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Kim, Tae Hwan Kim, Jae Yong Han, Hyeon Kyeong Jo, Ju Ri Kwak, Ji Been Park, Jong-pyo Suh, Woo-jai Lee
{"title":"Comparative Analysis of the Growth for Selectively Bred Korean Turbot Scophthalmus maximus Population","authors":"M. Kim, Tae Hwan Kim, Jae Yong Han, Hyeon Kyeong Jo, Ju Ri Kwak, Ji Been Park, Jong-pyo Suh, Woo-jai Lee","doi":"10.5657/KFAS.2020.0563","DOIUrl":null,"url":null,"abstract":"터봇(Scophthalmus maximus)은 주로 지중해, 발트해 및 북 대서양에서 서식하는 넙치과 어류로, 약 20-70 m 이내의 수심 에서 주로 서식하며, 최대 1 m까지 성장한다고 보고되었다(Danancher and Garcia-Vazquez, 2007). 1970년대 이후 영국과 프 랑스에서 고밀도 양식 가능성 및 빠른 성장의 특성 때문에 양식 대상종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고, 중국에서는 주요 전략 품종으 로 선발하여 고부가가치 어종으로써 그 상품성을 인정받고 있 다(Lee et al., 2008; Choi and Shin, 2012; Lv et al., 2019). 세 계의 주요 터봇 생산국은 중국으로 2017년 기준 약 45,500톤 을 생산하고 있으며 유럽의 스페인(약 8,771톤)과 비교하여 약 36,729톤을 더 많이 생산하고 있다(FAO, 2019). 하지만 국내 의 경우 제주도의 약 10개 업체에서 터봇을 양식하고 있으나, 이 외의 지역에서는 터봇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내수 소비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생산된 터봇의 대부분이 수 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터봇은 약 16°C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 종으로, 우리나라의 터봇 양식은 여름철 고수온 환경 및 양식장 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다소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ang, 2002). 하지만, 입식 1년 후 약 700 g 이상으로 빠르 게 성장하는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 경적 특성에 적응하는 터봇의 육종 연구가 필요하다(Lee et al., 2008). 터봇 양식의 주요 요소는 성장률, 사료의 효율성, 높은 내 병성 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Eh, 2011). 양식 어류의 성장은 다 양한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지만 어 류가 섭취하는 사료의 양과 섭취 사료의 체내 이용 효율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Buurma and Diana, 1994). 따라서, 사 료효율이 높아 성장이 빠른 선두그룹 개체를 선별하여 육성하 한국 육종터봇(Scophthalmus maximus)의 성장률 비교 분석 김민성·김태환·한재용·조현경·곽주리·박지빈·서종표·이우재*","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 1","pages":"563-56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5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터봇(Scophthalmus maximus)은 주로 지중해, 발트해 및 북 대서양에서 서식하는 넙치과 어류로, 약 20-70 m 이내의 수심 에서 주로 서식하며, 최대 1 m까지 성장한다고 보고되었다(Danancher and Garcia-Vazquez, 2007). 1970년대 이후 영국과 프 랑스에서 고밀도 양식 가능성 및 빠른 성장의 특성 때문에 양식 대상종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고, 중국에서는 주요 전략 품종으 로 선발하여 고부가가치 어종으로써 그 상품성을 인정받고 있 다(Lee et al., 2008; Choi and Shin, 2012; Lv et al., 2019). 세 계의 주요 터봇 생산국은 중국으로 2017년 기준 약 45,500톤 을 생산하고 있으며 유럽의 스페인(약 8,771톤)과 비교하여 약 36,729톤을 더 많이 생산하고 있다(FAO, 2019). 하지만 국내 의 경우 제주도의 약 10개 업체에서 터봇을 양식하고 있으나, 이 외의 지역에서는 터봇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내수 소비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생산된 터봇의 대부분이 수 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터봇은 약 16°C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 종으로, 우리나라의 터봇 양식은 여름철 고수온 환경 및 양식장 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다소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ang, 2002). 하지만, 입식 1년 후 약 700 g 이상으로 빠르 게 성장하는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 경적 특성에 적응하는 터봇의 육종 연구가 필요하다(Lee et al., 2008). 터봇 양식의 주요 요소는 성장률, 사료의 효율성, 높은 내 병성 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Eh, 2011). 양식 어류의 성장은 다 양한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지만 어 류가 섭취하는 사료의 양과 섭취 사료의 체내 이용 효율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Buurma and Diana, 1994). 따라서, 사 료효율이 높아 성장이 빠른 선두그룹 개체를 선별하여 육성하 한국 육종터봇(Scophthalmus maximus)의 성장률 비교 분석 김민성·김태환·한재용·조현경·곽주리·박지빈·서종표·이우재*
Scophthalmus maximus(英语:Scophthalmus maximus)是一种偏口鱼和鱼类,主要栖息于地中海、波罗的海和北大西洋,在20-70米的水深中,可生长至1米(Danancher and Garcia-Vazquez, 2007)。20世纪70年代以后,英国和法国因其高密度养殖的可能性和快速增长的特性,开始作为养殖对象品种受到关注,在中国被选为主要战略品种,作为高附加值鱼种,其商品性得到认可(Lee et al., 2008;choi and shin, 2012;释放et al ., 2019)。截至2017年,世界上主要的turbot生产国为中国,约45500吨,比西班牙(约8771吨)多36729吨(FAO, 2019)。但是,从韩国国内的情况来看,济州岛约有10家企业养殖turbot,但除此之外的地区却没有turbot养殖。另外,由于几乎没有实现内需消费,生产的“tubot”大部分都在出口。turbot是栖息在约16°C的冷水鱼种,韩国的turbot养殖因夏季高水温环境及养殖场的结构性特性而多少有些困难(Jang, 2002)。但是,由于它具有在入食1年后快速成长到约700克以上的生物学特性,因此有必要对适应韩国环境特性的tbot育种进行研究。(Lee et al., 2008)turbot样式的主要要素可以评价为增长率、饲料的效率性、高的抗病性等(Eh, 2011)。养殖鱼类的生长受多种物理、化学、生物学因素的综合影响,但鱼类摄取饲料的量和体内摄取饲料的效率最直接(Buurma and Diana, 1994)。因此,对饲料效率高、成长快的领先集团个体进行筛选培育的Scophthalmus maximus的增长率进行比较分析金敏成、金泰焕、韩在勇、赵贤庆、郭柱利、朴志彬、徐钟杓、李宇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