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and Serum Apolipoprotein A-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authors":"K. Oh","doi":"10.4093/KDJ.2009.33.6.464","DOIUrl":null,"url":null,"abstract":"464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은 제2형 당뇨병의 매우 흔한 합병증이며 주된 사망원인이고, 제2형 당뇨병에 서는 관상동맥질환이 2~5배 높게 발생한다. 현재 제2형 당 뇨병은 관상동맥질환과 위험도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생활습관 및 체중 교정,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 증의 조절을 통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권고되고 있다. 관상동맥칼슘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측정 하는 죽상경화증의 확립된 지표로, 관상동맥칼슘점수(coronary artery calcium score)는 관상동맥질환의 발병 위험과 사망 률을 예측할 수 있으며, 관상동맥칼슘점수의 예측력은 표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보다 높게 보고된다 . 관상동맥칼슘 은 Agatston 등에 의해 고안된 점수체계 를 최근에는 광범 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Agatston 점수는 많은 수의 남성 과 여성의 관상동맥 조직검체상의 죽상경화증과 강력한 연 관성이 확인되었다 . 관상동맥칼슘점수와 표준 심혈관계 질 환 위험인자는 연관됨이 잘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관상동맥칼슘점수도 증가한다. 당뇨병은 질환 자체가 높은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되어 있으며, 제2형 당뇨병에서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인 연령, 남성 성별, 비만, 고혈압 등은 관상동맥칼슘점 수와 연관된다 . 제2형 당뇨병에서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 호모시스테 인, 아포지방단백 A-1과 B 등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 자들과 관상동맥칼슘점수와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는 최근까 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Seo 등의 연구 에 의하면 254명의 한국인 제2형 당뇨병 남성과 여성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 하나인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었 으며,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는 관상동맥칼슘점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관찰되었다 . 그러나 상기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가 다른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 인 아포지방단백 B 및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 백,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의 지질과 당대사 지표들 과의 관련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Mazzone 등의 연구 에서 는 제2형 당뇨병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 계 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Seo 등의 연구와 다르 게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 아포지방단백 A-1 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아포지방단백 B와 유의 한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중성지방과도 관련되었다. 또 다른 제2형 당뇨병에서의 연구인 Godsland 등의 Prospective Evaluation of Diabetic Ischaemic Heart Disease by Coronary Tomography (PREDICT) 연구 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새 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에서는 아포지방단백 A-1과 B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 호모시스테인은 매우 약한 연관성만 관 찰되었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는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성이 유지 된 반면에,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은 관상동맥 칼슘점수와 관련성이 매우 약하게 관찰되며, 조사된 종족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하게 관찰되었다. Seo 등의 연구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을 연구대상으로 관 상동맥칼슘점수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 중의 하나 인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연관됨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로, 한국인 제2형 당뇨병에서 아포지방단백 A-1이 관상동맥석회 화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표지자로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Seo 등의 연구는 소규모의 단면연구로 관상동맥칼 슘점수와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없 으며,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와 혈중 아포지방단백 A-1과의 관련성","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124 1","pages":"464-46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6.4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464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은 제2형 당뇨병의 매우 흔한 합병증이며 주된 사망원인이고, 제2형 당뇨병에 서는 관상동맥질환이 2~5배 높게 발생한다. 현재 제2형 당 뇨병은 관상동맥질환과 위험도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생활습관 및 체중 교정,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 증의 조절을 통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권고되고 있다. 관상동맥칼슘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측정 하는 죽상경화증의 확립된 지표로, 관상동맥칼슘점수(coronary artery calcium score)는 관상동맥질환의 발병 위험과 사망 률을 예측할 수 있으며, 관상동맥칼슘점수의 예측력은 표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보다 높게 보고된다 . 관상동맥칼슘 은 Agatston 등에 의해 고안된 점수체계 를 최근에는 광범 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Agatston 점수는 많은 수의 남성 과 여성의 관상동맥 조직검체상의 죽상경화증과 강력한 연 관성이 확인되었다 . 관상동맥칼슘점수와 표준 심혈관계 질 환 위험인자는 연관됨이 잘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관상동맥칼슘점수도 증가한다. 당뇨병은 질환 자체가 높은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되어 있으며, 제2형 당뇨병에서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인 연령, 남성 성별, 비만, 고혈압 등은 관상동맥칼슘점 수와 연관된다 . 제2형 당뇨병에서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 호모시스테 인, 아포지방단백 A-1과 B 등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 자들과 관상동맥칼슘점수와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는 최근까 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Seo 등의 연구 에 의하면 254명의 한국인 제2형 당뇨병 남성과 여성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 하나인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와 역상관관계가 있었 으며, 혈중 아포지방단백 A-1 농도는 관상동맥칼슘점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관찰되었다 . 그러나 상기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가 다른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 인 아포지방단백 B 및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 백,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의 지질과 당대사 지표들 과의 관련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Mazzone 등의 연구 에서 는 제2형 당뇨병에서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 계 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Seo 등의 연구와 다르 게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 아포지방단백 A-1 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아포지방단백 B와 유의 한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중성지방과도 관련되었다. 또 다른 제2형 당뇨병에서의 연구인 Godsland 등의 Prospective Evaluation of Diabetic Ischaemic Heart Disease by Coronary Tomography (PREDICT) 연구 에서는 관상동맥칼슘점수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과 관련되었으나, 새 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중에서는 아포지방단백 A-1과 B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과 호모시스테인은 매우 약한 연관성만 관 찰되었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전통적인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는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칼슘점수와 연관성이 유지 된 반면에,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은 관상동맥 칼슘점수와 관련성이 매우 약하게 관찰되며, 조사된 종족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하게 관찰되었다. Seo 등의 연구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을 연구대상으로 관 상동맥칼슘점수와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 중의 하나 인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연관됨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로, 한국인 제2형 당뇨병에서 아포지방단백 A-1이 관상동맥석회 화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표지자로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Seo 등의 연구는 소규모의 단면연구로 관상동맥칼 슘점수와 아포지방단백 A-1과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없 으며,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와 혈중 아포지방단백 A-1과의 관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