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Genetic Markers Distinguishing Golden Flounders from Normal Olive Flounders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M. Kim, Ju Ri Kwak, Tae Hwan Kim, Jae Yong Han, Ji Been Park, Hyeon Kyeong Jo, Jong-pyo Suh, Woo-jai Lee
{"title":"Identification of Genetic Markers Distinguishing Golden Flounders from Normal Olive Flounders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authors":"M. Kim, Ju Ri Kwak, Tae Hwan Kim, Jae Yong Han, Ji Been Park, Hyeon Kyeong Jo, Jong-pyo Suh, Woo-jai Lee","doi":"10.5657/KFAS.2020.0492","DOIUrl":null,"url":null,"abstract":"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 일본 및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어종으로, 상품성이 높은 대표적인 양식 어종이다(Lee, 2006; Hwang and Myeong, 2010). 2018년 국내 넙치의 양식생산량은 약 32,238톤으로 전체 어류양식생산량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41,636톤을 생산한 2016년과 41,207톤을 생산한 2017년을 비교해볼 때 생산량이 지속적으 로 감소하고 있다(KOSIS, 2019). 양식 종자의 열성화, 양식 생 산 단가 상승,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현재 넙치 양 식산업은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선어로 이용되는 대 체어종인 연어(Oncorhynchus ket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의 소비량이 크게 늘면서 넙치양식 어가 수가 급격하게 줄 었다(KOSIS, 2019). 따라서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 해 선발육종을 통한 고부가가치 넙치의 종자개발이 새로운 대 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류의 체색은 시장에서 상품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제 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멜라닌(melanin), 카로티노이드 황금색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발현을 예측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Marker 개발","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7 1","pages":"492-49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49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 일본 및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어종으로, 상품성이 높은 대표적인 양식 어종이다(Lee, 2006; Hwang and Myeong, 2010). 2018년 국내 넙치의 양식생산량은 약 32,238톤으로 전체 어류양식생산량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41,636톤을 생산한 2016년과 41,207톤을 생산한 2017년을 비교해볼 때 생산량이 지속적으 로 감소하고 있다(KOSIS, 2019). 양식 종자의 열성화, 양식 생 산 단가 상승,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현재 넙치 양 식산업은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선어로 이용되는 대 체어종인 연어(Oncorhynchus ket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의 소비량이 크게 늘면서 넙치양식 어가 수가 급격하게 줄 었다(KOSIS, 2019). 따라서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 해 선발육종을 통한 고부가가치 넙치의 종자개발이 새로운 대 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류의 체색은 시장에서 상품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제 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멜라닌(melanin), 카로티노이드 황금색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발현을 예측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Marker 개발
用微卫星标记鉴定金比目鱼与普通橄榄比目鱼的遗传标记
偏口鱼(Paralichthys olivaceus)是广泛分布于我国、日本及中国沿岸的鱼类,是商品性高的代表性养殖鱼类(Lee, 2006;hwang and myeong, 2010)。2018年,国内比目鱼养殖产量约为32238吨,约占鱼类养殖产量的46%。但与2016年(41,636吨)和2017年(41,207吨)相比,产量持续减少(KOSIS, 2019)。由于养殖种子的劣性化、养殖生产单价上升、需求和供给的不均衡等,目前比目鱼养殖产业面临着巨大的危机。特别是,随着作为鲜鱼使用的大体鱼种大马哈鱼(Oncorhynchus keta)和鲂鱼(Seriola quinqueradiata)的消费量大幅增加,偏口鱼的养殖数量急剧减少(KOSIS, 2019)。因此,为了克服这样的困难,提出了通过选拔育种开发高附加值比目鱼种子的新方案。鱼类的体色在市场上被认为是决定商品价值的重要经济因素,并开发出能够预测黑色素和类胡萝卜素金黄色比目鱼的发现的Microsatellite Marker。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