단백 A-1과 B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 호모시스테인은 매우 약한 연관성만 관 찰되었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는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성이 유지 된 반면에,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은 관상동맥 칼슘점수와 관련성이 매우 약하게 관찰되며, 조사된 종족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하게 관찰되었다. Seo 등의 연구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을 연구대상으로 관 상동맥칼슘점수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 중의 하나 인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연관됨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로, 한국인 제2형 당뇨병에서 아포지방단백 A-1이 관상동맥석회 화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표지자로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Seo 등의 연구는 소규모의 단면연구로 관상동맥칼 슘점수와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없 으며,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와 혈중 아포지방단백 A-1과의 관련성
2型糖尿病患者冠状动脉钙化与血清载脂蛋白A-1的关系
包括464冠状动脉疾病在内的心血管疾病是第2型糖尿病的非常常见的并发症和主要的死亡原因,第2型糖尿病的冠状动脉疾病发病率高2~5倍。目前,第2型糖尿病被认为与冠状动脉疾病的危险程度相同,建议通过矫正生活习惯及体重、调节高血糖、高血压、异常脂血症来减少心血管疾病的危险。冠状动脉钙是用计算机化断层扫描测试奖硬化症的确立的指标是死后,冠状动脉钙分数(coronary artery calcium score)的冠状动脉疾病的发病和死亡风险率,可以预测冠状动脉钙分数的预测能力高于标准心血管疾病危险因素,报告的。冠状动脉钙近年来广泛使用由Agatston等人发明的评分系统,Agatston的分数与许多男性和女性冠状动脉组织检验体上的竹状硬化症有强烈的关联性。冠状动脉钙分数和标准心血管疾病危险因素有关联,心血管疾病危险因素越多,冠状动脉钙分数也就越多。糖尿病的疾病本身与冠状动脉钙分数有关,在第2型糖尿病中,传统心血管疾病的危险因素——年龄、男性性别、肥胖、高血压等与冠状动脉钙分数有关。在第2型糖尿病中,对超常度C反应性蛋白质、同胱氨酸、胞脂肪蛋白质A-1和B等新的心血管疾病危险患者和冠状动脉钙分数之间的关联性的调查,到最近为止还不多。本学会杂志上刊登的seo等研究表明,254名韩国第2型糖尿病男性和女性在冠状动脉钙分数新的心血管疾病的危险之一的阿波지방단백a - 1浓度和车站有关系,阿波지방단백a - 1浓度的冠状动脉钙分数的独立预测因子,观察了。但上述研究中对冠状动脉钙分数其他新的心血管疾病危险因素,阿波지방단백b及超外差c反应性与蛋白质的关系注意观察,未高密度bag,低密度齐达内,齐达内总胆固醇和中性脂肪等的地质和당대사指标之间的关系也没有被观察。mazzone等的研究在第2型糖尿病在冠状动脉钙分数是将传统的心血管疾病危险因素,也涉及了,但seo等的研究和不同新的心血管疾病的危险因素,也与阿波지방단백a - 1没有留意的相互关系,阿波지방단백b和留意的关联性观察了,中性脂肪过度有关了。另一项关于第二型糖尿病的研究,Godsland等人的Prospective Evaluation of Diabetic Ischaemic Heart Disease by Coronary Tomography (PREDICT),冠状动脉钙质分数与传统心血管疾病的危险因素有关。在新的心血管疾病的危险因素中,阿波脂肪蛋白A-1和B没有显著的相关性,而高敏感性C反应性蛋白质和同胱氨酸只存在非常弱的相关性。第二型糖尿病对传统的心血管疾病危险因素,一般是冠状动脉钙分数和关联性的维持,而新的心血管疾病的危险因素,冠状动脉钙分数和关联性观察得很弱,根据调查的部落,其结果分歧地观察了。seo等的研究,韩国人作为第二型糖尿病研究对象关于湘东脉钙分数和新的之一——阿波지방단백心血管疾病危险因素,随着与a - 1的关联,为最早报告的研究,韩国第2型糖尿病在阿波지방단백a - 1冠状动脉石灰化风险预测的提出为标志的有用性。但是seo等的研究以小规模的断面研究冠状动脉铯分数和阿波지방단백刀与a - 1的因果关系,不能说明,在第2型糖尿病患者高血糖、高血压、血脂异常血症第二型糖尿病患者在冠状动脉钙化和血液中的阿波지방단백a - 1之间的相关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