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Jung, Chohyunmin, Hyung-Suk Lee, Heo, Jung Min, Lee, Soo-Kee
{"title":"Effects of Glycine soja and hairy vetch supplementation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corn silage","authors":"K. Jung, Chohyunmin, Hyung-Suk Lee, Heo, Jung Min, Lee, Soo-Kee","doi":"10.7744/KJOAS.20180015","DOIUrl":null,"url":null,"abstract":"조사료 자원의 확보도 농후사료와 마찬가지로 날로 열악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새 로운 사료자원을 개발하는 것과 기존 사료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조 사료의 주종은 아직 볏짚이며 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며 이제까지의 정책이 동계작물에 치우친 면이 있으며 이 또한 재배 면적이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보여진다(Kim et al., 2017). 따라서 동계작물의 지속적 재배도 중요하지만, 아울러 하계 작물의 증산도 도모하여야 한다. 하계 작물로는 옥수수, 수수, 수단그래스, 수수 × 수단그래스 교잡종 등이 있으나 이들은 조단백질 함량 이 적은 것이 단점이다(Darby and Lauer, 2002). 특히 옥수수는 두과 사료작물과 같이 재배할 경우 생산성(Ahmed and Rao, 1982; Singh et al., 1986; Martin et al., 1990)과 품질(Putnam et al., OPEN ACCESS","PeriodicalId":17916,"journal":{"name":"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volume":"35 1","pages":"169-17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744/KJOAS.2018001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조사료 자원의 확보도 농후사료와 마찬가지로 날로 열악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새 로운 사료자원을 개발하는 것과 기존 사료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조 사료의 주종은 아직 볏짚이며 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며 이제까지의 정책이 동계작물에 치우친 면이 있으며 이 또한 재배 면적이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보여진다(Kim et al., 2017). 따라서 동계작물의 지속적 재배도 중요하지만, 아울러 하계 작물의 증산도 도모하여야 한다. 하계 작물로는 옥수수, 수수, 수단그래스, 수수 × 수단그래스 교잡종 등이 있으나 이들은 조단백질 함량 이 적은 것이 단점이다(Darby and Lauer, 2002). 특히 옥수수는 두과 사료작물과 같이 재배할 경우 생산성(Ahmed and Rao, 1982; Singh et al., 1986; Martin et al., 1990)과 품질(Putnam et al., OPEN ACCESS
调查费资源的确保也和浓厚的饲料一样,日益恶劣。作为解决这一问题的方法,可以考虑开发新的饲料资源和提高现有饲料的利用效率。我国粗饲料的主要种类还是稻草,降低对粗饲料的依赖度是迫在眉睫的课题,到目前为止的政策有偏向冬季作物的一面,栽培面积也达到了极限(Kim et al., 2017)。因此,冬季作物的持续栽培固然重要,但同时也要增加夏季作物的产量。夏季作物有玉米、高粱、苏丹草、高粱×苏丹草杂交品种等,但它们的缺点是粗蛋白质含量少(Darby and Lauer, 2002)。特别是玉米和豆科饲料作物一起栽培时的生产性(Ahmed and Rao, 1982;辛格et al ., 1986;马丁et al., 1990)和品质(Putnam et al.,开放ACCESS