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Kim, Ju Ri Kwak, Tae Hwan Kim, Jae Yong Han, Ji Been Park, Hyeon Kyeong Jo, Jong-pyo Suh, Woo-jai Lee
{"title":"Identification of Genetic Markers Distinguishing Golden Flounders from Normal Olive Flounders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authors":"M. Kim, Ju Ri Kwak, Tae Hwan Kim, Jae Yong Han, Ji Been Park, Hyeon Kyeong Jo, Jong-pyo Suh, Woo-jai Lee","doi":"10.5657/KFAS.2020.0492","DOIUrl":null,"url":null,"abstract":"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 일본 및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어종으로, 상품성이 높은 대표적인 양식 어종이다(Lee, 2006; Hwang and Myeong, 2010). 2018년 국내 넙치의 양식생산량은 약 32,238톤으로 전체 어류양식생산량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41,636톤을 생산한 2016년과 41,207톤을 생산한 2017년을 비교해볼 때 생산량이 지속적으 로 감소하고 있다(KOSIS, 2019). 양식 종자의 열성화, 양식 생 산 단가 상승,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현재 넙치 양 식산업은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선어로 이용되는 대 체어종인 연어(Oncorhynchus ket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의 소비량이 크게 늘면서 넙치양식 어가 수가 급격하게 줄 었다(KOSIS, 2019). 따라서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 해 선발육종을 통한 고부가가치 넙치의 종자개발이 새로운 대 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류의 체색은 시장에서 상품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제 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멜라닌(melanin), 카로티노이드 황금색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발현을 예측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Marker 개발","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7 1","pages":"492-49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49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 일본 및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어종으로, 상품성이 높은 대표적인 양식 어종이다(Lee, 2006; Hwang and Myeong, 2010). 2018년 국내 넙치의 양식생산량은 약 32,238톤으로 전체 어류양식생산량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41,636톤을 생산한 2016년과 41,207톤을 생산한 2017년을 비교해볼 때 생산량이 지속적으 로 감소하고 있다(KOSIS, 2019). 양식 종자의 열성화, 양식 생 산 단가 상승,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현재 넙치 양 식산업은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선어로 이용되는 대 체어종인 연어(Oncorhynchus ket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의 소비량이 크게 늘면서 넙치양식 어가 수가 급격하게 줄 었다(KOSIS, 2019). 따라서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 해 선발육종을 통한 고부가가치 넙치의 종자개발이 새로운 대 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류의 체색은 시장에서 상품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제 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멜라닌(melanin), 카로티노이드 황금색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발현을 예측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Marker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